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록 수십 밀리볼트의 극소량이지만...

모든 살아있는 동식물은 전기를 생산한다는데,

이는 생물 세포의 안쪽은 음전하의 농도가 높고 바깥쪽은 양전하의 농도가 높은데,

이렇게 세포막을 사이에 두고 전위차가 나타나는 것을 막전위(membrane potential)라고 한다. 그리고 이 전위차에 의해 전기가 발생하게 된다.

보통은 안정적인 막전위를 나타내지만 흥분성 세포, 즉 신경세포나 근육세포가 흥분을 하면 빠르게 일시적으로 막전위가 확 바뀌며,

이때 생긴 전기신호로 생물체는 자신이 경험한 자극을 전달하게 된다.

이렇게 모든 생물은 전기를 생산해서 일종의 전기신호체제를 확보하고 있죠...

그리고 충전을 하고도 남을 만큼, 아니 충전하다 감전돼 죽을 만큼 강한 전기를 만들어내는 동물도 있읍니다.

발전어(發電魚) 혹은 전기물고기라고 불리는 것들인데,

전기뱀장어, 전기메기, 전기가오리 등이 대표적인 발전어랍니다. 

전기뱀장어 경우는 600~800V(볼트), 전기메기는 400~500V, 전기가오리는 8~400V 정도 되는데,

물론 전압이 높다고 다 충격이 큰 건 아닙니다.

예를 들어 정전기 전압은 2만 볼트가 넘는데도 따끔할 정도로 미약하죠..

이것은 전압도 중요하지만 전류량이 높아야 하는 것입니다.

발전어들은 높은 전압에 전류량도 상당하기 때문에 전기뱀장어 같은 경우엔 말처럼 큰 동물도 기절시키거나 죽일 수 있답니다.

발전어들은 이렇게 센 전기를 이용해 먹이를 기절시켜 잡기도 하고, 천적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도 합니다.

이런 발전어들은 어떻게 전기를 만드는지 궁금하겠죠???

전기를 만드는 특정 기관이 따로 있는데,

전기뱀장어를 예로 들어 설명해 보면,

이 녀석들은 큰 경우 2m까지 자라는데,

몸 전체의 90%인 180cm가 꼬리입니다.

그 엄청난 길이의 꼬리에 전기판이라고 하는 발전기관을 5,000개도 넘게 직렬구조로 연결되어 있기때문에 순간적으로 엄청난 양의 전기를 방출할 수 있고,

전기판 한 개의 전압이 0.15V라고 가정하면 5,000×0.15V = 750V의 전압을 만들어 낼 수 있다.

 

그런데 그 정도로 센 전류를 흘려보내면 전기뱀장어 스스로도 감전되지 않을까요?”

결론은 아니랍니다.

전기뱀장어의 몸속에는 5,000개 넘는 직렬구조의 전기판이 무려 140개나 있지만,

이 전기판들이 병렬로 나란히 연결돼 꼬리근육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밖에서 들어오는 전기 충격을 1/140 수준 정도로만 받아들이게 되어 있답니다.


전기뱀장어와 전기메기는 주로 남아메리카 나일강 근처나 적도 근처 아프리카의 강에서 많이 사는데, 맛이 상당히 좋고 잡는 방법도 간단하답니디다.

전기어들이 위협을 느껴 전기를 마구 방출하도록 물 위를 막대기로 막 친 다음,

방전된 전기어가 정신을 못 차리고 있을 때 건져 올린다는 거죠.. 참 쉽죠잉~~.”


출처: KISTI의 과학의 향기  글 :김희정 과학칼럼니스트

'수중 확대경 > ┃ 수중 생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잭피쉬의 군집  (0) 2014.02.27
대형 물고기  (0) 2014.01.12
바닷속 가시성인장인 "바다조름"  (0) 2013.01.31
다리 달린 물고기  (0) 2013.01.20
치어리더 '폼폼크랩'   (0) 2013.01.09

'가장 행복한' 고래는 어떤 모습일까?

최근 태평양에서 포착한 범고래붙이(흑범고래)는 흔히 볼 수 없는 '살인 미소'로 전 세계 네티즌들의 눈길을 사로잡고 있다.


하와이 코나 해안에서 포착한 이 사진은 입의 양 끝이 귀에 걸릴 정도로 활짝 웃고 있는 듯한 범고래붙이의 모습을 담고 있다.

 

사실 범고래붙이는 사진 속 이미지와 달리 동족 고래를 공격할 만큼 성격이 사납기로 유명하다.

때문에 이 희귀한 장면을 본 야생전문사진작가 등 고래 전문가들은 신기함을 감추지 못했다.

이를 포착한 미국의 사진작가 덩 페리네(60)는 "나는 이 고래들에게 '스마일리'(Smiley)라는 이름을 붙여줬다.

오랜 시간 해양 동물들을 카메라에 담아왔지만 이렇게 활짝 웃는 듯한 고래를 포착하기는 처음"이라고 소감을 밝혔다.

한편 범고래붙이는 최대 몸길이가 수컷 6m, 암컷 5m 가량이며 몸무게는 2t에 달한다.

수명은 55~60년 사이며 지능이 높은 것으로 유명하다.

미국수산청(National Marine Fisheries Service)의 조사에 따르면 전 세계적으로 범고래붙이의 개체수는 급격하게 줄고 있어 보호가 시급한 상태다.

-서울신문사. 송혜민 기자 huimin0217@seoul.co.kr-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