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다 안전한 리튬-이온 배터리

PDA나 노트북 컴퓨터 등 휴대용 기기가 생활과 뗄 수 없는 필수적인 존재로 자리 잡았다.
휴대 가능한 모든 물건은 배터리 기술 부분의 진보 덕분에 가능하다.
가장 많이 이용되는 배터리는 리튬-이온배터리로 기술의 진보와 함께 배터리의 용량은 커지면서 크기는 작아지고 있다.

리튬-이온 배터리가 인기를 누리게 된 이유는 '높은 에너지 밀도'와 '전압 출력'이 4볼트까지 이를 수 있다는 점이다.
단 제조를 위해 사용되는 유기 전해질이 인화성이 있기 때문에 안전 부문에서는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2008 HelloDD.com
그러나 이 리튬-이온(lithium-ion batteries) 배터리가 과열되고, 결국 컴퓨터를 태우게 되거나, 배터리가 불에 탔다는 사례가 적지 않게 접수되면서,
많은 컴퓨터 제조업체들은 배터리에 대한 리콜을 실시했다.
 
이러한 배경에서,
독일 프라운호퍼 규산염 연구소(Fraunhofer Institute for Silicate Research(ISC))의 연구원들은 기존의 리튬-이온 배터리에서 사용되는 액체전해질(liquid electrolyte) 대신에 고분자 전해질(polymer electrolyte)을 기반으로 하는 첨단 기술을 개발했다.
 
그리하여, 예전의 배터리와 달리 새로운 배터리는 비 인화성이어서 사용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다.
 
이 배터리의 프로토타입은 이미 완성된 상태이며,
연구팀은 소비자를 겨냥한 시장 출시를 앞으로 3~5년 후로 계획하고 있다.
 
불의 밝기가 밝아야 하기 위해서는 밧데리의 용량이 커질 수 밖에 없읍니다.

그러나 수중후렛쉬 또는 수중비디오용 라이트는 밧데리의 용량이 크게 되면,

잠수인이 휴대가 불편하기 때문에 효율이 높은 전구를 사용하게 되는데,

 

그중에 LED램프는 밧데리를 오래 사용할 수는 있으나, 불 밝기가 문제이며,

그나마 고가라고 해도 효율이 높은 방전램프인 HID를 사용하는 추세로 가는 실정입니다.

 

여기에 수명까지 오래가는 전구가 있다니 소개 드립니다.

 

 

Ceravision社는 50퍼센트 이상 효율이 높고, 수명이 다하지 않는 전구를 개발했다고 합니다.

아마 수명이 다 하지 않는다는 말은 아주 오랜기간이라는 의미라고 생각되네요.

 

이 전구는 놀라운 신기술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이미 대량 생산이 가능한 기존설비를 이용해서 만들어진 부품을 이용하여 제작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읍니다.

일종의 방전 램프로써 전자 방출기 근처에 램프를 두게 되면 응집된 전기장이 가스 튜브안에서 형성되고 즉시 플라즈마로 바뀐다고 합니다.

 

에너지의 50% 이상이 빛으로 발열되는데,

일반 방전 램프보다 2배 이상 높고 일반 형광등보다 4 배 이상 높다고하네요.

 

전구의 수명이 긴 이유는 전기원과 전구 사이에 연결이 없기 때문이며,

유리 튜브는 깨지지 않고 전자 방출기가 방사를 하는 한,

기기는 영원히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HID램프 사용시 주의 사항 

 

Helios 13 HID

1.메탈헬라이트램프는 자외선 , 가시광선 , 적외선이 방출되고 있습니다.

빛에15분 이상 노출되면(자) 피부나 눈이 가려워지는 일이 있습니다.

조작 중은 램프를 직접 응시하는 것은 피해 주세요.

 

2.램프는 온도가 내린 것을 확인하고 나서 분리 해 주세요.

아크 튜브(쿼츠)에 의해 상해를 입지 않도록 조심해 주세요

사용중인 램프는 뜨거우므로 손대지 말아 주세요.

반드시 램프를 끈 상태로 램프가 식은 후에 분리 하세요.

 

3.램프를 취급할 때는 아크 튜브(쿼츠)를 보호해 주세요.

아크 발광관은 쿼츠 유리는 청결한 상태를 유지해 주세요.

쿼츠 튜브 , 반사경의 표면 , 코넥터의 와이어에는 손대지 말아 주세요.

더러워지고는 램프 기능을 저하시켜,

수명을 저하시킬 우려가 있을 수 있습니다.

필요가 있으면 발광관을 솜털이 붙지 않는 타올이나 변성 알코올을 붙인 면봉으로 닦아라고 주세요.

 

4.발광관과 콘트롤러인 "바리스터"는 밖의 온도에 대해서 민감합니다.

HID라이트는 할로겐공 정도의 열은 발생시킵니다만 , 

HID램프는 램프가 적절히 차게 되는 수중에서만 사용해 주세요.

HID라이트를 운반하려면 직사 광선을 피하시고 더운 날의 차내 등에 방치하지 마세요.

 

5.극성을 지켜서 사용 바랍니다.

HID라이트는DC출력의 램프입니다.

전자 회로의 극성을 지키는 것이 발광관에의 데미지를 방지합니다.

 

 

HID램프 수명 체크방법 

 

전구의 수명이 다죄었을때 최초로 말기징조로 나타나는 것은 광량이 저하입니다.

그리고 또 지속적으로 발광하지 못하고 단속적인 스타트입니다.

 

또 아크 튜브의 구석이 거무스름해지거나, 전극의 구석에 열화등이 발생된 것은 수명이 다한것으로 보시기 바랍니다.

HID발광관에는 환경을 파괴하는 수은을 포함한 금속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HID발광관의 폐기는 지정된 곳에 폐기하셔야 합니다.

HID라이트의 수명 이전에 문제가 생겼을 때에는 발광관과 바리스터의 부품을 점검해 주세요.

 

 

1.발광관 점검

 

ㄱ.아크 튜브의 파손이나 발광관 자켓의 외측을 점검.
ㄴ.발광관이 전극과 기초에 접하는 부분을 체크.
ㄷ.발광관의 피복이 파손되거나 느슨해진 부품이 없는가를 발광관을 눈으로 확인.
ㄹ.아크 튜브의 구석이 거무스름해지지 않은가 점검.
ㅁ.외측의 유리의 피복부위 안쪽의 부착물을 점검.


2.바리스터나 콘덴서 점검

 

바리스터를 떼어 내서 15초간 기다렸다가, 뚜껑에 붙어 있는 코넥터를 재접속시킨 뒤 바리스터를 다시 셋팅 하고 나서 , 점등을 시도한다.

 

ㄱ.전구를 교환하더라도 바리스터에 맞는 왓트수의 전구를 사용하여야 작동합니다.

ㄴ.주위의 온도에 의해 오버히팅이 되지 않도록 한다.

ㄷ.배선 미스나 고장 배선의 점검.

ㄹ.바리스터 하우징 내부의 배선상 기계적인 데미지 점검

 

출처: http://www.halcyonkorea.net/lights/hid-faq.html

'얼렁뚱땅 투시경 > ┃ 자작의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다 안전한 리튬-이온 배터리 출시 예정  (0) 2008.05.23
수명이 영원한 전구  (0) 2007.08.08
HID 라이트의 장단점  (0) 2007.05.03
전구에 대한 이해  (0) 2007.04.29
HID 라이트란...  (0) 2007.04.28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