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멸종 위기 동물

장수거북이!!

 

 

세계멸종위기동물중에 하나인 장수거북은 현존하는 거북 중에서 가장 큰 종으로 열대지방에서 주로 발견되는 바다거북이 입니다.

 

체온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능력과 먹이를 위한 이동 때문에 바다거북 중에서는 분포범위가 가장 넓은편 인데요.

 

 

장수거북은 대부분 바다거북과 같이 두쌍의 다리와 큰 머리, 짧은 꼬리를 가지고 있고,

발은 다른 바다거북의 발과 비교하여 상당히 큰편으로,

앞발의 길이가 도합 270센티미터까지 자란 것이 목격된 적이 있을 정도로

큰편이랍니다.

그리고 발톱 없어서 수영하기에 적합한 형태랍니다

 

장수거북이 다른 바다거북과 다른 특이한 점은 딱딱한 등딱지가 없고,

대신에 가죽과 같은 피부로 덮여 있으며,

그 피부 밑에 아주 작은 뼈조직이 존재한다는 것 입니다.

이 뼈조직은 장수거북이가 심해로 잠수할 때 수압에 의해 납작해 지기도 한답니다.

장수거북이의 피부는 어두운 회색이고 흰색 점들이 산재 해 있는 형태입니다..

 

 

장수거북은 지구상에 있는 파충류 중에서 4번째로 크다고 합니다.

보통 크기는 1~2m정도이고, 무게는 250~270kg정도 이지만,

북대서양 해안에서 발견된 장수거북의 표본은 무려 3m에 무게는 900kg까지 자랐다고 합니다.

장수거북이의 수명은 대체로 50년 정도라고 하네요.

 

 

장수거북은 다른 거북과 다르게 장거리 이동에 매우 유리한 몸구조를 가지고 잇는데요.

몸은 전체적으로 유선형으로 되어 있고 큰 앞발로 인해 효율적으로 헤엄칠수 있다고 합니다.

 

 

장수거북은 전 세계에 분포하는 종으로 알레스카와 노르웨이 부터 아프리카의 희망봉과 뉴질랜드까지 발견되며, 주로 열대지방과 아열대 지방을 선호하지만,

한국에서도 난류를 따라 올라오는 무리가 있을 정도로 전 세계에 분포되어 있다고 합니다.

 

 

장수거북이 멸종위기종으로 분류되기 시작된 건 1982년부터라고 하는데,심각한 멸종위기종으로 분류된건 2000년 부터라고 합니다. 

10년동안 20% 이상 개체수가 감소 했으며, 인간의 영향으로 인한 것이 명확하다고 합니다.

 

주로 참치조업중 그물에 걸려 일어난 익사와 알의 남획이 주원인이고,

해안가 파괴로 인한 서식지 파괴, 기후변화, 바다쓰레기로 인한 비닐봉지와 같은 이물질을 삼켜서 익사하거나, 선박에 충돌해서 죽는 경우도 많고, 일부지역에서는 식용으로 포획하기도 해서,

개체수가 지속적으로 줄어들고 있다고 합니다

 

출처:http://blog.naver.com/joonghyukyim/80173090076  글쓴이: joonghyukyim

영원히 사는 생물

영원히 사는 생물 죽지 않거나 오래 사는 생물들
대박 영원히 사는 생물 이거 연구해서 인간에게 적용하면??

한 온라인 커뮤니티 게시판에 올라온 영원히 사는 생물
이라는 제목의 게시물이 이슈입니다.
불사하거나 오래사는 생물들..



아래 영원히 사는 생물 보시죠

영원한 삶이란 모든 인간의 궁극적인 희망일지도 모른다.
얼마나 사느냐보다 어떻게 사느냐가 중요하다지만,

그런 말도 불로불사 앞에선 다 무의미하리라.

이 세상에 있는 모든 생명체들에게 있어 죽음이란 피할 수 없는 공통적인 운명인 것일까?
지구상에 존재하는 모든 생명체의 종 중, 인간이 발견한 종의 수는 체 20%도 되지 않는다고 한다.
아직까지 발견하지 못한 미지의 생명체가 훨씬 많은 지구에, 영원히 사는 생명체는 정말 없을까?
여기, 인간이 발견해 낸 두 가지 생명체에 그 해답이 있을지도 모른다.
바로 투리토프시스 누트리쿨라와 베니크라게라는 해파리이다.
이 두 해파리는 인간이 발견해 낸 영원히 사는 생명체로 알려져 있다.

토리토프시스 누트리쿨라


보통의 해파리들은 번식 후 죽는다.
그러나 투리토프시스는 번식 후 나이를 거꾸로 먹는다.

원형의 몸통 모양을 한 체, 바위에 붙어 폴립(태아)상태로 되돌아가 다시 태어난다.

이러한 나이 역전 과정을, 무한히 반복할 수 있는

이 5mm크기의 특별한 해파리는 무한히 젊음으로 되돌아갈 수 있는 것이다.

카리브 해가 고향인 이 해파리는 지역을 가리지 않고 번식하며, 세계로 퍼져나가고 있다.

