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자연사 박물관은 말 그대로 해양생물을 전시하는 전문 박물관이며,

수산과학관, 해양수산과학관, 해양박물관 등의 명칭을 갖고 있는 곳들도 기본적으로는 해양생물들을 전시하면서도 그외 해양학, 수산업, 해운업 등과 관련된 자료들까지 포괄적으로 전시하고 있다.

따라서 해양생물에 주된 관심을 갖고 있는 다이버들이라면 해양자연사박물관이 우선적으로 가볼만한 곳이지만,

여건상 그렇지 못하다면 수산과학관, 해양박물관 등에서도 어느 정도 해양생물에 대한 정보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들 박물관은 어류, 연체동물, 갑각류, 해양 포유류, 해양 파충류, 해양 조류 등의 다양한 해양동물들을 모형이나 박제로 만들어서 전시하고 있으며, 패각이나 뼈 등의 잔류물들과 화석 등도 전시하고 있다.

종종 수조를 이용해서 살아있는 동물들도 전시하고 있지만 그 수는 대형 수족관들에 비하면 많지 않다.


그러나 비록 죽은 동물들일지라도 그 크기를 가늠할 수 있도록 실물로 구성하여 전시해 두었으며,

또한 해양동물들의 서식 환경을 알 수 있도록 파노라마(panorama, 실물이나 실물 크기의 모형을 배치한 무대 배경)나 디오라마(diorama, 축소 모형들로 배치한 무대 배경)를 구성해 두기도 했다.


이들 박물관에는 일반인들은 물론 다이버들도 실제 보기 힘든 희귀 동물들을 많이 전시해두고 있는데 거대한 고래상어나 개복치는 물론 투구게, 산갈치 등과 각종 상어 등을 두루 구경할 수 있다.

모형이라서 그렇지 아쿠아리움에 비할데 없이 다양한 해양 동물들을 볼 수 있는 것이다.


부산해양자연사박물관

http://sea.busan.go.kr


 
길이 8m의 고래상어 박제.


 
수족관에 전시되고 있는 철갑상어들.


 
박물관 마당에는 대형 공룡 모형이 전시되어 어린이들의 관심을 끌었다.

부산시 동래구 온천동 금강공원 입구에 위치한 부산해양자연사박물관은 부산시에서 운영하는 공공기관으로 국내에서는 그 규모가 최대이다.
1994년 6월 세계해양생물전시관으로 개관했는데 당시 김동섭 박사로부터 17,000점의 전시품을 기증받아 전시관을 마련했다.

그후 1996년과 2003년 증축하여 지금은 3층 건물의 전시관 2동이 되었고 총 전시면적은 8,905m2이다.

부산해양자연사박물관으로 개칭된 것은 2000년부터이다.
박물관에는 패류관, 갑각류관, 두족류/극피류관, 상어류관, 관상어류관, 산호류관, 어류관, 한국수계지원관, 화석관, 해양생물공예품관 등의 해양동물 전시관이 있으며, 그외 열대 파충류를 전시하고 있는 열대생물 탐구관, 특별전시실, 영상과학실, 수장고 등이 있다.
근처의 금강공원에는 식물원과 놀이시설이 있으며, 금정산 정상까지 올라가는 총길이 1,260m의 케이블카가 있다. 또한 유명한 동래 온천장과도 가깝다.


관람시간: 9시~18시, 매주 월요일과 1월 1일은 휴관.
관람료: 어른 2,500원, 청소년 1,500원, 어린이 600원.
가는길: 부산 톨게이트에서 10분 거리, 온천장 근처.


해남땅끝 해양자연사박물관
(사설 박물관)

http://www.tmnhm.com


전남 해남군 송지면에 위치한 해남땅끝 해양자연사박물관은 임양수 관장이 지난 2002년 개관한 사설박물관이다.

13여년간 원양어선 선장생활을 했던 임양수 관장은 전세계를 다니면서 해양에서 발견된 다양한 희귀생물들을 수집하여 소장해왔고 결국 자신의 꿈에 따라 박물관을 열게 되었다고 한다.
해남땅끝 해양자연사박물관은 폐교된 통호분교를 개축한 3000여 평의 전시실에 2200여종 25,000 여점의 해양생물 표본을 전시하고 있다.

