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5회]
 조선판 브리태니커, 임원경제지


▣방송 : 2009. 8. 1(토) 20:00~21:00 (KBS 1TV)
▣진행 : 한상권, 엄지인 아나운서
▣연출 : 나 영 PD
------------------------------------------------------------------------

 

19세기 조선에 세계적 수준의 백과사전이 있었다?

농업, 건축, 요리, 의학, 공학, 상업 등
당시 조선사회가 축적한 모든 지식의 총아(寵兒)
서유구의 임원경제지(林園經濟志).

임원경제지의 정보는 170여년이 지난 지금까지 진행형이다.
21세기에도 유용한 임원경제지의 정보와 문제의식을
역사스페셜에서 조명해본다.

 

세상의 모든 지식, 임원경제지! 어떤 지식을 담았나?

임원경제지는 당시의 지식을 농업, 기계, 과수, 어류, 식물, 천문, 요리, 건축, 의학, 수학, 천문, 음악, 그림, 관혼상제 등 16개의 분류로 정리했다.

 

▶집은 어떻게 지을 것인가?


서유구는 한옥을 발전시키고 진화시켜야 한다는 입장에서 글을 썼다.
그는
“... 바람이 스며들고 비가 새는 걱정과 참새가 구멍을 뚫고 쥐가 파고드는 우려며, 뱀이 서리고 고양이가 뒤척이는 걱정을 피할 길이 없다.”고 한옥 지붕구조의 문제점을 제기했다.

오늘날 건축가들도 임원경제지에서 제기된 여러 문제의식을 받아들여 현대의 상황에 맞게 개선, 진화시키고 있다.

 

▶삼각함수를 이해하다.

임원경제지에는 오늘날 사용되는 수학원리들을 소개하고 있다.
[設如正方體積一百二十五尺, 開立方, 問每一邊線長, 幾何]
이 문장은 [ⅹ³ =125]를 표현한 것으로 x의 세제곱이 125일 때, X는 얼마인가를 계산하는 법을 다룬 임원경제지의 수학부분이다.

그리고 sinx, cosx, tanx를 나타내는 정현(正弦), 여현(餘弦), 정절(正切)이라는 한자어를 사용하여 삼각함수의 원리를 설명하고 있다.

 

▶약주의 기원 약산춘을 만들다.


우리가 흔히
“약주 한 잔 하자”라고 할 때, 약주의 어원은 임원경제지에 등장하는 약산춘이다.

약산춘은 보통 술과는 다른 누룩을 써서 발효하기 어려운 겨울철에도 안전발효를 할 수 있다.

과학적 과정을 거쳐 만들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임원경제지에만 소개되어 있는 특이한 술도 있다.

술이 만들어졌을 때, 연꽃향이 난다고해서 이름 붙여진 하향주, 부드러우면서 향이 좋다.

[하향주 빚는 모습] [임원경제지에 기록된 제조방법에 따라
복원된 전통주들]

임원경제지에 소개된 240여 가지의 전통주 제조 방법은 전통주를 복원하는데 지침이 되고 있다.

복원과 더불어 전통주를 현대화한다면 충분히 상품화가 가능할 것으로 보여진다.

 

▶조선시대에도 카스테라를 먹었다?


임원경제지 정조지에는 각종 음식, 밥, 죽, 구이 등 당시 한 성인 남자가 알았다고 보기에 믿기 어려울 정도의 다양한 음식 정보가 있다.

흥미로운 점은 외국의 음식도 등장한다는 것이다.

서양의 카스테라를 만드는 법과 양귀비가 즐겨 먹었다는 동남아 과일 여지도 소개하고 있다.

이는 서유구의 지적 관심이 얼마나 다양하고 넓은지 알려준다.

이 책 한권으로 조선시대 의식주를 완전히 자급자족할 수 있을 정도의 정보를 습득할 수 있었다.

서유구가 임원경제지에 전하는 지식은 현실 속 관찰을 통해 수집된 정보였던 것이다.

 

 

임원경제지는 농업백과사전이다

임원경제지에서 농업을 다룬 본리지는 가장 많은 분량을 차지한다.

