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접사라는 말은 사실 얼마전 까지만 해도 널리 사용되던 말이 아니다.

 

필자는 그냥 곤충 겹눈이 보이는 정도를 초접사의 의미로 사용하였으나,  

이런 말이 접사를 하는 사람들에게 널리 퍼져서 요즘은 일반 명사처럼 사용되곤 한다.

 

지금에 와서는 초접사란 1:1 배율 이상의 접사를 말한다고 보면 큰 무리는 없을 것이다.

그런데 마크로렌즈로만 찍으면 1:1 배율이 한계이므로 접사링등의 특수장비가 필요하게 된다.

지금에 와서는 초접사란 1:1 배율 이상의 접사를 말한다고 보면 큰 무리는 없을 것이다.

그런데 마크로렌즈로만 찍으면 1:1 배율이 한계이므로 접사링등의 특수장비가 필요하게 된다.

 

* 배율 * 

카메라 센서만한 크기의 물체를 최단거리에서 찍었을 때 사진원본을 꽉 채운다면 1:1 배율이다.

사진 원본이 그 물체를 면적상 1/4의 크기로 표현한다면 1:2 배율이다.

따라서 디테일이 생명인 접사촬영에서는 배율이 대단히 중요한, 거의 결정적인 성능이 된다.

그래서 간이접사렌즈 (줌렌즈에 마크로라고 붙은것들)는 사실상 접사촬영에서는 장난 수준을 벗어나지 못한다.

 

 

(초접사로 촬영한 박각시나방의 머리. 배율 약 3: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원본크기로 보실수 있습니다.

 

또 한가지, 접사링을 사용하는 등 엄청 큰 배율을 사용해서 디테일을 중시하는 초접사같은 장르에서는 화소가 큰 카메라가 유리하다.

 

간단히 말해서 같은 거리에서 같은 렌즈로 같은 피사체를 찍어보면 

600만화소인 D70으로 찍은것보다 D300은 면적상으로 2배의 디테일을 가진다.

이것은 내공이나 다른 어떤 기술로도 절대 따라잡을 수 없는 엄청난 갭이다.

그래서 저화소 카메라는 접사에는 적합하지 않다.

 

또 한가지 몇 번을 말해도 사람에 따라 믿지 않는 이야기지만 풀프레임카메라(이하 FF)는 접사에 적합하지 않다.

 

디테일은 화소밀도(센서면적당 화소수)에 비례하게 되는데 이는 크롭바디카메라들이 우수하다.

즉 한 피사체의 같은 부분을 몇 화소로 표현하느냐의 문제가 되는 것이므로,

좁은 부분을 비슷한 화소로 표현하는 크롭바디들이 대개 우수한 것이다.

 

이를 정확히 알아보면 화소밀도를 고려한 초접사시

디테일표현화소 = 원래화소 X 크롭비율의 제곱 이 된다.

 

이 방법으로 몇몇 카메라를 대입해보면

1DsMK3 = 2200만 X 1의 제곱 = 2200만

5D     = 1300만 X 1의 제곱 = 1300만

40D    = 1000만 X 1.6의 제곱 = 2560만

D3     = 1200만 X 1의 제곱 = 1200만

D300   = 1200만 X 1.5의 제곱 = 2700만

 

이 이야기는 간단히 이해하자면

초접사를 찍을 때 1.5크롭짜리 1400만화소 카메라의 디테일을 풀프레임카메라로 내려면 3150만화소짜리여야 한다는 것이다.

그래야 중앙부분을 크롭해서 1400만화소를 만들면 같은 사진이 나오기 때문이다.


혹시 풀프레임카메라가 픽셀샤프니스가 좋다거나, 노이즈, 계조성능이 유리하므로 이 계산은 맞지 않다고 생각하는 분들은  저ISO(접사를 주로 찍는 100, 200)에서는 그런 차이점들이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는 것을 알아두시기 바란다. 

(그리고 정말 혹시나 하지만,

FF 카메라를 더 들이대서 같은 프레임을 만들면 화소가 더 높은거 아니냐 생각하시는 분들은

초접사는 어짜피 최단거리에서 찍기 때문에 크롭바디나 풀프레임카메라나 들이대는 거리 자체는 똑같다는 점을 유념해주시길..  

즉 더 들이댈 수 없는 거리에서 두 카메라로 찍은 피사체는 엄청난 크기 차를 가지고 찍힌다는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는 심지어 고화소 똑딱이카메라조차 대단한 디테일을 만들 수 있을 정도이다. 

사실 1000만화소짜리 똑딱이들이 접사를 주로 찍는 플래쉬빛 하에서나 아주 좋은 자연광 하에서는 600만화소짜리 DSLR보다 디테일면에서는 더 낫다는 것이 이런 결론을 뒷받침 해준다.

 

(의심스러운 분들은 www.dpreview.com에서 각 카메라들의 Resolution 부문을 확인 해 보면 된다.)

 

posted by Dark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