대부분의 전시물들은 임양수 관장이 직접 수집하여 제작한 박제들이다.

고래상어와 돗돔 등을 전시한 희귀해양생물관, 해양생태계를 그대로 재현한 해양생태 디오라마관, 산호관, 세계 패류관, 상어관, 고래관, 갑각류관, 곤충관, 포유류 및 파충류관 등의 전시관이 있다.


관람시간: 하계 9시 30분~22시, 동계 9시 30분~18시. 연중무휴
관람요금: 어른 3,000원, 중고생 2,000원, 어린이 1,000원
가는길: 해남읍에서 송호리 해수욕장과 땅끝 관광지 지나 4km 지점, 해남읍에서 승용차로 40분.

서천해양박물관
http://www.scmm.co.kr


일출/일몰을 볼 수 있는 서해 충남 서천군 서면 마량리 언덕 위에 위치한 서천 해양박물관은 3,500평의 터에 있는 2층 건물로 600 여평의 규모이다.
1층 전시관에는 150,000 여점의 패각이 전시된 이매패, 복족류관, 500 점의 산호가 전시된 산호관, 2,000 점의 어류 박제가 전시된 어류관, 1,000 점이 전시된 갑각류관을 비롯해서 살아있는 철갑상어와 열대어를 전시한 수족관, 어린이들이 직접 만져볼 수 있는 터치풀이 있는 생태체험관 등이 있으며,

2층은 스낵 코너와 나비 및 곤충 전시실 그리고 120명이 동시에 관람할 수 있는 입체영상관 등으로 꾸며져 있다.
또한 서천해양박물관이 있는 마량마을은 우리 나라 최초로 성경이 전래된 곳이며,

당진의 왜목마을과 함께 서해에서는 드물게 일출과 일몰을 함께 볼 수 있는 곳으로도 유명하다.

12월 중순부터 1월 중순까지 남쪽으로 시원하게 열린 바다를 통해 태양이 떠오르며,

일몰을 볼 수 있는 동백정이 있는 마을 옆 동산은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500년이 넘은 동백나무로 덮혀있다.


관람시간: 하계: 9시~18시, 동계: 10시~17시, 연중무휴.
관람요금: 일반 4,000원, 소인 2,500원
가는길: 서해안고속도로 춘장대 나들목에서 나가 춘장대해수욕장 방향으로 가면 서천해양박물관 이정표가 나온다.

진해해양공원 해양생물테마파크
http://new.jinhae.go.kr/park/


경남 진해시 명동의 음지도에 건립된 진해해양공원내에는 해양생물테마파크가 있다. 해양생물테마파크는 2006년 4월 28일 개관했는데 연건평 582평의 3층 건물이다.
1층은 유영생물전시관으로 어류, 상어와 고래 등의 박제와 심해물고기 입체 영상, 한대바다 생물 박제, 바다 속 디오라마 등이 전시되어 있고,

2층은 저서생물전시관으로 자포동물, 절지동물, 피낭동물, 환형동물, 극피동물, 연체동물 등의 박제와 패각, 바닷가 디오라마, 진주 등이 전시되어 있다.

3층은 기념품점과 씨푸드 전문점 등이 있다.


진해해양공원에는 그외에도 해전사체험관, 군함전시관 등이 있으며 명동마을과 음지교라는 다리로 연결되어 있다.

현재까지는 1단계 공공부문 사업이 완료되었고, 앞으로 해양체험장, 수족관, 리조트 등으로 구성된 2단계 민자부문 사업이 2010년까지 추진될 계획이다.


관람시간: 하계 9시~20시, 동계 9시~18시
관람요금: 어른 3,000원, 학생군인 2,000원, 어린이 1,000원
가는길: 진해해양공원내

부산수산회 수산과학관
http://fsm.nfrda.re.kr


부산 수산과학관은 지난 1997년 5월 개관된 국내 최초의 해양수산종합 과학관이다.

