일본은 EZ 내 34만㎢ ‘해저광산’ 탐사에 들어갔으며,
내각 관방실에 민관협의체를 신설하였다.

 

바닷속에 있는 희귀금속을 캐내기 위해 일본 정부가 본격적인 탐사작업에 나선다.

그리고 종합해양정책본부는 ‘해저 자원에너지 확보전략’을 마련했다.

이에 따르면 차세대 에너지로 주목받고 있는 메탄하이드레이트와 코발트 등 희귀금속 개발을 위한 해저개발과 탐사구역이 대폭 확대된다.

 

희귀금속을 다량 함유한 동중국해와 태평양의 해저열수광상(海底熱水鑛床) 34만㎢ 해역이 주요 탐사지역이다.

 

이 가운데 태평양 지역은 2015년까지, 그 외 지역은 2020년까지 탐사를 실시할 예정이다.

해저의 희귀금속을 10년 안에 상업적으로 이용한다는 계획이다.

 

희귀금속은 자동차와 휴대전화기·LCD TV의 주요 부품으로 쓰이면서 수요가 커지고 있다.

이를 위한 민관 합동협의체도 연말까지 내각 관방실에 신설한다.

 ‘해저 자원에너지 확보전략’은 6월 초 발표될 일본의 신성장전략에 포함될 예정이다.

 

섬나라인 일본은 일찍부터 해저자원 개발에 관심을 가졌다.

통산상업성이 지난해 ‘해양에너지·광물자원개발 계획안’을 마련한 데 이어 미쓰비시(三菱)상사·스미토모(住友)상사 등 30개 기업이 공동으로 해저 자원 조사연구 계획을 마련했다.

일본은 영해와 EEZ를 합한 면적이 세계 6위인 해양대국인 만큼 해저 광물 자원도 상당량에 이를 것으로 보고 있다.

근해 수심 1000m 정도에 있는 열수광상만 모아도 현재 시장가격으로 약 70조~80조 엔(약 820~938조원)어치의 광물자원을 추출할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해상열수광상

 

마그마 등의 열로 800~3000m 해저에서 분출한 금·동·아연과 각종 희귀금속이 쌓여 있는 곳이다.

마그마 활동이 활발한 곳에 많다.

일반적으로 열수광상의 크기는 수만~수백만t 규모다.

 t당 금은 수십g, 은은 수백g을 함유하고 있다.

 

도쿄=박소영 특파원 [[olive@joongang.co.kr]

울릉~포항 85분 ‘비행 쾌속선’ 뜬다 

바다 위 5m 떠 시속 200㎞ …

 

 
 

◆위그선(WIG선)=수면비행선박(Wing In Ground effect ship)의 약자로 소련이 군사용으로 처음 개발했다.

비행기를 닮은 모양에 바다 위를 낮게 떠서 고속으로 이동하는 선박을 일컫는다.

국제해사기구(IMO)는 1990년대 말 선박으로 분류했다.

 

이르면 올 하반기부터 울릉도와 육지가 한 시간 생활권으로 좁아질 전망이다.

이착륙은 배처럼 물 위에서, 운항은 비행기처럼 저공으로 날아가는 위그선 시험 운항이 성공해서이다. 울릉도에 본사를 둔 ㈜에어로마린(대표 최영근)

2일 국내 중소기업 씨엔에스에이엠티(C&S AMT)가 순수 국내 기술로 개발한

5인승 위그선 ‘아론7’을 포항에서 울릉도로 출항시켰다.

 

 

  

비행기와 배의 중간 형태인 날아가는 초고속선 위그선 시험 운항이 국내에서 처음으로 성공했다.

관련 법 개정이 끝나면 올 하반기 포항∼울릉도 노선에 운항될 예정이다.

평균 시속이 200㎞를 넘어 국내 어떤 섬도 육지와 한 시간 생활권으로 가까워질 전망이다.

[㈜에어로마린 제공]

 

 

상용화를 앞둔 국내 첫 시험운항이다.

 ‘아론7’에는 기장과 제작사 대표, 관계자 등 4명이 탑승했다.

위그선은 출항한 지 1시간25분 만에 울릉도 상공에 진입한 뒤 사동항으로 착륙, 입항했다.

성공이었다.

 

이날 사동항에는 울릉도 전역에서 모인 주민 100여 명이 초조하게 ‘아론7’의 착륙을 지켜보며 환호했다.

