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다생물의 이름은 그냥 생긴 게 아니다.
찬찬히 내력을 더듬어 보면,
그렇게 불리게 된 수긍할만한 나름의 연유가 있다.
그 연유는,
곧 인간과 바다생물의 접촉 역사다.
해서, 그 이름들엔 바다생물에 대한 인간 지식이 압축돼 있다.
다양한 바다생물의 이름 유래를 살펴보면서 그들을 새롭게 이해하는 시리즈를 마련한다.
 
*************************************************
 
<4> 오징어

까마귀 잡아먹는 '烏賊魚'라
 
  야행성인 오징어는 낮동안 비교적 수심이 깊은 곳에서 휴식을 취한다. 박수현 기자

우리 나라만큼 오징어를 즐겨먹는 국가도 드물것이다.
해양수산부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에서 소비된 수산물 416만9000t 가운데 오징어가 6.4%(26만6000t)를 차지,
명태(38만3000t)에 이어 2위를 기록했다.
하지만 명태 소비량 중 상당량이 게맛살이나 어묵 가공용으로 사용되는 점을 고려하면 선호도에서는 오징어가 단연 1위라 할만하다.
 
오징어는 예로부터 우리 민족과 친숙한 어류여서 그런지 이름에 얽힌 이야기가 다소 해학적이다.

정약전은 자산어보에서 까마귀를 잡아먹는 도적이라는 뜻인 오적어(烏賊魚)가 오징어의 어원이라고 한다.
 오징어가 물 위에 죽은 척 떠있다가 까마귀가 내려앉아 쪼려할 때 긴 팔로 휘감아 물 속으로 끌어들인 다음 잡아 먹는다는 것이다.
그러나 오징어가 까마귀를 잡아먹는 일은 설사 있다 해도 아주 드물었을 것이다.
 
그렇다면 오징어에 까마귀 '오'자가 붙은 것은 어떤 연유일까.
오징어가 까마귀를 사냥한다는 접근보다는 먹물을 뿜어대는 오징어를 보고 검은색의 상징동물인 까마귀가 연상되었을 것이라는 이청(정약용의 제자로 정약전의 자산어보에 주(註)를 달았다)의 해석이 더욱 설득력이 있다.

이청은 중국식으로 까마귀 '오'자에 물고기를 뜻하는 '즉()'자를 사용,
'오즉'이라 명명한 초강목에 주목했다.
'오즉'이 우리 나라로 전해지면서 음이 비슷한 '오적어'로 변모하고,
'오적어' 한자 표기에서 까마귀 도적이라는 이야기가 만들어졌을 것이라는 견해를 피력하고 있다.

그런데 오징어에게 도둑놈 심보가 있는 것은 사실이다.
날아다니는 까마귀를 잡아먹는 까마귀 도적이 아니라 수컷의 교미 형태를 빗대어 하는 말이다.
번식기가 되면 수컷들은 8개의 발 외에 양쪽으로 길게 뻗은 한 쌍의 더듬이 팔을 가지고 암컷들을 앞다투어 붙잡는다.
그 대상은 어린 암컷들이다.
이를 두고 음흉한 도둑놈 심보를 가졌다고 평하기도 한다.

오징어 먹물로 글씨도 쓸 수 있다.
처음에는 일반 먹물보다 광택이 나고 진하지만, 시간이 지나면 말라붙은 먹물이 종이에서 떨어져나가 글씨가 없어진다.
그래서 믿을 수 없거나 지켜지지 않는 약속을 가리켜 '오적어묵계(烏賊魚墨契)'라는 말을 쓴다.

 

글∙사진 : 박수현 / 국제신문 사진부 기자

한국해양대학교 해양공학과와 동 대학원에서 수중잠수과학기술을 전공했고,남극을 비롯하여 세계 각지에서 1,300회 이상의 스쿠버다이빙을 통해 보고 경험한 바다이야기를 전달하고 있다.

저서로는 [수중사진교본], [어린이에게 들려주는 바다이야기], 제 24회 과학기술도서상을 수상한 [재미있는 바다생물이야기], 2008년 환경부 우수도서로 선정된 [바다생물 이름풀이사전], 2009년 교육과학기술부 우수도서로 선정된 [북극곰과 남극펭귄의 지구사랑]이 있다.

 

참고: 제 브로그중에 수중 물안경 이라는 카테고리에서┏수중 생태 라는 메뉴에

        제목이 "오징어"에 대한 이야기(1)(☜크릭)-2006.09.29자 문서부터 씨리즈로 4편이 있읍니다.

        참고하세요...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