토질, 논의 종류, 수리, 곡식의 종류, 곡식의 재배 시기와 절차, 농기구 사용법 등 당시 조선에서 농사를 짓는데 필요한 모든 지식이 담겨있다.

양반 사대부가였던 서유구가 농업에 관심이 많았던 이유는 무엇이었을까?


서유구는 정조 때 규장각 초계문신을 지내며 개혁정치의 핵심에 있었다.

정조의 어명을 좇아 농업에 관한 자신의 견해를 내놓기도 했다.

정조의 죽음 후에도 화성유수를 맡아 정조의 뜻을 계승해 국영시범농장을 경영하고 적극적으로 발전시킨다.

임원경제지는 19세기 조선의 농업을 혁신하려 했던 정조의 이상이 스며든 책인 것이다.

 

 

임원경제지 완성의 숨겨진 비밀은 무엇일까?

[서유구 영정]

18세기 유럽에서 편찬된 백과사전은 당시 유럽 사회에 엄청난 충격을 주었고, 고양된 대중의 지적 수준은 근대 시민혁명의 토대가 되었다.
영국의 브리태니커, 프랑스의 백과전서는 당시의 계몽주의자들이 공동집필한 저서였다.

유럽 최고의 지식인들이 자신의 전문지식을 기고해 편집한 것이다.

그런데 서유구는 혼자, 그것도 손으로 써서 113권에 달하는 임원경제지를 완성했다.

물리적으로도 거의 기적에 가까운 일이다.


이렇게 방대한 양의 정보를 모으고 분류하는 것은 인터넷이 발달한 현재에도 어려운 일인데,

 서유구는 이 일을 어떻게 해냈을까?

 

풍석 서유구와 임원경제지

작가
염정섭, 옥영정|심경호|유봉학
출판
소와당
발매
2011.02.20

리뷰보기

 

 풍석 서유구와 임원경제지는...


서유구(1764~1845)는 조선 후기의 학자·문신. 자는 준평(準平), 호는 풍석(楓石),시호는 문간(文簡)으로 790년(정조 14)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외직으로는 군수·관찰사를 거치고, 내직으로는 대교(待敎)·부제학·이조판서·우참찬을 거쳐 대제학에 이르렀다.

 

서유구의 『임원경제지』는 19세기를 대표하는 저작물로서 농학에 큰 업적을 남겼는데,

 

기초적 연구로서 농업기술과 농지경영을 다룬 《행포지(杏浦志)》,

농업경영과 유통경제의 관련에 초점을 둔 《금화경독기(金華耕讀記)》,

농업정책에 관한 《경계책(經界策)》 등을 저술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토대로 아버지의 《해동농서(海東農書)》, 할아버지의 《고사신서(攷事新書)》의 <농포문(農圃門)>, 《증보산림경제》 《과농소초(課農小抄)》 《북학의》 《농가집성》 《색경(穡經)》 등의 여러 농서와 중국의 문헌 등 800여 종을 참조하여 《임원경제지(林園經濟志)》를 완성하였다.

 

임원경제지(林園經濟志)》는 농업기술로부터 일상생활, 문화예술, 나아가 국가 경영에 이르기까지 농업을 중심으로 문명론에서 거론될 만한 거의 전 범위의 주제가 정리된 책으로 조선뿐 아니라 중국, 일본 나아가 서양의 수천 년 연구 성과를 집대성한 전례가 없는 업적이다.

 

그러나 이 놀라운 성과에도 불구하고 『임원경제지』는 조선이 멸망할 때까지 서유구 집안에 필사본으로 존재했을 뿐, 출판이 되어 사회화되는 과정을 거치지 못했고 일제강점기에도 필사본으로 복제본을 만드는 데 그쳤다. 

해방 이후에도 주제의 다양함과 113권에 이르는 방대한 분량으로 인해 출판은 이루어지지 못했고 2008년에야 비로소 번역, 출판이 시작되었지만 그 출판이 늦어진 만큼 학계의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연구 성과도 미진한 실정이다. 

 

이 책은 그동안 한국사학계 여러 분야에서 진행되어 온 『임원경제지』에 대한 연구 성과를 종합한 첫 번째 단행본이다.