국립수산과학원은 ’91년부터 6년 동안 그간의 연구자료와 전문연구원들의 노력으로 해양자원, 어업 및 양식기술, 바다목장, 수산물 이용 가공, 어류 박제, 수족관, 선박전시관 등 15개의 주제별로 자료들을 수집하여 전시 영역을 갖추게 되었다고 한다.
전시관 입구에는 참고래 실물 골격과 선박조종 체험실, 어업기술실, 수산이용가공 코너등이 있고,

수산생물실에는 산호류와 갑각류, 어류, 패류 등 2,000여 점의 생물들을 액침 표본으로 전시되어 있다. 또한 실내 수족관에는 철갑상어, 까치상어 등의 살아있는 어류들이 있고,

미니 터치풀도 있다. 전체 전시물은 총 7,400 여점이다.


수산과학관은 국립수산과학원에서 운영하다가 2005년부터 사단법인 한국수산회로 운영을 이관했다.

이후 한국수산회는 청소년 바다체험과학교실, 물고기 방류 체험, 특별전시회 등의 기획행사를 통해 체험학습장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게 운영하고 있다.


주소: 부산시 기장군 기장읍 시랑리
관람시간: 하계 10시~17시 30분, 동계 10시~16시 30분
휴관일: 공휴일 다음날, 1월 1일, 설날과 추석 연휴
관람요금: 어른 1,500원, 학생 및 어린이 1,000원
가는길: 부산 송정해수욕장에서 해안도로로 10분 거리

화진포해양박물관 아쿠아리움
Hwajinpo Marine Museum Aquarium

http://www.coexaqua.co.kr/hwajinpo/



화진포해양박물관 아쿠아리움의 해저터널 수족관




감성돔 치어들이 마치 눈송이처럼 수족관을 휘날리고 있다.



강원도 고성군 현내면 화진포 관광지구 내에 위치한 화진포 해양박물관은 패류박물관과 어류전시관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여기에 해저터널이 있는 수량 3백여 톤의 수족관이 있다.
패류박물관은 지상 3층에 연면적 236평으로 각종 조개류, 갑각류, 산호류, 화석 및 박제 등 1,500여종 40,000 여점이 전시되어 있다.
어류박물관은 지상 3층에 연면적 320평이고, 수량 400톤, 전시수조 29개, 사육수조 10개가 있다.

코엑스 아쿠아리움에서 수족관을 설계, 시공했으며, 운영을 대행하다가 2006년 7월 1일부터 고성군에서 직접 운영관리 하고 있다.
입체영상관에서는 화진포 호수의 생성과정, 어부들의 고기잡이 모습, 돌고래의 여행 등 20여편의 영화를 상영하고 있다.
강원도 고성군 지역으로 가족과 함께 다이빙 여행을 갔을 때 가족들이 구경하기에 좋은 곳이다.

일기가 좋지 않아 다이빙을 못하게 되었을 때 다이빙 활동 대신 가볼만한 곳이다.


관람시간: 9시~18시, 연중무휴
이용요금: 어른 5,000원, 청소년 4,000원, 어린이 3,000원.

그외 계획 중인 아쿠아리움


도심의 대형 수족관들이 사업적으로 성공을 거두면서 최근 각 지자체들마다 앞다투어 수족관을 유치, 건설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자금 조달에 어려움을 겪으면서 실질적으로 진행될 수 있을지 염려스러운 곳이 대부분이다.

인천은 착공식이 진행되었고, 경기도 고양의 경우 시행사가 다시 선정되었지만,

제주도나 그외의 아쿠아리움은 시행 여부를 예측하기도 어려운 상황이다.

그럼에도 다른 지자체들은 계속해서 대형 수족관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인천 아쿠아리움
Incheon Aquarium


지난 2006년 4월 인천시 연수구 옥련동의 송도국제도시 인근 해안도로변 14,500 평 부지에 2007년 9월 완공 계획으로 인천 아쿠아리움 건설 공사가 착공되었다.
규모는 국내 최대인 지하 1층, 지상 4층에 연면적 4,200 평으로 실내에 높이 9.5m, 지름 6m의 세계 최대 원형 수조(3,910t 규모) 등 다양한 수조가 들어서며, 고래상어를 포함해 650 종 53,000 마리의 다양한 해양생물을 전시하고, 일부 수조는 관람객이 직접 들어가서 다이빙 체험을 할 수 있도록 설계된다.