베니크라게


한편, 투리토프시스 이외에도 영원히 사는 것으로 알려진 해파리가 하나 더 있는데,
 바로 베니크라게다.

다른 말로는 홍해파리라고도 부른다.  

Salento 반도의 해저동굴에 살고 있으며,
5억년 전부터 살아온, 1cm크기의 이 해파리 또한

탄생과 노화 죽음의 과정에서 죽음만을 무시한체,

탄생과 노화를 반복한다.

노화가 일어난 후엔 역시 폴립(태아)상태로 되돌아가 세포를 축소시켜,

다시 젊어진 뒤 재탄생하는데

이러한 과정은 48시간이 걸린다고 한다.
이 외에도 인간의 수명보다 훨씬 많은 수명을 사는 생물들이 굉장히 많다.

투아타라


뉴질랜드에 서식하는 크기 60cm, 몸무게 1kg정도의 투아타라라고 하는 이 도마뱀은

사실은 파충류로, 2억년 전 공룡시대에 많은 종이 있었으나,
그 중 유일하게 살아남은 종이다.

척추동물로는 최장수에 속하는 100~200년을 산다고 한다.

붉은 성게


미국 서태평양의 얕은 바다나 바위에 붙어 사는
이 붉은 성게는 최소 200년을 사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서관충


라멜리브라시아 튜브 웜이라 불리며,

서관충이라는 이름을 가지고 있는 이 동물은
심해의 뜨거운 물이 분출되는 분출공 주변에서 서식한다.
평균적으로 170년 정도 사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많은 과학자들은 250년 이상 사는 것으로 생각한다.

남극의 해면동물


자기 스스로 움직이지 못하는 해면동물들 중에서도,
남극에 서식하는 것은 해수온도가 낮은 관계로 성장이 늦어
최고 1550년 이상 사는 개체가 존재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인간의 시간이란, 이들에게 찰나의 순간일지도 모른다.

 

출처goodting.tistory.com/2889   여름이오면..

1,000만 관객의 사랑을 받은 봉준호 감독의 영화 '괴물'에는 다소 과장된 설정이 나온다.

주한미군이 버린 포르말린이 한강으로 흘러 들어가 치명적인 돌연변이 괴물을 만들어낸다는 것이다.

과학적으로는 불가능에 가까운 일이고, 관객들 역시 영화를 위한 장치로 쉽게 받아들일 수 있는 부분이다.

 

하지만 공장이나 의약품 폐수가 실제 강이나 바다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는 학계의 지속적인 관심사였다.

지금까지 산업체나 정부 관계자들은 "막대한 양의 물에 희석되면 약품이나 폐수가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은 거의 없다"고 강조해 왔다.

그러나 스웨덴 연구진이 이런 주장이 사실이 아니라는 사실을 밝혀냈다.

스웨덴 우메아대 연구진은 지난 15일 미국 보스턴에서 열린 미 과학진흥협회 연례 학술대회에서

"의약품 공장 근처의 하천에 사는 유럽 퍼치(민물고기의 일종)가 인간이 신경안정제를 복용했을 때처럼 변하고, 그 결과 생태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고 발표했다.

연구결과는 과학저널 '사이언스' 최신호에 실렸다.


이들은 신경안정제로 널리 사용되는 '옥사제팜'을 생산하는 유럽 지역의 공장을 대상으로 주변 하천 물고기들의 습성과 생태를 조사했다.

그 결과 해당 지역에 폭넓게 서식하는 유럽 퍼치의 생활 방식이 다른 지역과 상당 부분 다르다는 점을 발견했다.

유럽 퍼치는 먹이사슬의 아래쪽에 위치한 온순한 물고기다.

집단으로 모여 사냥을 다니며, 별다른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하지만 옥사제팜 생산 지역의 유럽 퍼치 중 상당수는 떼로 모여 다니는 것에 흥미를 느끼지 못하고, 외부 활동에 지나칠 정도로 호기심을 보였다.

연구진은 이를 옥사제팜이 유럽 퍼치의 '사회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으로 분석했다.

사회성 결여는 사람이 옥사제팜을 장기적으로 복용할 때 나타나는 부작용의 하나다.

연구팀은 "무리에 흥미를 잃고 홀로 떨어져 나온 유럽 퍼치는 기존에 먹지 않던 먹이나 다른 동물에 대해서도 호기심을 나타냈다"면서,

"집단으로 모여 있을 때보다 포식자에게 노출되기 쉬운 것은 물론 기존에 다니지 않던 곳까지 홀로 이동하면서 새로운 생물종을 만들어 내거나 변이가 발생할 가능성도 커진다"고 밝혔다.

이어 "옥사제팜은 유럽 퍼치로부터 특정한 종류의 두려움을 완전히 사라지게 만든다"고 덧붙였다.

연구팀은 공업용 폐수 처리 등에 대한 인식이 부족했던 1970~80년대에 광범위한 생태계 교란이 일어났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하천으로 흘러 들어간 폐수가 증발해 비로 내리면서 하천 뿐 아니라 지상에도 영향을 미쳤을 수 있다는 것이다.

서울신문사. 박건형 기자 kitsch@seoul.co.kr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