 

농업사, 서지학, 한문학, 사상사 연구자 4인이 정리한 『임원경제지』 16지 전체의 체제와 내용, 국내외 현존본의 현황과 서지적 특성, 박물 고증 방식과 문명사적 의의 그리고 저자 서유구와 달성 서씨 가문의 학문과 사상에 대한 연구는 향후 지속될 『임원경제지』의 번역, 출판과 함께 150년 전에 동아시아의 지식을 집대성한 서유구와 『임원경제지』의 업적을 재인식하는 출발점이 될 것이다.

 

 

차례

 


책을 펴내며

II. 『임원경제지』의 편찬과 구성 체제 및 주요 내용 : 염정섭
1. 머리말
2. 『임원경제지』의 편찬
3. 『임원경제지』의 구성 체제
4. 『임원경제지』의 주요 내용
5. 맺음말

II. 『임원경제지』 현존본과 서지적 특성 : 옥영정
1. 머리말
2. 서유구의 장서처와 필사 전용공책지
3. 『임원경제지』 현존본과 서지적 특성
4. 맺음말

IIII. 『임원경제지』의 박물 고증 방식과 문명사적 의의 : 심경호
1. 머리말
2. 『임원경제지』의 구조와 박물 고증 방식
3. 『임원경제지』와 유서 혹은 잡고의 관계
4. 조선후기의 지식 계보학과 『임원경제지』
5. 『임원경제지』의 문화론적 가치 

출처: http://www.kbs.co.kr/1tv/sisa/historyspecial/view/vod/1599959_30885.html

 


 

한글날 살펴보는 자랑스런 한글 맞춤법 
자주 틀리는 맞춤법 정리

안녕하세요^^ 판타시티입니다.

오늘은 세종대왕님께서 백성들을 위해 한글을 반포한지 565년이 되는 날이에요.

세계에서 가장 과학적이고 백성과 나라를 생각하는 마음이 가득 담긴 한글의 생일이죠.

요새는 컴퓨터와 스마트폰의 보급으로 한글 맞춤법이 편의 등을 위해 무시되는 경우가 많죠.

올바른 한글 맞춤법을 쓰려고 노력하는게 진정 한글 사랑이 아닐까 하는데요. 

 

10월 9일, 한글날이죠.

 

한글날을 맞아 자주 틀리는 한글 맞춤법을 알려드리려고 해요~

한글날이 국경일은 아니지만 우리는 한글의 위대함을 다시 한번 생각하고 그 뜻을 기리는 날로 오늘 하루를 보내야겠습니다.

 

 ‘글’과 ‘말’은 민족의 혼과 얼을 담고 있는 그릇이에요.

최근 조기 유학이다, 영어 수업이다 해서 어릴 때부터 영어를 모국어처럼 배우는 어린아이들이 많습니다.

그러나 우리 아이들에게 가장 먼저 심어줘야 하는 마음은 바로 한글에 대한 자긍심이 아닐까요?

판타시티와 한글날 살펴보는 자랑스러운 한글의 세계와 자주 틀리는 한글 맞춤법 정리! 

지금 바로 시작하겠습니다^^

 

 




    세계에서 가장 신비한 문자 – 한글

세계 문자 가운데 한글,

즉 훈민정음은 흔히들 신비로운 문자라 부르곤 해요.

그 이유는 세계 문자 가운데 유일하게 한글만이 그것을 만든 사람과 반포일을 정확하게 알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글자를 만든 원리까지 알고 있기 때문입니다.

 

한글날을 제대로 기념해야 하는 이유랍니다.

세계에 이런 문자는 없다고 해요.

그래서 훈민정음 해례본 (국보 70호)은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되어 있답니다.

‘한글’이라는 이름은 1910년대 초에 주시경 선생을 비롯한 한글학자들이 쓰기 시작한 것이에요.

여기서 ‘한’이란 크다는 것을 뜻하니, 한글은 ‘큰 글’이라는 뜻을 품고 있다고 할 수 있어요^^

 



우리민족은 예부터 중국의 한자를 ‘글’로 빌려 썼어요.

말과 글이 따로 노는 상황에서 당시의 지배층은 불편을 느끼기도 했지만,

한편으로는 그런 상황은 지배층의 권력을 유지하는 기반이 되었죠.