그외 입체영상 상영관, 레스토랑, 야외 어린이 공원, 바다 전망대등이 함께 들어서게 된다.
인천시는 건설용 토지를 제공하고 민간사업자는 모두 464억원을 투자해서 인천아쿠아리움을 건설, 25년간 운영한 후 인천시에 운영권을 돌려줄 예정이다.

제주 아쿠아리움
Jeju Aquarium


제주도는 2003년부터 국비 700억원, 도비 300억원 등 1천억원을 들여 5만평 부지에 수족관, 박물관, 전시관 등을 갖춘 연건축 면적 1만 2천평 규모의 해양수족관 건립하는 사업을 추진해왔다.

그러나 국비 지원을 얻는데 실패해 3년이 넘도록 사업 추진에 별 다른 진전을 보지 못하고 있다.


지난 2005년 제주도는 사업 추진 방식을 민간자본을 끌어들여 건립사업을 추진한 뒤 정부가 임대해 사용하는 민간투자방식(BTL)으로 방향을 틀었다.

그러나 기획예산처 산하 심의위가 민자투자가 가능한 과학관이나 수족관 건립사업은 심도있는 검토가 필요하다며 심의를 보류해 1차 관문 통과에 실패했다.
한편 제주대 관광과 경영연구소는 해양수족관 건립 후보지로 제주시 이호해수욕장, 서귀포시 중문관광단지, 북제주군 협재해수욕장, 남제주군 성산읍 섭지코지 등 4곳을 제시했었다.

고양 아쿠아리움
Goyang Aquarium


경기도 고양시 한국 국제전시장에 들어설 예정인 아쿠아리움 건립 사업은 외자 유치 차질 등으로 지연되고 있다.

경기도는 지난 1999년 스페인 카탈루냐 주 정부와 자매결연 하면서 ‘스페인 자본 유치, 고양 아쿠아리움 건립 계획’을 발표한 뒤 사업을 추진해 왔다.

그러나 자국 투자자 모집에 난항을 겪던 스페인 사업자가 사업을 포기하면서 고양시는 2005년에 다시 부산 아쿠아리움을 운영하고 있는 호주의 오세아니스 그룹을 사업자로 선정했다.
고양 아쿠아리움은 고양시 한국 국제전시장 부지 8천47평에 워터파크와 열대, 아마존, 극해, 돌고래 쇼장, 식물원, 동물원 등 6개 테마촌으로 조성될 계획이었는데 수족관은 서울 코엑스 아쿠아리움의 5배, 63빌딩 수족관의 11배 크기로 동양 최대 규모였다.


2006 07/08 나들이도 하고 구경 / 공부도 하고

한국의 아쿠아리움과 해양박물관
Aquariums and Marine Natural History Museums of Korea

선진국일수록 박물관이 많다는 것은 해외여행을 다녀온 사람들이면 누구나 공감할 것이다.

특히 다이버들이나 해양생물과 관련이 있는 사람들은 미국이나 일본, 유럽 등의 선진국을 방문하면 그 나라에 있는 아쿠아리움이나 해양자연사박물관 등은 꼭 관람하게 되는데,

이 때 다들 그 큰 규모에 놀라게 된다.

그리고 비싼 입장료에도 불구하고 아쿠아리움이나 박물관을 꾸준히 찾는 많은 수의 관람객들에 감탄한다.

아쿠아리움이나 해양박물관 등은 아이들은 물론 어른들에게도 직접 경험하지 못하는 수중 세상을 간접적으로 경험하면서 학습할 수 있게 해주는 좋은 공간이 된다.

흥미를 유발하는 신기한 해양 동물들과 아름다운 바다 물고기들을 보면서 호기심과 지적 욕구를 느끼게 되고 전시장 나래이터(Narrator)의 설명을 듣거나, 전시도록에 기록된 이야기를 읽고 학습하게 되는 것이다.

