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이빙을 하게 되면 체온을 유지하기 위해서 잠수복을 착용하게 되는데,
이 잠수복에 의해서 부력이 생기게 되어,
이를 상쇄하기 위한 방법으로 허리에 납벨트를 차거나,
또는 부레자켓에 납덩이를 넣는 경우도 있다.
그런데 엉터리 초보일 경우에 자신이 착용하여야 할 적정웨이트보다 덜 차서 물속으로 입수가 안되는 경우도 있을 수 있고,
반대로 적정웨이트 보다 많이 차게 되어 중성부력에 애를 먹는 경우도 있다.
그래서 아래에 열거한 데이터로 대략적인 자신의 웨이트를 추정하므로서,
보다 더 적정웨이트를 찾아 가기 쉬운 방법이 있어서 소개 한다.
이 데이터는 해수면에서 일반 평균 성인이 다이빙을 한다고 생각하고 이를 기준으로 작성되었다.
따라서 마른 사람이나 담수에서 다이빙시는 이보다 줄여야 하며,
체격이 평균치보다 큰 사람일 경우 추가해야 한다..
잠수복 종류에 따른 웨이트량
1. 수영복 : 0.5~2 Kg
2. 3미리 이하의 얇은 한겹의 웻슈트: 몸무게의 5%
3. 5미리 두께의 두겹의 웻슈트: 몸무게의 10%
4. 7미리 두꼐의 웻슈트와 후드: 몸무게의 10%+3~5Kg
5. 네오프렌 드라이 슈트: 몸무게의 10%+3~5Kg
6. Sheel Style Dry Suit+ 기포 없는 내피: 몸무게의 10%+1.5~3Kg
7. Shell-Style Dry suit+기포있는 내피사용: 몸무게의 10%+3~7Kg
해수 체크 후 담수에서 감소 해야할 웨이트량
해수는 담수보다 비중이 약 2.5%높아서
체중에 비례해서 그 만큼의 부력이 생기게 되므로,
담수에서는 해수에서 체크한 웨이트량보다 적게 착용하여야 한다.
체중이 45-56Kg 일때: 2Kg
체중이 57-70kg 일때: 2.3kg
체중이 71-85kg 일때: 3kg
체중이 86-99kg 일때: 3.2kg
공기 사용량에 대응하는 웨이트량
일반적인 공기 탱크(80 Cubic foot/12 Liter)의 경우는
200bar정도로 공기를 압축해서 충진하게 되면,
그 압축공기의 무게는 약 2Kg 정도 된다.
고로 알루미늄 공기 탱크의 경우에 공기를 쓰게 됨에 따라 사용양에 비례하여,
웨이트량은 1-2Kg 정도의 부력이 더 생기게 된다.
따라서 웨이트는 다이빙이 끝날때 쯤 공기 탱크에 있던 공기가 소모 됨에 따라
증가된 부력을 상쇄 시키기 위해서 제시된 양의 웨이트를 더 추가할 필요가 있다.
예제:
몸무게 70Kg의 다이버가 5미리 슈트를 입는다고 가정할 때 적정한 웨이트량은?
계산:
해수의 경우: 7Kg,
담수의 경우: 4.7kg
공기탱크 소모량에 대응: 2Kg
따라서 시작은 해수의 경우 9kg 담수의 경우 6.7Kg을 착용하여야 하고,
엉터리 잠수인이 아니라면 자신의 부력을 체크하여 보다 정확한 적정웨이트량을 구하여야 한다.
엉터리 납벨트 납품업자 올림
'이론 잠망경 > ┃ 잠수 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짝다이빙에 문제가 생겼을 때의 해결법 (0) | 2009.02.05 |
---|---|
낯선 사람과 짝다이빙을 하게 되는 경우 (0) | 2009.02.04 |
다이빙 소시지 교육 (0) | 2009.01.15 |
수중에서의 줄을 이용한 신호법 (0) | 2008.11.14 |
잠수시에 언제 상승할것인가? (0) | 2008.03.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