지배층만이 한문을 배워서 과거 시험을 볼 수 있었는데,

과거 시험은 양반 관료로 편입되어 정치적 권력과 각종 경제적 이익을 챙길 수 있는 기반이었던 것입니다.

이런 점을 염두에 둘 때, 세종대왕님이 일반 백성들의 문자 생활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한글이라는 쉬운 문자를 만들었다는 것은 백성을 지극히 사랑하는 군주의 획기적인 사건이었어요.

세종대왕은, 기득권 계층이 한글 같은 문자를 만드는 것을 달가워하지 않고 반발하리라는 것을 충분히 예상하고 있었고,

그래서 한글 창제를 매우 은밀하게 진행했다고 합니다.


 

이런 한글은 그 과학적인 우수성이 이미 세계에 증명되었어요.

한글의 한 글자는 하나의 소리로 발음되고 하나의 소리는 하나의 글자로 읽힙니다.

그래서 한글로 쓰인 말에는 발음부호가 필요 없죠.

말마디와 글자마디가 완전히 일치하는 한글의 우수성은 외국인이 우리글을 배울 때 고대로 드러납니다.

그래서 글자가 없는 소수민족이나 먼 아프리카에서는 한글을 고대로 가져다 배우기도 한답니다.

또 한글은 글자가 비슷하면 소리가 비슷하고 소리가 비슷하면 글자가 비슷한 특성을 가지고 있어요. ‘ㄷ-ㅌ, ㄱ-ㅋ’처럼 글자가 비슷하니 소리가 비슷하고 소리가 비슷하니 글자모양이 비슷하죠.

한글은 침이 마르도록 칭찬을 해도 모자랄 만큼 체계적, 과학적인 문자이고 배우기 쉽고 쓰기 쉬운 문자랍니다.

우리 ‘한글’, 더욱 아끼고 사랑해야겠죠?

한글날에 한글에 대해 알아보니 정말 뜻깊다는 소리가 절로 나오죠?  

 

 



    자주 틀리는 한글 맞춤법, 띄어쓰기 총정리

1. '왠지'와 '웬지' 의 차이


'왠지'는 의문사 '왜'와 어미 '(이)ㄴ지'로 분석되는 말이에요.

"왜인지 가슴이 두근거린다."라고 쓸때는 의문사 ‘왜’가 들어가므로 '왠지'로 적는 것이 옳아요.

이와는 달리 '왠'이 아닌 '웬'으로 써야 하는 경우가 있어요.

 "○일이니?, ○ 떡이지?"와 같은 경우이지요.

이때는 이유를 묻는다기보다는 어떻게 된 일인지, 어떻게 생긴 떡인지를 묻고 있습니다.

국어에서는 '의문사+(이)ㄴ+명사'의 구성은 거의 쓰이지 않아요.

따라서 뒤에 명사나 명사구가 오면 '웬'을 쓴다고 할 수 있죠.

"웬 험상궂은 사람이 나를 따라오더라."에도 '웬'이랍니다.

  

 


 

2. '며칠'과 '몇일'. 어느 것이 맞나요?


'며칠'로 적는 것이 바른 표기법이에요.

《한글 맞춤법》제27 항[붙임 2]에서는 "어원이 분명하지 아니한 것은 원형을 밝히어 적지 아니한다."라고 규정하고 '며칠'을 용례로 들고 있습니다.

그런데 '며칠'의 경우는 '몇 개, 몇 사람' 등에서의 '몇'과, '날'을 나타내는 '일(日)'이 결합된 '몇+일'로 분석하여 그 표기가 '몇일'이 된다고 생각하기 쉽지요.

그렇지만 '며칠'은 '몇+일'로 분석되는 구조가 아닙니다.

만약 '며칠'이 '몇+일'로 분석이 되는 구조라면 '몇 년', '몇 월'과 발음과 비교해 볼 때 [며칠]이라고 발음하는 것을 설명할 수가 없지요.

즉 '며칠'이 '몇+일'로 분석이 되는 구조라면 '몇월[며둴]'처럼 [며딜]로 소리가 날 가능성이 높았겠죠?

그러므로 [며칠]로 소리 나는 표준어는 '며칠'로 적어야 함을 알 수 있답니다.

