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편의 유래☆

 

 

송편의 어원

 

아마 대부분의 사람들은 송편에 담긴 뜻도 잘 모르고, 

으례히 추석에나 먹는 것으로 만 여겨온 분들이 많을 것입니다.

 

송편을 국어사전에는 "반죽한 멥쌀가루에 소를 넣고 빚어 솔잎을 깔고 찐 떡"으로 되어 있습니다.

쌀로 만든 송편은 솔잎을 켜켜이 놓고 찐다는 뜻으로 한자로는 "솔잎 떡"을 뜻하는 송병(松餠)으로 부르고요...

 

송편은 본래는 오려송편 이라고 불렸는데,

추수철이 되면 오곡백과가 결실을 맺어 한해의 수확이 이루워지는데,,

추수한 수확물로 술과 떡을 빗어 조상에게  감사하는 마음으로 차례를 지내거나, 산소에 가서 성묘를 할때 여러 가지 제물을 만들어 차례상에 올리게 되죠...

이중 대표적인 추석 음식으로 송편을 들 수가 있읍니다. 

이렇게 추석에 올해 벼 즉 '올벼로 만든 송편'을 오려송편이라 합니다.

 

 

송편이 반달 모양인 것은???

 

예로부터 우리 조상들은  한해 농사를 이런 월력에 의해 경작을 하였기에 곡식 또한  생성과 성장하는 것이 월력과 맥을 같이 하였읍니다.

그런 시기 중에  음력 팔월은 추수철인데,

보름달 같이 풍만하게 곡식이 잘 여물게 해 달라는 뜻으로 달이 완전히 차서 보름달을 이루는 8월 15일을 추석으로 정하였으며,

이날에 달에게 감사하는 제를 지낸 것이 었고,

이렇게 달을 숭배하는 사상이 나중에는 조상을 숭배 사상으로 바뀐 것이라 생각됩니다.

 

추석에 차례를 지낼때 사용되는 제물 중에는 송편은 달의 열매를 상징하며, 과일은 땅 위의 열매며, 토란은 땅 밑의 열매로서,

하늘의 열매, 땅 위의 열매, 땅 밑의 열매를 모두 조상님에게 드리는 의미가 있는 것입니다.

 

송편의 모양은 추석에 뜨는 보름달 형상과는 대조적으로 송편의 모양이 반달 모양이나,

소를 넣고 접기 전에는 보름달 모양이므로, 

그런 면에서 송편은 하늘의 씨앗을 상징합니다.

 

그리고 송편이 만월의 모양에서 반월로 바뀐 그 유래는 삼국시대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삼국사기’에 따르면 백제 의자왕 때 궁궐 땅속에서 파낸 거북이 등에 ‘백제는 만월(滿月)이고 신라는 반달이다’라고 쓰여 있었다.

점술사는 백제는 만월로 다음날부터 쇠퇴하고, 신라는 앞으로 크게 발전할 징표라고 해석했고,

결국 백제는 신라에 의해 멸망했다.

 

이때부터 반달은 더 나은 미래를 기원하는 뜻으로 쓰이며,

그러한 마음을 담아 송편도 반달 모양의 떡으로 빚었다고 합니다.

 

 한해 동안의 수확에 대한 감사와 가족사랑과 우리가 알고 있는 지인 모두가 앞으로 더 잘되기를 바라는 마음을 담아 햇쌀로 송편을 빚어 조상님께 먼저 감사제를 드리고 흩어져 있던 가족들이 만나 정을 나누는 아름다운 명절 음식입니다.

 

 

송편의 지역별 모양

 

강원도


1. 감자송편
감자녹말을 익반죽(끓는 물을 끼얹어 가며 하는 반죽)을 하여 만든다.

감자녹말은 위벽에 막을 만들어 위를 보호하므로, 위장질환을 앓는 사람에게 좋다.

 

2. 도토리 송편
멥쌀 가루에 도토리 가루를 섞어 익반죽하여 만든다.

도토리는 수분대사를 원활하게 한다.

도토리의 60~80 %는 녹말이며,

특히 너도 밤나무에서 나온 도토리는 지방질과 단밸질이 많고 녹말이 적다.

구황식품인 도토리는 배가 부글부글 끓거나, 잦은 설사와 잦은 소변으로 고생하는 사람에게 좋다.

또한 열량도 낮아 비만인 사람에게 좋다.

 

충청도


1. 호박송편
호박을 썰어 말린 호박가루에 멥쌀 가루를 섞어 익반죽하여 만든다.

특히 호박송편은 색깔이 곱고 단맛이 나며, 쫀득존득하다.

눈에 좋은 비타민 A가 많고, 이뇨작용을 촉진하며, 기관지가 약한 사람에게 좋다.

 

전라도


1. 꽃송편
오미자와 치자, 송기, 쑥 등을 이용하여 주로 멥쌀가루와 함께 반죽하여 여러 가지 색깔과 맛을 낸다.

