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 보안경 > ┗ 조명 장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라이트 밝기 비교 (HID vs LED Light ) (0) | 2010.07.28 |
---|---|
스트로브 선택포인트 (0) | 2010.07.16 |
디지탈 대응 스트로브를 사용한다 (0) | 2010.07.09 |
차량용 HID HEAD LAMP (0) | 2010.01.26 |
휴대용HID탐조등(분리형) (0) | 2009.08.04 |
라이트 밝기 비교 (HID vs LED Light ) (0) | 2010.07.28 |
---|---|
스트로브 선택포인트 (0) | 2010.07.16 |
디지탈 대응 스트로브를 사용한다 (0) | 2010.07.09 |
차량용 HID HEAD LAMP (0) | 2010.01.26 |
휴대용HID탐조등(분리형) (0) | 2009.08.04 |
어째서 외부 strobe가 필요한건지?
내장 strobe는 수중에서도 사용 가능합니다만,
수중의 시추에이션에 의해서 충분히 기능하지 않을 때가 있습니다.
또 내장 strobe로 부유물이 많은 환경에서 촬영하면 눈이 내린 것 같은 화상이 되어 버릴 때가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는 내장 strobe를 OFF하여 촬영하면 좋겠습니다만,
그렇다면, 블루 일색의 단조로운 화상이 되어 버립니다.
그것을 단번에 해결하는 것이 디지털 대응의 외부 strobe.
외부 strobe를 사용하는 것으로, 떨어진 피사체나 와이드인 피사체에서도 본래의 색을 재현할 수 있습니다.
【위의 사진(내장 strobe 발광)에서는 전체적으로 언더가 되어 버리는 경우가 자주 있습니다.
이것으로는 어쩐지 어두운 바다의 이미지입니다.
외부 strobe를 사용하면 아래의 사진과 같이 꽃돔과 같이 붉은 물고기를 분명히 아는 것과 동시에,
배경의 청색도 예쁘게 촬영할 수 있습니다.
마치 필름 사진과 같은 표현력이 가능하게 되어 버리는 것이 외부 strobe의 위력입니다.】
오토 strobe는?
오토=자동이라고 생각하면, 현재는 자동 strobe의 대부분이 TTL 오토가 되어 있습니다.
그럼, TTL 오토와 단순한 오토 strobe는 어디가 다르겠지요.
오토=밝기를 자동적으로 맞추는 기본적인 구조는 오토도 TTL 오토도 같습니다.
카메라의 셔터에 싱크로 하여 발광을 개시해, 수광 센서로 소정의 밝기가 되면 발광을 정지합니다.
차이는 그 수광부가 렌즈의 안쪽에 있는 것이 TTL 오토, 외측에 있는 것이 오토 strobe입니다.
SEA&SEA에서도 20년 정도 전, TTL strobe의 생산 이전에 YS-50 A라고 하는 오토 strobe가 존재하여, MM35-SE와 편성 제품화된 적이 있었습니다.
자동 조광의 원리는 같아도, 수광 센서의 위치에서 큰 차이가 생깁니다.
TTL 오토는 렌즈를 통한 빛을 계측하고 있으므로, 렌즈 교환을 하여 화각이 변화해도 촬영 화면의 거의 중심부분에 항상 노출을 맞출 수 있습니다.
또 strobe가 어느 쪽을 향하고 있어도, 최종적으로 필름으로 수광하는 빛을 계측하기 때문에 큰 노출 실수는 일어나기 어렵다고 생각되고 있습니다.
그에 대한 오토 strobe는 수광부가 독립되어 있기 때문에, 촬영 영역에 정확하게 향하게 하지 않으면 카메라로 설정한 노출에 맞지 않는 경우가 생깁니다.
오토 strobe에는 strobe 본체 전면에, 수광 센서가 넣어져있기 때문에 피사체에 향해 정확하게 strobe를 향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오토 strobe의 기본
피사체를 결정하면, 촬영 거리에 맞은 조리개치를 카메라에 설정한다.
다음에 오토 strobe측의 조리개 다이얼을 카메라의 조리개치에 맞추어 정확하게 피사체를 향해 촬영한다.
이상이 기본으로,
컴팩트 디지탈 카메라와 같이 카메라로 조리개 값을 설정할 수 없는 것은 셔터반누르기나 한번 촬영으로...,
화면에 조리개값이 표시되는 것은 그 조리개값으로...,
화면에 조리개값이 표시되지 않는 것은 메뉴얼로의 촬영이 됩니다.
또, strobe 본체에 편입되어 있는 수광부는 ISO100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카메라의 감도 설정에도 주의가 필요합니다.
프리 발광 대응은?
「적목 대책」은 알고 계십니까?
적목이라고하는 것은 디지탈카메라의 내장 strobe를 사용했을 때 사람의 눈동자가 새빨갛게 비치는 현상입니다.
적목은 빛의 반사에 의해서 발생합니다.
적목을 저감 시키기 위해 사전에 눈에 strobe가 빛을 쬐어 동공을 수축시킵니다.
그것이 통상 1회 행해지는 프리 발광 타입의 기종입니다.
2회 실시하는 기종도 있습니다.
또 원래 실시하지 않는 기종도 있습니다.
프리 발광 대응이란,
그 프리 발광을 캔슬하여(사전에 미리 있는 것을 가정해서) 다음의 본발광에 만 대응한다고 하는 것입니다.