이제 혼동하지 마세요. ^^

 

 


 

3. '되라'와 '돼라'의 차이


'돼라'는 '되-'에 '-어라'라는 어미가 결합하여 준 말이에요.

《한글 맞춤법》제35 항 에는 'ㅚ' 뒤에 '-어, -었-'이 아울러 'ㅙ,'으로 될 적에는 준 대로 적는다고 나와 있지요.

이 규정에 따라 '되어, 되어서, 되어야,되었다'가 준 말은 '돼, 돼서, 돼야, 됐다'와 같이 적는답니다.

'보이다, '쏘이다'의 준말인 '뵈다'와 '쐬다'의 활용 또한 '되다'와 같습니다.

'뵈-'와 '쐬-'에 '-어', '-었다'가 연결되면 '봬, 뵀다', '쐐, 쐤다'가 옳아요.

'뵈어, 쐬어'는 '보여, 쏘여'로도 적을 수 있는 반면에 '되어'는 '*도여'로는 적을 수 없다는 점에 차이가 있지요.

한편 "어머니께서는 착한 사람이 되라고 말씀하셨다."의 '되라'는 '되-'에 명령을 나타내는 '-(으)라'가 결합한 말이므로 '돼'로 적지 않습니다.

이때는 '되어라'로 대치할 수 없다는 특징이 있답니다.

따라서 '되'인지 '돼'인지 구분하기 어려울 때에는 그 말을 '되어'로 바꿔보세요.

'되어라'로 대치될 수 있으면 '돼'로 써야 합니다.

  

 


 


TIP.
맞춤법, 띄어쓰기가 궁금하다면~ 9979 로 전화주세요^^


국어 사용과 관련해 우리 국민이 가장 궁금해하는 것은 띄어쓰기와 맞춤법이라고 해요.

국립국어원이 국어 관련 궁금증을 풀어주는 '가나다전화' 의 상담 내용을 분석한 결과 질문이 가장 많은 부분은 띄어쓰기(33.6%)와 맞춤법 (31.3%)으로 나타났습니다.

띄어쓰기와 맞춤법 외에 표준어와 외래어 관련 내용이 각각 9.7%와 1.1%로 뒤를 이었어요.

1991년 첫발을 내디딘 ‘가나다전화’는 2작년에 20주년을 맞았어요.

혹시 일상생활 속에서 우리 말, 우리 글에 대한 궁금증이 있으시다면 9979 (국어친구)로 전화 주세요^^



한글날을 맞아 한글의 우수성을 하나하나 되짚어 보니 한글을 창조해낸 대한민국의 국민이라는 것이 너무나 자랑스럽네요^^

알쏭달쏭하고 자주 틀리는 한글 맞춤법과 한글 띄어쓰기도 알아보니 어떠세요?

의외로 간단한 방법으로 구분하실 수 있죠?

한글날을 맞아 바른 한글 맞춤법과 띄어쓰기를 쓰기위해 조금만 더 노력해주세요.

한글날에 그 만한 한글 사랑이 있을까요?^^

바른 한글 맞춤법이 진짜 한글 사랑의 시작인듯 싶습니다. 

온 국민이 영어앓이에 빠져 어느새 우리 말과 글이 천시 받고 있는 이 상황, 그리고 인터넷 상에서 너무나 쉽게 외계어 등으로 변질되고 있는 이 사태를 세종대왕이 보시면 뭐라 말하실지 얼굴이 화끈거립니다.

판타시티부터 반성하고 앞으로 우리 한글 사랑 자체 홍보대사로 최선을 다해야겠어요^^

오늘 제가 알려드린 한글 맞춤법과 띄어쓰기 사용에도 신경써 주시고요~

우리 모두 한글날을 맞아 한글 사랑을 한글 바른 맞춤법 사용으로 실천해요!~ 

사랑여러분도 동참해 주실거죠?

 

출처: blg.bucheon.go.kr/1031  문화도시 부천 블로그  

Posted by 판타시티

 

 

 

더도 말고~덜도 말고

한가위만 같아라...

 

다녀 가신 모든님들이

풍요롭고 여유있는  9월이 되시길...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