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랫동안 촬영을 하지 않았거나, 촬영을 마치고 온 경우 필요한 카메라 청소를 해주는 것이 고장 없이 오랫동안 카메라를 사용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디지털 카메라의 최대의 적은 먼지와 습기라 할 수 있습니다.

피서지 촬영 시의 모래나 일상에서의 작은 먼지, 겨울철 실외 촬영 후 실내로 이동했을 때 급격한 온도 차이로 인한 습기 발생에 주의해야 하므로 촬영 후 손질은 필수적이라 하겠습니다.

대체로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카메라를 손질해서 보관하면 고장없이 오랫동안 사용할 수 있을 것입니다.

 

 

먼저 디지털 카메라의 본체를 충분한 크기의 클리닝 천으로 감싼 후, 청소용 솔(브러쉬)을 이용하여 카메라 본체의 먼지를 구석구석 털어냅니다.

외부 촬영에서 묻어 있는 각종 먼지나 이물질을 먼저 브러쉬로 털어내야 합니다.

이때 조심해야 하는 것은 아주 특별한 경우가 아니라면 브러쉬로 렌즈 표면을 털어내지 않도록 하는 것입니다.

그렇게 되면 아주 미세한 먼지라도 렌즈 표면을 상하게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면봉을 이용하여 부드럽게 카메라 본체의 틈새에 묻어 있는 때를 닦습니다.

면봉을 이용하여 렌즈 표면이나 뷰 파인더를 닦아서는 안 됩니다.

스크래치의 원인이 됩니다.

굳이 면봉을 이용할 필요가 없을 경우에는 핸드 블로워로 불어내기만 해도 됩니다.

 

 

면봉 등으로 틈새를 닦아내도 이물질이 붙어 있을 경우에는 핸드 블로워(공기 주입기)를 이용하여 청소용 솔이나 면봉 등이 잘 닿지 않는 카메라의 틈새 등에 숨은 먼지를 불어냅니다.

 

 

이제는 렌즈 뚜껑을 열고(또는 전원을 켜서 렌즈를 개방하고) 핸드 블로워를 이용하여 렌즈 표면과 렌즈 주위의 먼지를 제거합니다.

 

   

 

보통의 경우는 블로워로 공기를 뿜어서 먼지를 털어내는 정도로 렌즈 청소를 하면 되지만,

만약 렌즈 표면에 얼룩이나 지문 등이 묻어 있는 경우는 렌즈 청소용 전용 천이나, 안경 닦는 천 등으로 렌즈 표면에 렌즈 청소용 액체 클리너를 한 두 방울 떨어뜨려 조심스럽게 닦아냅니다.

렌즈를 닦을 때는 가장자리에서 부터 중앙으로 부드럽게 돌려가며 닦아냅니다.

입김을 이용해서 닦아내는 것은 결코 좋은 방법이 아닙니다.

 

 

클리닝 천으로 디지털 카메라의 본체와 액정 모니터를 깨끗하게 닦아냅니다.

 

 

습기를 막는 카메라 보관법

 

혹시 촬영을 하다가 비를 맞았거나, 장마철 등에 오래 카메라를 사용하지 않으면 카메라에 습기가 차게 되고 이를 오래 방치하면 렌즈에 곰팡이가 피게 되어 렌즈를 수리해야 하거나 거의 사용할 수 없게 됩니다.

이럴 때는 카메라를 몇 겹의 신문지로 싸서 습기가 신문지에 묻어 나올 수 있도록 하여 보관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겨울철에는 외부의 온도와 실내의 온도가 다르기 때문에 외부에서 촬영하고 난 뒤 곧 바로 따뜻한 실내에 카메라를 방치하면 온도 차이로 카메라 주위에 습기가 차기 때문에 이럴 때는 실내에서 마른 수건 등으로 카메라를 감싸서 습기가 빠져 나오도록 해야 카메라를 고장 없이 오랫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충격이나 직사광선과 같은 열, 습기 등으로부터 카메라를 보관하기 위해서는 전용 카메라 가방에 보관하는 것이 제일 안전합니다.

그리고 집에 보관할 때도 습기나 직사광선을 덜 받는 장소에 보관하는 것이 좋습니다.

 

 

카메라가 물에 빠졌을 때

 

카메라를 사용하다가 실수로 물에 빠뜨릴 경우에는 즉시 전원을 꺼야 합니다.

그렇지 않고 이상 여부를 알아보기 위해 전원을 몇 번 작동시키면 카메라 회로가 망가지는 원인이 되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전원을 끈 후 배터리와 메모리 카드도 카메라에서 분리합니다.

