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단 "불법 그물이 원인" 어민 "개발위해 수위낮춘 탓"

멸종 위기에 놓인 소형 고래인 상괭이 100여마리가 내부 개발이 진행중인 새만금 방조제 안쪽 해역에서 떼죽음한 채 발견됐다.

국제적 보호종인 상괭이가 그물에 걸리거나 기름오염 때문에 1~2마리씩 죽은 사례는 있지만 이처럼 대규모로 폐사한 것은 국내에서 처음이다.

 

8일 한국농어촌공사 새만금사업단과 군산해경 관계자들의 말을 종합하면,

지난 3일부터 군산시 신시도 배수갑문과 가력도 사이의 새만금 방조제 안쪽 제방과 수면 위 그물 등에서 죽은 채 떠밀려온 상괭이가 잇따라 발견됐다.

 

해경의 현장조사 뒤 4일 쓰레기수거업체가 12마리를 매립한 데 이어,

7일에는 농어촌공사의 요청을 받은 어민들이 선박 5척을 동원해 67마리를 수거했다.

8일에도 어선 2척이 나가 25마리를 거두었다.

수거작업을 한 신명수 비응도 어촌계장은 "부패가 상당히 진행된 상괭이를 뱃전이 넘치도록 수거했다"며,

"앞으로도 더 많은 상괭이가 죽은 채 발견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상괭이는 대개 길이 1.5~2m의 성체였으며,

암컷 한 마리의 뱃속에선 출산이 임박한 태아가 죽은 채 발견되기도 했다고 신 계장은 덧붙였다.

 

해경은 상괭이에 불법 포획의 흔적이 없어 자연적인 이유로 죽은 것으로 추정했고,

새만금사업단 쪽은 "어민들이 불법으로 쳐놓은 그물에 상괭이가 걸려 죽었다"고 밝혔다.

그러나 어민과 환경전문가들은 이번 사태가 본격적인 새만금 개발을 위해 무리하게 수위를 낮춰 빚어진 예고된 생태재앙이라고 반박했다.

새만금시민생태조사단 오동필씨는 "내부 개발을 위해 수위를 낮추고 수문을 닫아 호수의 염도가 낮아지고 수질이 악화 되었다. 또한  한파에 결빙이 되어 질식사의 가능성도 있지만  조사가 필요하다."라고 말했다.

 

환경부는 내부 개발 공사를 시작하기 전에 환경 관리 가이드라인을 마련했지만,

동물이 떼죽음했을 경우 주검에 의한 2차 오염을 막는 등의 사후처리만 규정하고 있을 뿐이다.

 

 

한겨레 > 조홍섭 환경전문기자, 전주/박임근 기자  ecothink@hani.co.kr

공식 SNS 계정: 트위터 www.twitter.com/hanitweet / 미투데이 http://me2day.net/hankyoreh

중국의 한 어민이 300만위안(한화 약5억1천만원)에 달하는 황순어(黃唇魚.Chinese Bahaba)를 잡아 화제가 되고 있다.

홍콩의 빈과일보(apple daily)는 1일 "중국 푸젠성 핑탄현의 한 어민이 고기를 잡으러 동중국해로 나갔다 길이 1.93m에 달하는 초대형 황순어를 그물로 낚아 올리는데 성공했다"고 보도했다.

매체에 따르면 이 황순어는 무게가 90kg, 가슴 둘레만 1.22m에 달하며 어민은 인근 어판장에서 150만위안(2억5천500만원)에 팔았다.

[황순어. 사진 = 홍콩 빈과일보 캡쳐]

 

이후 이 황순어는 다시 중간상인을 거쳐 최종 소비자에게 300만위안에 넘는 가격으로 팔린 것으로 알려졌다.

어민에게 대박을 안긴 황순어는 남중국해와 동중국해에서 서식하며 '황금보다 비싼 물고기'로 통한다.

또 살은 물론 비늘과 아가미까지 고가의 약재로 사용되는 등 버릴게 없는 희귀어이다.

기사 제보 및 보도자료: press@mydaily.co.kr  

마이데일리( www.mydaily.co.kr ) :백솔미 기자

< 이미지: Guiyu oneiros의 상상도와 화석(PA) >

 

최소 4억 1900만 년 전 이전에 서식했던 것으로 보이는 어류화석이 발견돼 학계의 비상관심을 모으고 있다.

 

중국 과학원(Chinese Academy of Science)의 민 주 박사가 이끄는 고생물학 연구진은 고생대 실루리아기에 서식했던 ‘Guiyu oneiros’의 화석이 중국 남부지방에서 발견됐다고 과학저널 네이쳐(Nature)를 통해 발표했다.

 

이 어류화석은 지금까지 발견됐던 턱이 있는 어류화석 중 가장 오래된 것으로 보존 상태도 양호해 학술적 가치가 매우 높다고 평가되고 있다.

턱이 없는 어류 화석 중 가장 오래된 것은 북아메리카의 오르도비스기 중기 암석에서 발견된 어류의 갑피조각으로 약 4억 5000만 년 전의 것이다.

 

연구진에 따르면 이 화석은 폐어류, 공극류, 육지에 사는 척추동물 등을 포함하는 총기류(lobe-finned)의 맨 아래에 위치한다.

이를 근거로 연구진은“최소 4억 1900만 년 전 이전에 총기류(lobe-finned)와 조기류(ray-finned)가 분화되는 시점이 있었을 것”이라고 확신했다.

 

서울신문 나우뉴스( 강경윤 기자 newsluv@seoul.co.kr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