각 종류로 빚어 만든 송편위에 오색의 떡반죽으로 여러 가지 모양을 만들어 꾸미기 때문에 꽃 송편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일상 쌍안경 > ┃ 생활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복 보관 요령  (0) 2011.01.04
택배 가격 비교...(우체국:편의점)  (0) 2010.10.09
한글 맞춤법 검사기   (0) 2010.09.02
한자숫자 "갖은자 '  (0) 2010.08.16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0) 2010.05.02

 

★한글 맞춤법 검사기★

 

 
한글을 창제하신 세종대왕
 
한글 맞춤법 검사기입니다. 평소 우리는 틀린 맞춤법을 너무 많이 쓰고 있습니다. 틀리기 쉬운 문장을 다섯 개만 예로 든다면
(X), 하였읍니다 (O), 하였습니다.
(X), 그림이 않보이면 (O), 그림이 안 보이면
(X), 갔을 꺼라고 (O), 갔을 거라고
(X), 전세집에 산다. (O), 전셋집에 산다.
(X), 몇일동안에 (O), 며칠동안에
 
위와 같이 틀린 맞춤법을 우리는 수백 개를 쓰고 있습니다. "세종대왕"이 살아 계셨다면 아마 불호령을 내렸을 겁니다. 아래 제목을 누르면 맞춤법 검사기가 나옵니다. 단어나 문장을 입력하고 검사하기를 누르면 맞춤법이 틀린곳을 알 수 있습니다.

 

 
한국어 맞춤법 문법 검사기
릭  

 

위를 클릭하여 사용하세요

 

 

클릭후 새창에 확인할 단어쓰고-검사하기를 클릭!

 

출처: 미상

'일상 쌍안경 > ┃ 생활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택배 가격 비교...(우체국:편의점)  (0) 2010.10.09
송편의 유래   (0) 2010.09.20
한자숫자 "갖은자 '  (0) 2010.08.16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0) 2010.05.02
한국의 설화 모음   (0) 2010.04.27

<갖은자>란 흔히 쓰이는 숫자를 글자보다 획을 복잡하게 만든 글자로,

공문서나 상거래를 할 때 금전이나 행정상 서류를 위조하는 것을 막기 위해서 사용되었습니다.

예를 들면 一에 한획을 더하면 二가 되고, 二에 한획을 더하면 三이 될 수 있기 때문이죠. 

요즘은 아라비아 숫자를 병기하기 때문에 별로 쓸 일이 없지만,

알아 두는 것도 좋을 듯 합니다.

 

재미있는 것은 六과 八은 모양이 비슷해도 갖은자를 잘 사용하지는 않습니다.

왜냐하면 八을 변조하여 六으로 만들어 봐야 그 수가 작아지기 때문이며,

六을 八로 만드는 것은 어렵기 때문입니다.

 

또한 백(佰), 천(仟)은 앞에 숫자가 없을 때 앞에 숫자를 넣는 위조가 가능하기 때문에 사람인 변을 붙입니다.

 

따라서 10만원은 十萬圓이 아니라 拾萬圓입니다. 

그리고 보통 千은 갖은자를 잘 쓰지 않지만 정확하게 쓰자면 仟이라 쓰는 것이 맞지요...

(仟말고 阡이라 쓰기도 합니다).

참고로 다른 숫자의 갖은자는 다음과 같습니다.

1, 2, 3, 10, 100이 가장 많이 쓰입니다.

1(壹), 2(貳), 3(參), 10(拾), 100(佰),1000(阡) 을 많이 쓰고, 나머지는 별로 쓰이지 않으며,

특히 壹, 貳, 參 은 다시 약자(略字)로, 壱, 弐, 参 이라고 쓰는 경우가 많다.

萬, 億, 兆는 갖은자 없이 그대로 씁니다.

 

 

 一 : 壹        [壹 한 , 오로지, 모두, 죄다]


二 : 貳        [貳 두 , 두 마음을 품다, 거듭하다]


三 : 參        [參 석 , 간여할 ]


四 : 肆        [肆 방자할 , 극에 달하다, 거리낌 없이 말하다, 넷]


五 : 伍        [伍 대오 , 섞이다]


六 : 陸        [陸 뭍 , 육지, 언덕, 높고 평평한 산의 꼭대기]


七 : 漆 , 柒  [漆 옻 ]


八 : 捌        [捌 깨뜨릴 , 쳐부수다, 고무래, 여덟]


九 : 玖        [玖 옥돌 , 아홉]


十 : 拾        [拾 주울 , 오를 , 번갈아 , 열 ]


百 : 佰        [佰 일백 , 밭두둑]


千 : 仟,阡 
[仟 일천 , 두둑에 난 길, 초목이 무성한 모양 ] 

                         [ 阡 두렁 ,두렁길, 도로] 

萬 , 億 , 兆 ...등은 그대로 쓴다.

 

아라비아 숫자 0은 한자로 ○ 또는 零을 쓰지만,

○은 한자(漢字)라기보다는 하나의 부호처럼 인식하여 실제로 금전 표기 등에서는 ○이 쓰이지 않는다. 

예컨대 3,020을 한자로는 參○貳○이라고 하지 않고,

參仟貳拾으로 표기.

 

'일상 쌍안경 > ┃ 생활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송편의 유래   (0) 2010.09.20
한글 맞춤법 검사기   (0) 2010.09.0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0) 2010.05.02
한국의 설화 모음   (0) 2010.04.27
각 나라 이름 유래   (0) 2010.04.22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