※적목은 strobe빛의 반사에 의해서 발생합니다.
strobe의 위치와 렌즈의 위치가 가까워지는 만큼 적목현상이 일어나기 쉬워집니다.
따라서 외부 strobe(외부 광원)를 사용해서 바로 정면 이외의 위치로부터 라이팅 하면 적목은 일어나기 어려워집니다.
오토 센서가 피사체 주위의 밝기를 감지해, 미리 설정된 조리개치에 응한 광량을 자동조광 합니다.
●디지탈카메라의 ISO 감도/내장 strobe 발광 모드를 설정
●디지탈카메라의 조리개치와 오토 strobe의 조리개를 맞춘다
●strobe 발광부를 피사체를 향해 촬영해서, 확인 램프가 점등하면 오토조광 OK!
※사용하시는 때는 반드시 오토 strobe의 발광부를 피사체를 향해서 사용해 주십시오.
전원스위치
YS-15AUTO[①]
YS-25AUTO[①]
YS-90AUTO[①]
프리 발광 기능을 가지지 않는 디지탈카메라(내장 strobe의 발광 회수가 1회) 또는 싱크로 코드 접속에 의한 오토 촬영(예:YS-90 AUTO로 디지털 일안 하우징과의 접속시)을 실시하는 경우,
전원 스윗치를 이 위치에 맞춥니다.
※사용하시는 디지탈카메라의 내장 strobe를 반드시 강제 발광 모드로 설정해 주세요.
YS-15AUTO[②]
YS-25AUTO[②]
YS-90AUTO[②]
프리 발광 기능을 가지는 디지탈카메라로 오토 촬영을 실시하는 경우에 전원 스윗치를 이 위치에 맞춥니다.
가지고 계신 디지탈카메라를 강제 발광 모드로 설정해 촬영할 때에,
디지탈카메라의 내장 strobe가 2회 발광하는 경우는 이 위치에 전원 스윗치를 맞추어 주세요.
※사용하시는 디지탈카메라의 내장 strobe를 반드시 강제 발광 모드로 설정해 주세요.
[TTL]
※YS-90 AUTO만 필름 카메라 혹은 DX-S2Pro와의 세트로 TTL 자동조광촬영을 실시하는 경우에 전원 스윗치를 이 위치에 맞춥니다.
(조리개치 조절 다이얼의 위치에 관계없이 자동조광 됩니다.)
슬레이브전환스위치
YS-90AUTO만
슬레이브 기능을 사용할 수 있게 됩니다.
슬레이브 센서가 외광을 감지하는 것으로 본기가 발광하게 됩니다.
광 파이버 케이블로의 접속시에는 슬레이브 변환 스위치를 on위치에 맞춥니다.
슬레이브 기능을 사용하지 않을 때는 슬레이브 변환 스위치를 OFF 위치에 맞춥니다.
싱크로 코드 접속의 경우는 슬레이브 변환 스위치를 OFF 위치에 맞추어 주세요.
글쓴이; 아쿠아칼라
스트로브 선택포인트 (0) | 2010.07.16 |
---|---|
수중 디지탈 카메라에 맞는 스트로브 들... (0) | 2010.07.12 |
차량용 HID HEAD LAMP (0) | 2010.01.26 |
휴대용HID탐조등(분리형) (0) | 2009.08.04 |
휴대용HID Search Light (0) | 2009.08.03 |
HID HEAD Lamp System은?
종래의 필라멘트와 같은 붉은 빛이 아닌 제논가스(Xenon Gas)와 금속화합물(Metal Halide)를 융합시켜,
컨트롤시스템(BALLAST)에서 발생하는 약 20,000 볼트의 고전압으로 발광시키는 시스템으로,
기존 할로겐 전구와 비교하여 적은 소비전력으로 3배 이상 밝은 자연색에 가까운 백색광이 시인성을 향상시킵니다.
또 눈에 부담이 없어 장시간 사용에도 쾌적합을 유지합니다.
HID Lamp의 장점
기존할로겐 전구 3배 이상의 효율성을 자랑합니다.
비오는 날, 안개낀 날, 터널, 일반 아스팔트, 시골길, 이정표, 빛이 없는 길 등지에서 우수한 식별성을 가지며,
야간운전이나 시력이 안좋으신 분에게 매우 적합한 제품입니다.
제품종류와 특징
5000K : WHITE의 백색톤으로써 비오는 날, 안개낀 날, 터널 등지에서 우수한 식별성을 가지며,
야간운전이나 시력이 않좋으신 분에게 적합한 제품입니다.
6000K: PURPLE WHITE의 보라백색으로써 일반 아스팔트, 시골길 등지에서 우수한 식별성을 가집니다.
8000K : PLATINUM WHITE의 푸른백색으로써
고급스러운 색상으로 인하여 젊은층에 가장 인기 있는 제품입니다.
드레스업이 뛰어나며, 비고속도로, 이정표, 빛이 없는 길 등지에서 식별성이 우수합니다..
|
수중 디지탈 카메라에 맞는 스트로브 들... (0) | 2010.07.12 |
---|---|
디지탈 대응 스트로브를 사용한다 (0) | 2010.07.09 |
휴대용HID탐조등(분리형) (0) | 2009.08.04 |
휴대용HID Search Light (0) | 2009.08.03 |
[스크랩] hid에 관하여 펀글 (0) | 2009.06.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