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래쉬의 가이드 넘버란?

플레쉬를 사면 가이드 넘버 XX라는 숫자를 볼수 잇습니다.

이 숫자는 피사체에서 플래시까지의 임의의 거리를 사용하는 필름의 감도(ASA)에 맞는 적정 f-stop을 계산하는데 쓰이는 숫자인데,

플래시를 사용하여 촬영할때 적정한 노출을 얻을 수 있도록 플래시의 광량을 실용적으로 표시한 숫자를 가이드 넘버라고 하며,

약자로 GN이라고 합니다.

이수치는 카메라와 플레쉬 제조업체간에 실험을 통해 측정한 데이타값을 통하여,

플레쉬의 광량의 강도를 표시한 것으로 수치가 클수록 광량도 많아집니다.
 
이를 공식화 하면
가이드넘버 = 조리개값 * 피사체와의 거리(미터) 로 
서로 서로 상관관계를 갖고 있읍니다.
예:

 "GN20 (m)·ISO 100"이라는 식으로 표시된 프래쉬일 경우에는

가이드 넘버 20 이라는 이야기인데,

이 후레쉬를 가지고 피사체와의 거리가 4미터에서 사진을 찍는다면,
공식: 20 = X * 4.

그러므로 조리개는 F5.0 정도가 적정 노출이 된다는 뜻입니다.

 

 

* 만약 구해진 값에 소숫점이 있을 경우에는 반올림을 합니다.

 

예를 들어 구해진 조리개 값이 F8.4라면 0.4는 무시하고 f8로 하면 되고,

또 거리를 구한 값이 3.2 메타라면 3메타에서 발광시키더라도 필름의 라디튜-드(관용도)에 의해 커버되기 때문에 염려할 것이 없다는 말입니다.

 

* 일반 디지탈 카메라의 내장 플레쉬들에는 가이드 넘버를 표시하지 않읍니다.
그런 경우는 플레쉬의 유효범위를 살펴 보아야 합니다.

 
대개의 디지탈카메라 내장 플레쉬들은 3미터 이상 떨어진 피사체에는 광량이 부족합니다.
그래서 조금 멀리 떨어진 피사체에도 충분한 노출로 사진을 찍고자 한다면.
외장 플레쉬를 달수 있는 디지탈 카메라가 좋읍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