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렁각시’ 이야기로 유명한 논우렁이의 슬픈 얘기는 매우 인상적이다.

 

우렁이 어미는 난태생으로 알을 자기 몸 안에서 낳고 부화시켜 새끼까지 성장하면 세상에 내 보내는데,

그동안 새끼들은 그 어미의 몸을 뜯어 먹고 자란다고 한다.

결국 새끼가 나올 때쯤 되면 어미는 빈 껍데기만 남아 물 위에 동동 떠 다닌다는 것이다.

알을 보호하기 위해 식음을 전폐하고 살다 마침내 죽는 가시고기의 부정처럼 애처롭다.

 

이 이야기는 사람들 사이에 모정을 표현할 때 많이 회자되는 이야기이다.

그러나 자료를 뒤적여 본 결과,

논우렁이는 난태생이 맞는데 새끼 어미 모두 무사히 살아서 태어나고,

먹이(잡식성)가 충분하면 모자간에 전혀 다툼이 일어나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러나 먹이가 부족하거나 갇힌 환경일 경우 주로 어미가 새끼들을 잡아 먹고,

만일 어미가 약하면 외부에서 새끼들의 집단 공격이 이어진다고 한다.

그리고 요즘 흔히 논에서 인공적으로 키우는 왕 우렁이는 외래종으로 알을 모두 몸 바깥에 낳는다.

 

이전에 속은 이야기 중에서 살모사 이야기가 있다.

살모사 새끼는 이름 그대로 자기 어미를 죽이고 태어난다는 것이다.

그러나 두 번이나 살모사의 출산과정을 지켜 본 결과 살모사 새끼는 절대 어미를 해하지 않았다.

어미는 완전한 새끼를 5~6마리 난 직후 꽤 수척해지지만 서로 간에는 어떤 상호작용도 일어나지 않고,

따로 독립적인 생활을 영위했다.

정작 불쌍한 건 세상에 덜렁 내 맡겨진 살모사 새끼들이었다.

이렇듯 동물이야기는 제대로 알지 못하면 감성적인 측면을 너무 강조한 나머지 사실과 혼동될 소지가 많다. 

 

 

연체동물로 분류되는 패류는 

우렁이와 같은 원뿔형인 복족류(복부에 다리가 있음)와

조개같은 이매패류(뚜껑이 두 개)로 나눈다.

 

이들은 어떻게 보면 무거운 짐을 지고 세상을 살아가는 것 같지만,

한편으론 평생 걱정 없이 자기 한 몸 의거할 멋진 집을 가진 행복한 족속들이기도 하다.

이들의 집 형태와 색깔 또한 먹는 것에 따라 종류가 다양하게 나타난다.

가령 열대바다의 패류는 다양한 먹을거리로 인해 한대지방의 것들보다 색깔이나 크기가 훨씬 다양하게 나타난다.

 

이들 패류는 먹을 것이 부족했던 시절에는 끼니에 도움이 되었으며,

한때는 그 패각이 화폐로까지 유통되기도 하였다.

그 모양에 반해 아직도 수많은 수집가들이 해변이나 바다 밑바닥을 뒤지기도 하고, 비싼 값에 거래되기도 한다.

 

 

조개들은 나무처럼 나이테를 가지고 있다.

 

여름, 겨울 같은 기후의 변화에 따라 자라나는 속도가 다르기 때문에 발생하는 현상이다.

굴이나 재첩 조개의 뚜렷한 가로무늬는 이렇게 해서 생겨난다.

 

온대지방의 것들은 당연히 계절에 따른 나이테가 확연하지만,

계절이 없는 열대 지방에서도 규칙적인 무늬가 나타나는 일이 있는데 이를 ‘산란윤’이라고 한다.

생식 활동에 과도한 에너지를 소모함으로써 정상적인 성장을 하지 못하기 때문에 그 흔적이 고스란히 조개의 무늬로 나타나는 것이다.

이들의 아름다운 무늬는 어쩌면 이들의 삶의 고통을 고스란히 대변하는 주름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나이가 들수록 패류의 성장속도는 달라진다.

 

가령 거대 전복인 California Red Abalone(적 전복)이 처음 7인치 크기까지 도달하는데 12년 정도 걸리고,

그리고 또 1인치 더 자라는 데는 5년이 걸리고,

그다음 1인치 자라는 데는 13년이 걸린다고 한다.

현재 최대 크기의 기록은 12와 3/4인치(약 30cm)인데 100살 이상으로 추정하고 있다.

