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인상어라도 무조건 사람을 공격하는 것은 아니다.

사람이 상어의 공격을 받았다는 보고는 전세계적으로 1년에 1백회를 넘지 않는다.

일부 해양생물학자들은 “상어의 습격으로 죽는 사람의 수는 개에 물려 죽는 사람의 숫자와 차이가 없다”고 말하기도 한다.

그러면 상어는 어떤 상황에서 사람을 공격하는 걸까?

군산대 해양자원육성학과 최윤(崔允)교수는 “대부분의 상어는 인간에게 무관심하지만 자극적인 움직임을 보이거나, 피 냄새를 풍기면 달려 든다”고 설명한다.

우리나라에선 59년 이후 서해에서 만 조개를 채취하던 해녀와 잠수인등 6명이 희생됐다.

조개를 채취하는 해녀가 습격받는 것은, 조개를 때리는 소리를 내거나, 비린내를 풍겨 상어를 자극하는 탓이다.

서해는 특히 바닷물이 맑지 않아 1∼2m 거리까지 접근한 상어를 발견하지 못할 우려가 있다.

충청남도가 펴낸 상어 피해 예방책자는

△몸에 상처가 났을 때 바다에 들어가지 말 것
△불필요한 소음을 내지 말 것
△화려한 색의 잠수복이나 수영복을 입지 말 것
△주변 물고기의 행동이 수상하면 물에서 나올 것
△생리 중인 여성은 수영을 피할 것

등을 권하고 있다.

하지만 보자기 등으로 몸집을 크게 하면 상어가 도망간다는 속설은 별 효과가 없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얘기.

자신보다 훨씬 큰 배나 물고기를 공격하는 사례가 종종 발견되기 때문이다.

 

상어를 만났을 때는 지레 겁먹고 요란스레 움직이지 말고,

조심스럽게 바위 등에 달라붙어 가만히 있는 것이 좋다.

공격을 받았을 때는 작살 등으로 상어의 ‘아킬레스건’인 가슴지느러미 밑을 찌르거나,

주변의 물건으로 콧등을 내리쳐야 한다.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는 지난해 상어를 내쫓는 전기장치가 개발됐다.

'샤크파드' 라는 이 장치는 잠수인 주위 3.6∼6m 반경의 공간에 저전압 전기장을 형성시켜 상어를 퇴치한다.

사진 출처: 테티스프로  (http://sharkshield.co.kr)

미세한 전기신호 때문에 상어가 눈앞에 먹이를 두고도 그냥 달아나지만,

잠수인에게는 아무런 해가 없다는 것.

 

해경은 상어 출현시 행동요령을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물속에 들어갈 때 2인이상 짝을 지어 입수 작업.


▲상어를 만났을 때 자극적인 행동을 피하고 침착하게 행동한다.


▲상어의 공격을 받을 경우 상어의 민감한 부분인 눈이나 코를 공격 후 피신.


▲작업시 긴띠를 준비하였다가 상어를 만나면 풀어서 상어보다 몸이크게 위장.


▲몸에 상처가 얬을 때는 입수 금지(피 냄새는 상어 유인).


▲잡은 고기를 허리에 묶고 작업금지.


▲상어의 활동이 왕성한 저녁 무렵 작업 금지.


▲가까이 있는 고기가 큰떼를 지으면 작업 금지 피신.

 
▲밝은 수영복이나 피부와 대비되는 수영복 착용금지 밤에 수영하는 것을 피한다.

 
▲상어는 밤에 더 활동적이고 식사를 많이 한다.

   가능하면 집단으로 모여 있는다.


▲물고기가 떼지어 움직이거나 물새들이 물에 뛰어드는 등...

  상어가 있을 것 같은 상황에서는 일단 지켜 본다.


▲모래톱과 쇄파(파도가 수심이 얕은 곳으로 진입하여 부서짐)지역 사이나,

  물길의 가장자리 등 상어가 잘 오는 장소를 피한다.


▲상어에게 물고기 비늘이 햇빛에 반사되는 것처럼 보일 수 있는 장신구를 자제한다.

출처 : http://iloveshark.wo.to/

 

물고기의 눈은 보통 몸의 왼쪽과 오른쪽에 하나씩 붙어 있습니다.
그런데 일부 종인 넙치와 가자미처럼 두개의 눈이 몸의 한 쪽에 몰려 있는 것과

앞이나 위쪽을 보고 있는 것 등 여러가지 형태의 눈을 가지고 있기도 합니다.


물고기의 눈은 사람과 비슷한 비슷한 구조를 가지고는 있지만,

물건을 보고 촛점을 맞추는 씨스템에서는 물고기의 눈은 사람과는 틀립니다.