그리고는 카메라 외부에 묻어 있는 물기만 마른 수건으로 잘 닦아 낸 후 즉시 A/S 센터에서 점검을 받아야 더 이상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염분이 있는 바닷물에 카메라를 빠뜨린 경우에는 즉시 배터리를 제거한 후, 깨끗한 물로 카메라 외부에 묻어 있는 염분을 제거해야 합니다.

그런 다음 그 상태로 비닐봉지 등에 싸서 바로 A/S 센터에서 점검을 받도록 하는 것이 좋습니다.

 

출처: http://www.nodongnews.or.kr/ 글쓴이: 안영주

카메라를 쥐는 올바른 자세

 

작은 콤팩트형 카메라라도 한 손으로 카메라를 쥐는 것은 카메라가 흔들리게 돼 선명한 사진을 얻을 수 없습니다.

따라서 사진 촬영을 할 때는 항상 두 손으로 카메라를 견고하고 안정되게 쥐고 촬영할 수 있도록 숙달시켜 습관화하는 것이 좋습니다.

 

요즘 대부분의 컴팩트 카메라의 경우는 뷰파인더보다는 LCD 액정 모니터를 보고 촬영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때는 '그림1'과 같이 팔꿈치를 겨드랑이에 밀착시켜 흔들림이 없도록 해야 합니다.

고급형 DSLR의 경우 뷰파인더를 보고 촬영을 하더라도 반드시 팔꿈치를 한쪽 겨드랑이에 밀착시켜 촬영하는 것이 좋은 자세입니다.

 

그림1: 올바른 자세

 

촬영하기 위해 카메라를 손에 쥘 때는 왼손으로 카메라의 아래쪽을 받쳐주고 오른손으로 카메라의 몸체를 잡아 오른손 검지 손가락을 셔터 버튼의 위치에 놓고 촬영하는 것이 올바른 자세입니다.

'그림 2'처럼 왼손의 손가락만으로 카메라를 쥐고 오른손으로 셔터를 누른다거나,

심지어 오른손만으로 카메라를 쥔 상태에서 셔터를 누르는 것은 안정적이지 못한 방법입니다.

 

그림2: 잘못된 자세 그림3: 뷰파인더를 보고 촬영할 때의 올바른 자세

 

촬영할 때 오른손에 힘을 너무 주어 카메라가 흔들리는 일이 없도록 살짝 셔터를 누를 수 있게 합니다.

작고 가벼운 콤팩트형의 디지털 카메라는 셔터를 누르는 검지 손가락의 힘이 조금만 세도 촬영시의 흔들림이 크기 때문에 더욱 주의해야 합니다.

촬영을 할 때는 마치 사격을 할 때 방아쇠를 당기듯이 해야 흔들림 없이 선명한 사진을 촬영할 수 있습니다.

 

 

사진 촬영의 올바른 자세

 

선 자세로 촬영할 때는 '그림4'와 같이 두 발을 어깨 너비만큼 L자형으로 벌려 촬영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 자세는 안정적이고 방향전환이 쉽습니다.

팔꿈치는 겨드랑이에 붙여 흔들림이 없도록 합니다.

 

'그림5'와 같이 두 발을 붙이면 무게 중심을 잃기 쉬워 흔들림이 생길 수 있고,

방향 전환도 쉽지 않습니다. 

 

그림4: 올바른 자세

그림5: 잘못된 자세

 

앉은 자세로 촬영할 때는 '그림6'과 같이, 한쪽 무릎은 바닥에 대고 다른 한쪽 무릎은 팔꿈치를 받쳐 고정시켜 촬영하면 안정적인 자세에서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그림7'은 엉덩이와 무릎이 고정되지 않고 들려 안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흔들린 사진이 찍히기 쉽습니다.

 

그림6: 올바른 자세 그림7: 잘못된 자세

 

 

카메라의 각도 이해하기

 

사진을 찍을 때, 카메라의 각도에 따라 수평앵글, 하이앵글, 로우앵글로 구분하며 각각의 앵글은 특성과 용도를 가집니다.

 

수평앵글(Eye angle)

표준앵글이라고도 하며, 피사체를 수평으로 보면서 촬영하는 각도입니다.
인물사진, 풍경사진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편안함과 친근감, 사실적인 느낌을 주지만,

너무 평범하고 지루해 보일 수 있습니다.

 

그림8: 수평앵글

 

하이앵글(High angle)

피사체를 높은 곳에서 내려다보며 촬영하는 각도입니다.

흔히 부감 촬영이라고도 하는데 이는 고층 건물에서 시가지 전체 전경을 내려다보고 찍는 사진 같은 경우입니다.

하이앵글은 안정감과 평온함을 주며 넓은 전경을 보여주는 풍경사진들에 많이 사용됩니다.