위그선의 평균 시속은 200㎞가 넘는다.

따라서 현재 여객선으로 3시간이 더 걸리는 포항과 울릉도는 1시간대에 주파가 가능하다.

울릉도엔 몇 년 전 민간인을 실어 나르는 헬기가 등장했지만 며칠 만에 사고가 나면서 운항이 중단됐다.

울릉도와 육지를 잇는 운송수단은 현재 정기 여객선인 썬플라워호가 전부나 마찬가지다.

하지만 여객선은 파도가 높아지는 등 기상이 나빠지면 며칠이고 발이 묶인다.

거기다 배멀미도 뒤따른다.

‘아론7’ 운항을 준비 중인 에어로마린 최영근(56) 대표는 “위그선은 수면에서 이륙하면 5m 정도 떠서 초고속으로 비행하기 때문에 파도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며

“파도 때문에 운항이 중단되거나 배멀미가 날 염려가 없는 것이 해상 운송수단으로 가장 큰 장점”이라고 말했다.

파도가 심할 경우 해안 이착륙은 바람이 강하지 않은 다른 항구를 이용하면 된다.

울릉도의 경우 해안에 바람이 많이 불어도 잔잔한 쪽이 반드시 있기 때문이다.

 

에어로마린 측은 관련 법이 마련되면 하반기부터 5인승 위그선 3척을 포항~울릉도 구간에 취항시킬 계획이다.

요금은 편도 13만원 정도로 예상하고 있다.

울릉도 주민에겐 더 저렴하게 이용하는 길도 검토하고 있다.

에어로마린은 사업 추진이 순조로우면 연말께 14인승 위그선도 도입할 예정이다.

 

 

[중앙일보] 송의호 기자

2010년 6월 30일 또 한 명의 연예인 박용하가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2010년 3월 배우 최진영이 목숨을 끊은 지 3개월 만의 일이라 세상은 또 자살에 관한 이야기로 떠들썩해졌다. 대체 사람들은 왜 자살을 하는 것일까?

사람이 자살하는 이유로 꼽히는 것은 잘 발달한 대뇌다.

대뇌피질이 창조적이고 조직적이며 모든 신경을 통제하는 중추기능이지만 취약점도 가지고 있다.

엄청난 자극에 의해 흐트러진 질서는 좀처럼 돌이키기 힘들거나 영구적으로 못 쓰게 돼버리는 것이다.

그래서 사람들은 비정상적인 행동(우울증, 폭력)을 보이기도 하고, 아노미(anomie)에 빠지면 자살을 선택하기도 한다.

사람만큼 대뇌가 발달하지 못한 동물들도 자살을 한다.

물론 정신적인 충격을 받고 자살하는 경우는 드물다.

하지만 자살의 의미가 ‘스스로를 죽이는 행위’라고 할 때 동물들도 자살을 할 수 있다는 증거들은 얼마든지 있다.

아래 몇 가지가 좋은 예이다.



● 고래의 자살(Stranding)

스트랜딩(Stranding), 고래가 해안가로 밀려와 바다로 돌아가지 못하고 죽는 현상을 일컫는다.

고래는 물 밖에 나오면 호흡하기 곤란해지므로 질식하거나 몸무게에 내장 등이 눌려 죽게 된다.

장소는 조금씩 다르지만 해마다 세계 곳곳에서 벌어지고 있는 기이한 자연 현상 중 하나다.

이런 현상을 두고 학자들은 지구온난화와 먹이의 고갈, 해양오염 심지어 어군탐지기나 군함에서 쏘는 초음파의 영향이라고까지 말한다.

 

 

또 일부 병리학자들은 죽은 고래를 해부해 보고 위장병이나 전염병을 의심하기도 한다.

하지만 어떤 이들은 고래의 떼죽음을 우울증 같은 정신적 이유로 본다.

고래의 상대적 지능이 높고, 바다로 돌려보내도 다시 해안으로 돌아온다는 것들이 근거다.

돌고래처럼 삶에 충실하고 낭만적인 동물들이 일부러 얕은 곳에 밀려온다는 것은 그 자체만으로 자살하는 것과 거의 진배없는 행동이다.


● 북극 레밍(Lemming)의 집단이주 현상

동물들 자살이야기가 나올 때 대표적으로 거론 되는 동물이 레밍이다.

