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뉴스 2007-04-11 13:53]


태양계 외부에 존재하는 행성의 대기 속에서 물이 발견되었다고
10일 해외 언론들이 일제히 보도했다.

이번 발견은 사상 최초의 사건으로,
생명체에 필수적인 물이 다른 행성들에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행성 HD209458b의 대기에 수분이 있음을 확인한 미국 애리조나 로웰 관측소의 천문학자 트래비스 바먼은 “하나의 외계 행성(extrasolar planet)에 수증기가 존재하는 것을 알아냄으로써, 다른 행성들에도 수증기가 있다고 믿을 충분한 근거가 생겼다”고 말했다.

지구로부터 150광년 떨어진 HD209458b는 천문학계에서는 유명한 행성이다.
처음으로 직접 관측된 외계 행성이며,

대기 중에 산소와 탄소가 존재한다는 사실이 확인된 최초의 외계 행성인 것이다.

지난 2월 천문학자들이 이론상으로는 존재해야 할 물이 이 행성에서 발견되지 않았다고 발표한 바 있는데,
트래비스 바먼 등은 허블 망원경 자료를 근거로 새롭게 연구를 진행해 물의 존재를 발견하는 데 성공했으며 관련 논문은 학술지 ‘천체물리학 저널’에 실린다.

NASA의 과학자 조나단 포트니는 이번 발견이 대단히 중요하다고 평했다.
태양 이외의 항성 주위를 도는 행성들의 대기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진전을 이루었다는 것이다.

박운찬 기자 (저작권자 팝뉴스)

 

제주도의 수중 세계는 수려한 경관과 형형색색의 연산호등 수많은 산호들

 

그리고  아열대 어종의 화려함이 다이버들로 하여금 탄성을 자아내는 곳이다.

 

그렇기 때문에 국내의 스쿠버다이버들은 제주도를 스쿠버다이빙의 천국이라 한다.

 

그중에서도 서귀포시 안덕면 화순리의 바다는 맑은 바닷물 속에 울긋불긋한 산호와

 

천연색깔을 가진 물고기, 화순 쌍굴이라는 수중동굴과

 

크고 작은 수중 아치가 펼쳐지는 해저경관은 그야말로 장관이다.

 


제주바다는 아열대 영향으로 연중 수온이 20도로 유지되기 때문에 한 겨울에도 다이빙이 가능하다.

 

가장 수온이 차다는 1~2월에도 수온이 15도를 넘나드는 따뜻함을 보였다.

 

 

스쿠버를 경험해 보지 않은 대부분의 사람들은 스쿠버 다이빙의 최적기를 여름으로 알고 있다.

 

제주도 스쿠버다이빙의 최적의 시기는 여름이 아니다.

 

1년중 수중 투명도가 가장 높을때는 산란기가 끝나고 수온이 올라가는 4,5월

 

9,10월로 이때가 스쿠버다이빙을 하기에 가장 좋은 적기로 꼽힌다.

 

 

겨우내 움츠렸던 다이빙의 세계로 뛰어들 시기가 되었다.

 

최적의 포인트에서 최상의 다이빙을 하기 위해 스쿠버장비를 정비 할 시기이다.

 

 

개인이 스쿠버장비 리페어 교육을 이수 하였다면 혼자서 정비를 할 수도 있겠지만,

 

전문업체 또는 강사에게 의뢰하여 정밀 검사 및 세척 등으로 스쿠버장비를 최상의 상태로

 

만들어 놓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출처: 다음 블로그 "대한민국 스킨스쿠버" 글쓴이: "다이버 하우스" 

'천체 망원경 > ┏ 바다 상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최호화 유람선  (0) 2007.06.22
실시간 연안 정보  (0) 2007.06.16
"해외 다이빙"계획에 필요 요건  (0) 2007.03.11
수중 주택(PARADISE IN WATER WORLD )  (0) 2007.03.09
심해(THE DEEP - BBC)-4  (0) 2007.03.08
 

지구인은 아무도 관측 못한

‘우주에서 본 일식 장면’

 

미항공우주국 나사는 12일 “어떤 사람도 관측하지 못한 일식 장면”이 촬영되었다고 소개했다.

 

태양 탐사선 스테레오 B가 지난 달 지구로부터 1백만마일 떨어진 지점에서 달이 태양을 지나는 장면을 촬영했다.

지구에서 보는 달은 태양과 똑 같은 크기로 보인다.

이 때문에 대단히 경이로운 일식 장면을 보게 된다.

 

하지만 사진 속에서 달은 태양에 비해 대단히 작다.

탐사선 스테레오 B는 지구보다 1백만마일 정도 뒤에 떨어져 있다.

 

스테레오 B는 지구위의 인간들보다 4.4배 먼 곳에서 달을 관측하는 것이며,

그 때문에 달의 크기도 그 만큼 작아 보이는 것이다.

 

당연한 이야기지만, 보는 위치에 따라 세상 만물은 다르게 보이는 것이다.

 

출처:이상범 기자 (저작권자 팝뉴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