 

 

패류는 주로 해초나 플랑크톤 그리고 연체류를 먹고 살고,

수많은 바다생물들의 먹이가 된다.

 

대표적인 천적은 문어나 낙지 같은 연체동물이고 다시 문어는 큰 고기들의 훌륭한 단백질원이 된다.

그러나 이들에겐 수평적인 먹고 먹히는 관계만 존재하는 게 아니라 때론 그들의 포식자가 도움을 주기도 한다.

조개들은 산란철이 되면 자기를 노리는 물고기들이 가까이 오기를 기다려 출수관에 대기하고 있던 ‘글로키디움’이란 유생을 대량으로 물고기 몸에 쏜다.

일부 유생은 그 과정에서 물고기의 먹이가 되기도 하지만,

많은 유생들이 물고기의 지느러미에 천연 갈고리를 이용해 꽉 달라붙어,

2주 정도 성체로 성장할 때까지 이 물고기는 꼼짝없이 함께 있어주어야 한다.

 

반대로 줄 납자루 같은 물고기는 조개의 입수관에 산란관을 넣어 자기 알들을 쏟아 붇기도 한다.

그 과정에서 장소만 빌릴 뿐 서로에게 거의 피해를 주지 않으므로 편리공생 혹은 상생이란 용어를 대입시키기도 한다.

 

굴들은 어쩌면 그렇게 돌 위에, 단단한 돌마저 깎아 내리는 파도를 이기고 붙어 있을 수 있는 것일까?

 

그건 바로 우리가 집의 기초를 세우는 것과 하나 다를 게 없다.

이 패각을 만드는 외투막에서 나온 액체성의 탄산칼슘(시멘트 성분)이 고스란히 돌 표면에 까지 스며들어 바로 그 돌과 그리고 옆의 동료들과 한 몸이 되게 해 주는 것이다.

홍합은 굴과는 다른 부착 방식을 취한다.

영구히 한 곳에 머무르는 대신에 일시적인 거처로 이 돌을 활용한다.

이들의 부착 방식은 닻줄과 같은 패각 끝의 족사다.

비록 견고하지만 이 족사는 홍합이 원하기만 하면 얼마든지 결합을 끊고 다른 곳으로 이동할 수 있다.

 

 

요즈음 새만금 간척지에 가면 백합이나 동죽 같은, 갯벌 생태계와 주민들이 생계를 유지해 오던 조개들의 껍데기가 무수히 굴러 다닌다.

단단해진 갯벌에는 도대체 생명체라곤 찾아볼 수가 없다.

건강한 갯벌은 그 조개들과 게들이 지나 다닌 무수한 흔적들로 한시도 가만히 있질 않는다.

갯벌의 개척자이자 생명의 원천은 바로 이 무수한 조개와 고동들이다.

우린 미물이란 이유로 이들의 가치를 소홀히 하다 보니 갯벌에 죽은 조개껍데기가 산처럼 쌓여 나가도 별로 죄책감을 느끼지 않고 살아 왔다.

그러나 고동과 조개는 인류가 태어나기 훨씬 머나먼 옛날부터 우리 지구의 생명력을 지탱해 왔다.

일시적으로 한곳에서 사라지더라도 어디선가 분명히 그 끈질긴 생명력을 유지하며 살아 남을 것이다.

이것이 조개들의 무한 생존 방식이다.

 

글 : 최종욱 수의사(광주우치동물원)


 

-산호초의 재미있는 공생관계-

 

바다 속에서 살아가는 해양생물들도 아프리카의 야생동물들 처럼 먹고 먹히는 치열한 생존 경쟁 속에서 살아가고 있다는 것은 누구나 다 알고 있는 일이다.

그러나 그 속에도 경쟁만 있는 것은 아니고 사람들과 마찬가지로 서로 돕는 관계를 맺고 사는 생물들도 많다.

그중에서도 다이버들의 눈에 자주 띠는 가장 재미있는 행동은 아마 청소 공생관계일 것이다.

사람들이 이가 아프면 치과에 가고, 땀을 많이 흘리면 목욕탕을 찾는 것과 마찬가지로 해양의 물고기들도 클리닝 스테이션(Cleaning station)을 찾는다.

암초 지대의 클리닝 스테이션은 바위나 돌산호 등이 돌출된 곳으로 그곳에는 항상 청소동물들이 서비스를 받고 싶은 고객 물고기들을 기다리고 있다가 손님들이 찾아오면 부지런하게 서비스를 해주고 있다.

 

 

사람들이 혼자서 등을 밀지 못하는 것처럼 물고기들도 스스로 피부관리를 할 수가 없다.

