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다생물의 이름은 그냥 생긴 게 아니다.
찬찬히 내력을 더듬어 보면,
그렇게 불리게 된 수긍할만한 나름의 연유가 있다.
그 연유는,
곧 인간과 바다생물의 접촉 역사다.
해서, 그 이름들엔 바다생물에 대한 인간 지식이 압축돼 있다.
다양한 바다생물의 이름 유래를 살펴보면서 그들을 새롭게 이해하는 시리즈를 마련한다.
 
*************************************************
 
<5> 전어

맛으로 몸값 하는 '錢魚'
'가을 전어 참깨 서말' 등 속담도 다양

 
 

'가을 전어 대가리에는 참깨가 서 말',
'가을 전어는 썩어도 전어',
'전어 굽는 냄새에 집 나갔던 며느리가 다시 돌아온다',
'전어는 며느리 친정간 사이 문 걸어 잠그고 먹는다'….

물고기 가운데 맛을 비유한 속담이 전어만큼 많은 것도 드물다.
전어라는 이름도 맛에서 비롯됐다.
서유구의 임원경제지에 따르면,
맛이 좋아 사람들이 값을 따지지 않고 사들인다고 해서 돈 '전(錢)'자를 붙여 전어(錢魚)라 칭했다 한다.

전어는 남쪽에서 겨울을 보낸 후 4~6월에 난류를 타고 북상, 연안의 기수역에서 산란한다.
부화된 치어들은 여름동안 무럭무럭 자라 가을이면 몸 길이가 20cm 안팎에 이른다.

가을 전어가 명성을 떨치는 것은 가을에 지방질이 3배 이상 늘어나 맛이 아주 고소해지기 때문이다.
전어회를 즐기는 사람들은 그래서 초가을 횟집 문 앞에 '가을 전어 개시'라고 써붙인 호객 홍보지만 봐도 군침이 돈다고 한다.

 

전어는 성질이 급하다.
횟집 수족관 속의 전어를 보면 잠시도 가만있지 못하고 이리저리 정신없이 헤엄치고 돌아다닌다.
가뜩이나 급한 성질에 느닷없이 넓은 바다에서 좁은 수족관으로 옮겨졌으니 오죽 답답할까.
전어는 어선의 어창 속에서는 하루를 넘기기가 어렵다.
때문에 잡은 당일 바로 횟집으로 수송해야 한다.

파도가 높아 조업을 못 나가는 날은 전어 값이 급등,
금값이 된다.
가을전어 물량이 부족해지자 지난 2005년 10월,
일부 어민들이 경남 진해 해군부대 작전해역에까지 들어가 전어를 잡다 해군 경비함과 충돌하는 해프닝이 벌어지기도 했다.
어민들로선 가을 한철 대목잡기 위해 전어잡이 전쟁을 치뤄야 하니 '전어(戰魚)'인 셈이다.

횟집에서 전어를 주문하면 "세코시로 할까요?"라고 묻곤 한다.
뼈를 발라내지 않고 통째로 썬다는 뜻의 일말이다.
세코시에 대한 번역어는 아직 없지만 '뼈째 썰기'로 하자는 주장이 제기 돼 눈길이 간다.
에서는 전어를 '고노시로(魚祭)'라고 부른다.
고기 이름에 '제(祭)'자가 붙은 데서 제사 음식으로 올릴 정도로 귀하게 대접했음을 알 수 있다.
 
글∙사진 : 박수현 / 국제신문 사진부 기자

한국해양대학교 해양공학과와 동 대학원에서 수중잠수과학기술을 전공했고,남극을 비롯하여 세계 각지에서 1,300회 이상의 스쿠버다이빙을 통해 보고 경험한 바다이야기를 전달하고 있다.

저서로는 [수중사진교본], [어린이에게 들려주는 바다이야기], 제 24회 과학기술도서상을 수상한 [재미있는 바다생물이야기], 2008년 환경부 우수도서로 선정된 [바다생물 이름풀이사전], 2009년 교육과학기술부 우수도서로 선정된 [북극곰과 남극펭귄의 지구사랑]이 있다.

 

참고: 제 브로그중에 물안 보안경이라는 카테고리에서┗물안 상식 이라는 메뉴에

        제목이 가을빛 요술사 전어 <22회>(☜크릭-2009.07.25자 문서-)

                           전어 이야기 <23회> (☜크릭-2009.07.26일자 문서-)를 참고하세요...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