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다생물의 이름은 그냥 생긴 게 아니다.
찬찬히 내력을 더듬어 보면,
그렇게 불리게 된 수긍할만한 나름의 연유가 있다.
그 연유는,
곧 인간과 바다생물의 접촉 역사다.
해서, 그 이름들엔 바다생물에 대한 인간 지식이 압축돼 있다.
다양한 바다생물의 이름 유래를 살펴보면서 그들을 새롭게 이해하는 시리즈를 마련한다.
 
*************************************************
 
<7> 참치

덩치,·맛 모두 참(眞)한, 참치

 
  참치는 요즘 다랑어류와 새치류를 통칭하는 용어로 사용되고 있다.

참다랑어의 별칭인 참치란 이름의 유래에 대해선 여러 설이 있다.
 
광복 직후 이승만 대통령이 수산시험장(현 국립수산과학원)에 들렀을 때 어류학자 정문기 박사에게 참치를 가리키며 이름을 물었다.

갑작스런 질문에 말문이 막힌 정 박사는 속으로 "참 난감하네"하고 되뇌다 갈치 넙치 따위처럼 우리나라 물고기 이름에 '치'자가 많이 붙는다는데서 힌트를 얻어 "참치입니다"고 대답했다 한다.
박일환은 우리말 유래사전에서 이 일이 있은 뒤 참다랑어를 참치라고 부르게 됐다고 전한다.


다른 설도 있다.
지난 1957년, 원양어선 '지남호'가 인도양에 첫 조업을 나갔다가 참다랑어 10여t을 잡아 부산항에 귀항했다.
당시 1m가 넘는 큰 몸집에 맛 또한 일품인 참다랑어를 먹어 사람들이 이름을 뭐라고 지을지 고민하다 일 이름인 마구로(眞黑)의 '진' 대신 같은 뜻의 우리말 '참'자을 쓰고 어류를 뜻하는 '치'자를 붙였다고 한다.
국내 유명 수산회사의 참치 홍보관에 전시된 기록이다.

그런데 참치가 실제로 어떤 물고기를 지칭하는지는 명확하게 정리돼 있지 않다.
횟감으로 사용되는 참다랑어 황다랑어 눈다랑어 등 다랑어류와 통조림을 만드는 가다랑어,
다랑어와 맛이 비슷한 황새치 청새치 흑새치 녹새치 등 입이 뾰족한 새치류까지 참치로 불리고 있다.

이에 대해 수산과학원 문대연 해외자원팀장은 참치를 다랑어류와 새치류를 통칭하는 용어로 정리한다.

참치가 원래 참다랑어를 지칭하는 말이었지만,
지금은 어느 한 종의 어류가 아니라 비교적 덩치 크고 등이 푸른 생선 모두를 포괄하는 광의의 용어로 그 쓰임새가 확장됐음을 엿볼 수 있게 하는 대목이다.

 

글∙사진 : 박수현 / 국제신문 사진부 기자

한국해양대학교 해양공학과와 동 대학원에서 수중잠수과학기술을 전공했고,남극을 비롯하여 세계 각지에서 1,300회 이상의 스쿠버다이빙을 통해 보고 경험한 바다이야기를 전달하고 있다.

저서로는 [수중사진교본], [어린이에게 들려주는 바다이야기], 제 24회 과학기술도서상을 수상한 [재미있는 바다생물이야기], 2008년 환경부 우수도서로 선정된 [바다생물 이름풀이사전], 2009년 교육과학기술부 우수도서로 선정된 [북극곰과 남극펭귄의 지구사랑]이 있다.

 

참고: 제 브로그중에 물안 보안경이라는 카테고리에서┗물안 상식 이라는 메뉴에

        제목이참치는 ‘보약’ (☜크릭)-2009.06.18자,

        참치 부위별 맛 세상!!! (☜크릭)-2009.05.14자, 문서를 참고하세요...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