일명 ‘나그네쥐’라고도 불리는 레밍은 먹이 환경이 좋아 개체수가 너무 늘어나면 일부 그룹이 새로운 터전을 찾아 이동을 시작한다.

거의 맹목적으로 선두를 따라가는 이런 동물 떼는 선두가 방향을 잘못 잡아 바다나 호수로 안내하면 그대로 빠져죽게 된다.

아마도 수명이 짧은 이 설치류들에게 물에 대한 두려움이란 걸 원초적으로 각인시키기엔 진화의 시간이 너무 짧았던 모양이다.

그렇다고 이들의 행동을 자살로 봐줄 순 없다.

더 좋은 곳에 살려고 이주하다가, 모르고 아니면 관성으로 전진하는 떼에 밀려서 어쩔 수 없이 죽는 것이지 삶을 스스로 포기 한 행동은 아니기 때문이다.

그 와중에도 뒤에 남겨진 조금의 숫자는 살아남아 새 터전을 찾아간다고 한다.

 



이와 유사한 집단행동에서 자살로 볼 수 있는 사례가 있는데 ‘누’의 경우가 그렇다.

건기에 아프리카 사바나에선 풀과 물을 찾아가는 초식동물의 대이동이 시작 되는데,

이동 중 맨 앞에 서는 우두머리 ‘누’가 맨 먼저 악어 밥이 되거나 거센 물살에 휘말려 죽으면 ‘반면교사(反面敎師)’로 뒤에 있는 것들이 살아 남는다.

동물들의 세계에서 우두머리는 먼저 희생할 줄 아는 동물을 지칭하기도 하는데,

그런 면에서 보자면 이들이야말로 집단을 위한 자살을 선택했다 할 수 있을 것이다.

 


● 침팬지의 자살

성숙한 침팬지의 겨우 보통 IQ 70정도의 지능을 가진다고 한다.

하지만 이것도 인간에 빗댄 수치지 그들의 본능과 학습을 합쳐보면 개체나 무리에 따라 훨씬 더 합리적인 행동이 나올 수 있다.

그렇다면 의도적인 자살도 가능하지 않을까.

‘침팬지의 어머니’로 불리는 동물학자 ‘제인구달’의 침팬지 관찰 예에서

어미 ‘플루’의 죽음에 충격을 받아 죽은 아들 ‘플린트’의 이야기가 자살의 사례로 자주 회자된다.

하지만 이것은 침팬지가 지능이 높아서라기보다는 어미를 잃은 새끼동물들이 통상적으로 보여주는 일종의 ‘부모상실증후군’이다.

야생에서 독립하기 전의 새끼에게는 어미 곁에 붙어 있는 것이 삶의 법칙이고 불문율이다.

어미의 부재는 곧 죽음을 의미한다.

쉽게 인간과 친해질 수 있는 침팬지의 특성상 그냥 관찰이 아니라 적극적으로 개입해서 이 새끼를 살려보려 했다면 상황은 분명 달라졌을 것이다.

죽음에 대한 옛날 인디언들의 생각은 일종의 선택이었다.

자신이 어느 정도 힘이 빠지고 공동체에서 더 이상 역할이 없다고 판단되면 스스로 죽음을 맞이하러 간다.

그저 벌판에 나가 조금 앉아 있으면 그대로 죽음이 찾아 들었고 그 자신은 동물들을 통해서 다시 대지로 돌아가는 방식이었다.

일부 고승들도 이런 종류의 죽음을 택한다고 한다.

동물들도 이 방식으로 죽음을 맞이하기도 한다.

만일 많은 동물들이 제멋대로 그 자리에서 죽는다면 사바나는 온통 해골무더기로 가득 차있을 것이다.

하지만 동물들은 죽음이 가까이 오는 것을 알고 무리를 벗어나 스스로 잡혀 먹히던지,

코끼리 같은 경우는 무덤자리(집단 무덤은 아니다)를 찾아가기도 한다.

이런 예들을 통해 동물들은 죽음에 대해 스스로 선택할 정도의 의지를 가지고 있는 걸 엿볼 수 있다.

만일 사고라면 뭍으로 올라온 고래를 다시 돌려 보내는 것은 굉장히 중요하지만,

혹시 그들의 자유로운 죽음으로의 선택을 인위적으로 방해하는 일은 아닌지 생각해 볼 일이다.

글 : 과학향기 편집부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