이런 현장 학습은 집에서 단순히 책이나 읽고 TV를 보는 것 만으로는 결코 느낄 수 없는 것들을 경험하게 해준다.

이렇게 아쿠아리움이나 해양박물관은 해양생물에 대한 대중의 지적 수준을 한단계 업그레이드 시켜주는 측면도 갖고 있다.

때문에 단순한 수익사업을 넘어 공공성을 띤 사업이라고 볼 수 있다.

하여 이들은 전시 이외에도 관람자들이 동참할 수 있는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과 이벤트들을 제공하여 어린이들과 일반인들이 쉽게 전시물들을 접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최근 국내에서도 아쿠아리움과 해양박물관 건립이 붐을 이루고 있다.

자라나는 어린이들이 직접 부딪혀 보며 자연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현장 체험학습과 더불어 직접 경험할 수 없는 것들은 간접적으로 나마 경험하게 해주고자 하는 현대적인 교육 열정 때문이다.


현재 국내에 있는 아쿠아리움과 해양박물관에는 어떤 것들이 있고,

어떻게 이용할 수 있는지를 살펴보기로 하자.

(해양수족관)


국내에는 현재 4개 정도의 대형 해양수족관 (Auarium)이 있는데,

서울과 부산 등 대도시에 있는 수족관들은 모두 연간 100만명 정도의 관람객들이 방문하는 등 상당한 호황을 누리고 있다.

이들 수족관은 단지 해양생물들을 전시하는 것뿐만 아니라 관람객들이 전시물을 통해서 해양생물들을 학습할 수 있는 프로그램들을 제공하고 있어서 어린이 및 청소년 체험학습장으로서의 가치를 발휘하고 있다.


또한 관람객들이 전시생물들을 직접 만져 보면서 체험할 수 있는 터치풀,

스쿠바 다이빙을 통해서 수조 안을 탐험할 수 있는 체험 다이빙 등은 물론이고,

상어나 전시동물들에게 먹이를 주는 피딩 쇼 등을 진행하며

관람객들의 흥미와 관심을 끌며 잊지 못할 경험을 제공해준다.

코엑스아쿠아리움
COEX Aquarium

http://www.coexaqua.co.kr/

 
코엑스 아쿠아리움의 최대명물 오션킹덤을 관통하는 해저터널


 
흉칙한 외모의 샌드타이거샤크와 다이버, 코엑스 아쿠아리움.


서울 삼성동 코엑스몰에 위치한 코엑스아쿠아리움은 현재까지 국내 최대 규모의 아쿠아리움이다.

지난 2000년 5월 오픈한 이래 6개월만에 관람객 100만명을 돌파했으며,

현재까지 한 해 평균 관람객이 100만명을 넘고 있을 정도로 계속해서 인기를 끌고 있다.
총면적 14,350m2, 시설면적 8,600m2이며, 전시수조 90여개에 사육수조가 140개이다.

전시탱크 용량은 2,300톤이며 전시 어종은 600여 종에 모두 40,000 마리에 이른다.


아쿠아리움은 물의 여행이라는 테마로 안데스의 고산지대에서부터 아마존의 열대우림을 재현하였고,

다시 세븐 씨(Seven Sea)라는 다양한 환경의 바다를 보여주고 있다.

가장 볼만한 곳은 오션킹덤(Ocean Kingdom) 수조로 투명한 해저터널을 통과하면서 흉칙한 이빨을 드러낸 대형 상어들과 가오리, 바다거북, 그루퍼, 곰치 등 대물들을 볼 수 있다.
최근 별관 전시장을 새로 단장하여 ‘우리터, 우리 물고기’전시관을 만들고 우리나라 민물생태계를 재현해 놓았다.

코엑스 아쿠아리움에는 오션킹덤을 관람하며 식사를 즐길 수 있는 레스토랑과 기념품 판매점도 있다.


지하철 2호선 삼성역에서 바로 연결되기 때문에 교통이 편리하며,

전시장, 영화관, 식당, 서점, 쇼핑몰 등이 함께 있는 코엑스몰에 있어서 가족 외출시 방문하면 다양한 여가 활동을 한꺼번에 할 수 있다.