그러나 인물 촬영을 할 때는 머리는 크게 보이고 다리는 짧아 보이므로 잘 쓰지 않는 각도입니다.

 

그림9: 하이앵글


로우 앵글(Low angle)

피사체를 낮은 곳에서 위로 올려보며 촬영하는 것을 말합니다.
건축물 등을 웅장하게 보이게 한다거나, 모델 사진의 경우 다리의 각선미를 살리기 위해 의도적으로 로우 앵글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지만,

인물 촬영에 있어서는 다소 과장된 느낌을 주고 왜곡된 느낌을 주기도 합니다.

 

그림10: 로우앵글  


 

출처: http://www.nodongnews.or.kr/  글쓴이:안영주

 

필름 카메라와 디지털 카메라

 

카메라를 분류하는 기준은 무엇을 기준으로 하느냐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는 저장 매체를 무엇으로 삼느냐 따라 필름 카메라디지털 카메라로 나눕니다.

 

필름 카메라는 필름의 크기에 따라 소형, 중형, 대형카메라로 구분하고,

피사체를 보는 방식 (또는 렌즈 교환방식)에 따라 일안 반사식 카메라(SLR)이안 반사식 카메라(TLR)로 구분합니다.

일안 반사식 카메라는 카메라의 내부에 반사경이 내장되어 렌즈에 들어오는 피사체의 이미지를 그대로 눈으로 보여 주므로 시차(視差: parallax)를 없앨 수 있습니다.

하지만 부피가 커지고 촬영할 때에 반사경이 올라가면서 생기는 진동(mirror shock)으로 소음이 커지며,

카메라의 떨림 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TLR 카메라(이안 렌즈 반사식 카메라: Twin Lens Reflex camera)도 있지만 잘 쓰이지 않습니다.

 

디지털 카메라는 보통 일반형 디지털 카메라와 디지털 일안 렌즈 리플렉스(DSLR)카메라로 분류하기도 합니다.

 

필름 카메라

 

필름 카메라는 35㎜ 필름을 기본 저장 매체로 사용하는 카메라로 "35mm SLR 소형 카메라"라고 부릅니다.

35mm는 필름의 폭을 말하며 사이즈가 24mmX36mm인 필름을 쓰는 카메라를 "35mm 소형 카메라"라고 한다.

 

영화 필름의 35mm와 구분하기 위해 앞에 1자를 붙여 135mm라고도 합니다.

중형카메라는 "120형 카메라"라고 하며 폭이 6.5cm인 롤 필름을 사용하는데,

화면의 크기가 카메라의 종류에 따라 다르며 6X4.5, 6X6, 6X7, 6X8, 6X9cm(56mmX82.6mm) 등으로 나뉩니다.

같은 중형 카메라라고 하더라도 화면의 크기가 다르므로 120 롤 필름의 촬영 커트 수가 다르게 됩니다.

또 4X5Inch(100mmX125mm) 사이즈나 8X10Inch(200mmX250mm) 의 필름(시트 필름:  Sheet film) 사이즈를 쓰는 경우를 대형 카메라라 합니다.

필름의 사이즈가 크면 클수록 화질에는 상당한 차이가 생깁니다.

 

 

디지털 카메라

 

디지털 카메라는 필름 카메라의 필름 대신 감광소자(CCD 또는 CMOS)와 반도체 메모리 카드를 이용하는 카메라를 말합니다.

초창기의 디지털 카메라는 단지 외관상으로는 필름 카메라의 필름 대신 메모리 카드를 사용한다는 점에서 별 차이가 없었지만,

요즘 나오는 디지털 카메라는 거의 대부분이 카메라 뒷면의 화상을 직접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액정 모니터”가 있어 그 자리에서 찍은 사진을 바로 확인할 수 있다는 점이 필름 카메라와 확연히 구분되고 이것이 디지털 카메라의 최대의 장점이기도 합니다.

 

 

SLR 카메라와 RF 카메라

 

피사체를 바라보는 방식 또는 렌즈 교환 방식에 따라 다음 두 가지로 분류합니다.
 
일안 렌즈 반사식(SLR: Single Lens Reflex) 카메라

일안 렌즈 리플렉스 카메라는 본체와 렌즈가 분리되는 카메라를 말하며,

촬영자의 촬영 의도에 맞는 다양한 렌즈를 교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일안 렌즈 리플렉스 카메라는 이미지가 렌즈에 들어오는 모습 그대로 촬영이 되므로 시차가 발생하지 않으며,

셔터 속도와 조리개 값을 조절하여 다양한 사진을 촬영할 수 있습니다.

이런 이유로 일안 렌즈 리플렉스(SLR) 카메라를 “수동 카메라”라 부르기도 합니다.