기생충이 피부를 파고들어도 해결할 방법이 없는 것이다.

물론 산호나 바위 벽에 몸을 비비기도 할 수 있겠지만 그것만으로는 한계가 있다.

이 때 필요한 것이 청소동물들의 도움이다.

 
청소동물들이 고객들에게 제공하는 서비스는 말 그대로 청소와 치료이다.

아가미나 피부에 달라붙은 기생충을 제거할 수도 있고 육식성 동물들의 이빨 사이에 끼어서 썩어가는 먹이동물의 살점을 빼낼 수도 있다.

그리고 상처를 입은 물고기의 몸에서 죽은 살점을 뜯어내서 새 살이 돋아나도록 해주기도 한다.

포식자의 공격으로 상처를 입은 물고기들이 수시로 클리닝 스테이션을 찾아서 서비스를 받으면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훨씬 빨리 상처가 치유된다.

그러면 청소동물들은 서비스의 댓가로 무엇을 받을까?

그것은 바로 자신들의 배를 불릴 수 있다는 것이다.

고객 물고기에게서 제거한 기생충이나 썩은 살점, 먹이 찌꺼기 등이 바로 자신들의 먹이가 되는 것이다.

고객 물고기는 기생충을 제거하고 상처의 죽은 살을 제거함으로써 이익을 얻고,

청소동물은 쉽게 먹이를 구할 수 있는 상호 호혜적인 공생관계가 성립되는 것이다.

이는 분명 인간 사회와도 비교될 만큼 고도로 분화된 적응 양상이라고 할 것이다.

물론 청소공생 관계가 항상 그렇게 서로에게 이익만 주는 것은 아니다.

청소동물들은 기생충이 없는 물고기에게도 접근하여 점액질이나 살점을 뜯어 먹기도 한다.

그래도 서비스를 받는 물고기들은 마치 사람들이 안마를 받는 것처럼 서비스에 취해서 청소동물들을 내버려둔다.

연구에 따르면 물고기들은 처리해야 할 기생충이나 상처가 없어도 단지 청소동물로부터 피부를 자극받는 것 자체에 길들여져서 클리닝 스테이션을 찾는 것 같다고 한다.

 

아무튼 청소업이 분명 손쉽게 소득을 올릴 수 있는 사업이라면 여기에도 당연히 경쟁이 있을 것이다.

그래서 그런지 암초지대에서 청소업을 벌이는 동물들로는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청소놀래기 외에도 청소고비(망둑어과), 어린 나비고기, 청소새우 등 의외로 다양한 종류들이 있다.


이들 청소동물들의 특징은 모두 고객 물고기들이 쉽게 알아볼 수 있는 뚜렷한 줄무늬를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대표적인 청소물고기인 청줄청소놀래기(Labroides dimidiatus)의 경우는 주둥이에서 꼬리지느러미까지 줄무늬가 뚜렷한데,

어릴 때에는 검은색 바탕에 밝은 청색 줄무늬가 있고,

성어가 되면 흰색 바탕에 청색 또는 검은색 줄무늬가 있다.

열대바다에서 가장 흔하게 보이는 청소새우인 밴디드 코랄 쉬림프(Banded Coral Shrimp)의 경우도 집게발과 몸통이 붉은 색과 흰색의 뚜렷한 줄무늬가 있으며,

몸의 종단으로 붉은 줄과 흰줄이 나있는 스칼렛 쉬림프(Scarlet-striped Cleaning Shrimp)도 있다.

이들 청소 동물들은 고객 물고기를 향해서 몸을 흔들거나 집게발은 진동시키는 등 자신의 존재를 알리며,

고객 물고기들은 바닥에 몸을 앉히거나, 허공에 수직으로 자세를 잡고 떠서 청소받기를 기다린다.

다음 번 다이빙할 때는 클리닝 스테이션에서 청소동물들과 물고기들의 행동을 관찰해보라.

클리닝 스테이션을 발견하여 이동하지 말고 계속 머물면서 관찰하면 찾아오는 다양한 어류들과 청소동물들의 재미있는 행동들을 구경할 수 있을 것이다.

 

 

 2005.3/4.월호에서 발췌 <<사진/ 정준연, 글/ 편집부>>

 

[스팟TV]
 
요넘 많이 해본 솜씨같죠?
빵조각을 물위에 띄워놓고 기다리다 걍~.
근데 더 똑똑한 건 전문 낚시꾼들처럼 ^포인트^를 찾아 자리를 옮길 줄 안다는 거~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