이용시간: 8시~20시 연중무휴,
이용요금: 성인 15,500원, 중고생 13,000원, 어린이 10,000원.


63 씨월드
63 Sea World

http://www.63city.co.kr/63cityhome/jsp/tour/seaworld/

 
대회유 수조에서 진행되는 다이버들의 피딩 쇼

 
63 씨월드의 다이버가 수중 물개쇼를 진행하고 있다.

서울 여의도 63빌딩에 위치한 63 씨월드는 1985년 7월 국내 최초의 도심형 대형 수족관으로 개관한 이래 연간 100만명 이상의 관람객들이 꾸준히 방문하고 있다.
지하 1층 453평, 지하2층 470평, 전용 기계실인 지하 3층 155평을 합하여 총 1078평에 이르는 넓은 공간에 기본 전시수조 54개, 특수동물 사육용 수조 26개 등 총 80개의 수조가 있다.

특히 높이 2.1m, 둘레 42m, 저수용량 200톤 규모의 대회유수조는 투명 아크릴 두께만도 11cm나 되는 거대한 크기를 자랑한다.
여기에 400 여종, 20,000 여 마리의 해양생물들이 전시되고 있으며,

그외 파충류 전시관과 이벤트 전시관을 보유하여 다양하고 생동감 넘치는 전시를 유지하고 있다.

63씨월드는 관람객들을 위해 다양한 쇼를 공연하고 있는데 바다표범쇼, 물개쇼, 다이버쇼 등은 관람객들의 인기를 끌고 있는 독창적인 쇼이다.


서울의 대표적인 관광 명소인 63빌딩에는 63 씨월드 수족관 이외에도 아이맥스 영화관, 전망대, 스카이파크 등이 있어서 수족관 관람과 함께 다양한 구경과 놀이를 할 수 있다.

특히 해발 264m의 63 전망대에서는 한강과 서울도심을 굽어 볼 수 있는 곳이라 가볼만 하다.


이용시간: 10시~21시, 연중무휴
이용요금: 어른 11,500원, 청소년 10,500원, 어린이 9,500원

부산 아쿠아리움
Busan Aquarium

http://www.busanaquarium.com/


다이버가 수중에서 샌드타이거샤크에게 직접 먹이를 주는 부산아쿠아리움의 상어피딩 쇼

 

부산아쿠아리움은 다양한 볼거리와 이벤트로 관람객들을 즐겁게 해준다.
위는 부산아쿠아리움에서 진행된 수중 결혼식 장면.
부산 해운대 해수욕장에 자리한 부산 아쿠아리움은 지난 2001년 11월 개관한 최첨단 해저 테마 수족관이다.
해운대 구청의 민자유치 사업으로 호주 오세아니스 그룹이 390억원의 예산을 투자하여 만들어졌으며,
한국아쿠아리아21이 운영하고 있다.

연면적 4,000평 규모에 테마별로 40개의 전시수조가 있는데 모두 250종 35,000 마리의 물고기가 전시되고 있다.
최고의 볼거리는 300만 리터의 메인 수족관(상어 수족관)으로 80m의 아크릴 해저 터널을 통과하며 구경할 수 있다.
수족관 측에서는 다이버가 상어의 먹이를 주는 피딩 쇼를 진행하며,
관람객과 다이버가 대화할 수 있는 다이버 쇼도 진행하고 있다.

부산 아쿠아리움은 또한 수족관 관람 외에도 입체영상을 관람하는 해저탐험어드벤쳐(1인 5,000원),
상어 수조에서 다이빙 강사와 함께 다이빙하는 샤크 다이브(1인 다이버 55,000원, 체험 다이버 75,000원),
투명 바닥의 관람선을 타고 상어수조를 유람하는 상어수조관람선 탑승(1인 5,000원) 등의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다.
그외 기념품숍과 상어수조를 배경으로 한 연회실 등도 있다.

입장시간: 평일 10시~19시, 주말 9시~21시, 여름철 9시~22시
이용요금: 성인 15,000원, 중고생 12,500원, 어린이: 10,000원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