 

 

위 그림에서처럼 SLR 카메라는 렌즈를 통해 투영된 피사체를 프리즘으로 반사시켜 보는 방식으로,

카메라 렌즈를 통해 보는 것과 동일하게 뷰파인더를 통해 볼 수 있습니다.

렌즈와 동일하게 볼 수 있기 때문에 현재의 노출 상태, 초점, 심도를 정확히 알 수 있으므로

그만큼 정밀하게 원하는 결과물을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레인지 파인더(Range Finder: RF) 카메라

일안 렌즈 리플렉스(SLR: Single Lens Reflex) 카메라와는 달리 렌즈와 별도로 분리된 뷰파인더로 보는 방식입니다.

뷰파인더가 렌즈와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렌즈에 투영된 피사체의 노출 정도를 시각적으로 판단할 수 없고,

렌즈로 받아들이는 실제 촬영 영역과 뷰파인더에 보이는 영역에 차이가 있습니다.

사용과 휴대가 편리하므로 간단한 조작만으로도 쉽게 촬영이 가능하여 일반 보급형 자동 기능의 디지털 카메라는 여기에 해당된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뷰 파인더를 통해 눈으로 보는 피사체의 모습과 실제 렌즈를 통해 들어오는 모습에 시차가 발생하여 촬영 당시 보았던 모습과는 다른 사진의 결과물이 나오기도 하기 때문에 카메라의 기능에 익숙해야 원하는 이미지를 얻을 수 있습니다.

 

 

위 그림에서 처럼 렌즈로 받아들이는 실제 촬영 영역과 뷰파인더에 보이는 영역에 차이가 있는데,

파란색 점선은 렌즈로 받아들이는 실제 촬영 영역이고 주황색 점선은 뷰파인더에 보이는 영역의 각도인데,

뷰파인더만 보고 나무를 찍게 되면 실제로 찍힌 이미지에서는 나무의 위쪽 부분이 잘라지게 되는 것입니다.

초창기의 보급형 자동 기능 디지털 카메라의 경우는 거의 레인지 파인더 방식이었지만,

최근에 출시되는 자동 기능 디지털 컴팩트 카메라는 일안 렌즈 반사식 카메라의 구조를 갖고 있습니다.

 

 

일반형 디지털 카메라와 DSLR 카메라
 
디지털 카메라는 TLR 카메라를 대신하는 일반형 디지털 카메라와 SLR 카메라를 대신하는 DSLR 카메라로 구분하기도 합니다.
  
일반형 디지털 카메라

 

-컴팩트 디지털 카메라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이용하는 카메라로 쉬운 조작과 작은 부피, 저렴한 가격으로 가장 대중화된 카메라라 할 수 있습니다.

단지 필름 카메라와 달리 카메라 내부에 필름 대신 CCD(Charge-Coupled Device: 전하 결합소자)라는 감광소자와 메모리 카드가 들어갑니다.

보통 카메라 뒷부분에 액정 모니터가 있어 이를 통해 촬영하며,

액정 모니터에 보이는대로 촬영되기 때문에 시차도 발생하지 않습니다.

 

-하이엔드 디지털 카메라(Hi-End Digital Camera)

하이엔드는 기본적으로 컴팩트 카메라의 범주에 속하기는 하나,

컴팩트 디지털 카메라보다는 성능이 좋고 부피가 큰 카메라를 말합니다.

보통 렌즈의 구경이 크고, CCD의 크기가 크기 때문에 보다 선명한 사진을 얻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렌즈교환식인 DSLR(Digital Single-Lens Reflex, Digital SLR)과는 달리 렌즈 교환을 할 수 없고, DSLR과 비교했을 때 이미지 센서의 크기가 작기 때문에 해상력이 떨어집니다.

간단하게 말해서 컴팩트 디지털 카메라와 DSLR 카메라의 중간급이라 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렌즈 교환식 DSLR 카메라

 

디지털 카메라 중에서 SLR 카메라 처럼 렌즈 교환이 가능한 카메라를 흔히 DSLR(Digital single-lens reflex: 디지털 일안 렌즈 리플렉스) 카메라라 합니다.

예전에는 상당히 고가의 카메라로 인식되었지만, 요즘은 중저가도 많이 나오고 있으며,

기존의 SLR에서만 느낄 수 있었던 사진의 느낌을 위해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고 있습니다.

카메라의 기종에 따라 CCD(Charge-Coupled Device: 전하결합소자)나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상보성 금속 산화막 반도체)라는 감광소자를 사용하고 있으며,

반도체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요즘에 와서는 주로 CCD보다 크기가 큰 CMOS를 주로 사용하여 보다 선명한 사진을 찍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출처: http://www.nodongnews. 글쓴이: 안영주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