 

사람의 눈은 사진기와 확대경 처럼 렌즈 형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사물을 볼 때 늘어나거나 움츠러들어 거리를 조정해서 볼 수 있지만,

물고기는 공모양을 하고 있기 때문에 눈의 수정체 두께를 변화 시킬 수 없고,

그래서 근육으로 공 모양의 렌즈를 앞뒤로 움직여 거리를 조절합니다.

아마 어항에 물고기를 보게 되면 먹이를 먹을 때와 같이

가차운 거리에 물건을 보기 위해서는 물고기는 둥근 모양의 눈이 튀어 나오는 것을 볼 수 있을 겁니다.

 

그래서 물고기의 초점은 한계가 있게 마련이어서 매우 근시안이 될 수 밖에 없읍니다.

시력이 1.2 정도인 사람을 100으로 친다면, 물고기의 시력은 15 정도 뿐이 안되기 때문에 

이것은 사람의 시력의 1/7 정도 뿐이 안되는 근시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만일 잠수인이 핏싱을 위해서,

물속에 작살을 들고 물고기에 접근하다면,

분명 물고기보다 사람이 먼저 보게 되겠지만,

그래도 물고기가  미리 감지하고 도망을 가게 되는 것은

물고기 등옆으로 길게 "옆줄"이라는 물의 파형을 느끼는 예민한 감지부의에 의해

자신의 위험을 느끼게 되어 도망가게 되는 것 입니다.

 

출처: "대구 아쿠아리움"에서 발췌

 

첨부이미지

 

 

 

 

 

애미메이션 인어공주라는 영화에서 차용되는 인어의 이미지는

저렇든 쫙 빠진 몸매를 지닌 미녀로 그려내고 있다.

사실 이러한 이미지로 그려지게 된 것은 유럽의 예전 전설에 따른 것이다.

바다에서 유혹하는 노래소리에 끌려 바다로 잡혀 간다는 전설,

확실히 선원을 유혹해서 바닷속에 빠뜨려 죽이려면 저 정도는 되야 할 듯 하다.

 

 

로렐라이 전설이나 스타벅스의 상징인 세이렌이 모두 이와 같은 인어의 일종이다.

인어에 관한 전설은 일본에도 있는데 일본에서는 "인어 고기를 먹으면
불로장생한다"라고 한단다.

그것을 모티브로 한 다카하시 루미코'인어의 숲'과 '인어의 상'등 있으니까 말이다.

그럼 인어는 실제로 존재하는 것일까?

 

애초에 아무것도 없는 것에서는 인간의 상상력도 발휘되지 않으니

예전에 인어 비슷한 것이라도 있지 않았을까?

그러한 의문에 답을 해주는 것이 바로 듀공이다.

 

 

첨부이미지

 

 

듀공은 물위로 올라올 때 새끼를 가슴에 안고 있어

옛날(15세기경) 선원들이 이것을 보고 인어등으로 착각했다는 것이다.

남자들만 득실득실하는 배 위에서 몇달을 보내곤 하던 선원들이니 반쯤 정신이 나가서 착각했을 법도 하긴 하다.

 

 

 인어에 대한 여러가지 이야기들


1403년
네덜란드의 어떤 시골에서 인어가 잡혔다고 한다.

15년간 감금 상태에서 살았는데 양털 잣는 일도 배우고 십자가 앞에서 기도할 줄도 알았다고 전해지고 있다.

 

18세기 초 보르네오 해안에서 푸른 눈에 물갈퀴를 가진 인어가 붙잡혔다고 한다.

물탱크에 넣었는데 고양이 똥 같은 배설물을 내놓고는 나흘 뒤에 굶어 죽었다고 한다.

 

 

인어 미라 사진들... 



 

 



첨부이미지

 

 

 

첨부이미지

 

 

 

 

첨부이미지

 

 

 

 

첨부이미지

 

 

 

 

첨부이미지

 

 

 

상당히 끔찍한 모습들이긴 하지만 실제로 존재하고 있는

인어(혹은 반인반어라 일컬어 지는)의 미이라 들이다.

박물관에도 진열되어 있다는 이것들은 다시 한번 인어의 존재에 대해 의문을 품게 만든다

(진위 여부에 대해 혹자는 물고기와 원숭이를 반씩 잘라서 꿰맸다고도 한다).

과연 인어는 있을까?

아니면 단순히 돌연변이 물고기를 보고 그러는 것일까?



 

출   처: 눈에 보이는것이 다 진실은 아니다,, / / sadko / 2006.01.03 [원문보기]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