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은 스타트렉의 한 장면으로 불칸족들이 정신융합을 통해 강제로 기억을 지운다.

 

미국 하버드 대학과 캐나다 맥길 대학(Harvard and McGill University) 연구진들은

나쁜기억을 지워주는 기억 상실증 약을 개발 중이라고 한다.

 

이름하여 프로프라놀롤(propranolol): 나쁜 기억을 지워주는 기억상실증 약.

 

정신의학 연구 저널(Journal of Psychiatric Research)에 발표된 최신 연구에서

교감신경 억제제 프로프라놀롤(propranolol)은

외상 후 스트레스에 시달리는 환자들의 아픈 기억을 치료하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행하는 `초소형 파리로봇` 개발


미 하버드대, 날개폭 3cmㆍ무게 0.06g 불과

스스로 날개를 움직여 하늘을 날 수 있는 초소형 파리로봇이 미국 하버드대학 연구팀에 의해 개발됐다고 ABC뉴스 인터넷판이 19일(현지시각) 보도했다.

이 로봇은 파리와 비슷한 크기와 생김새로 날개폭은 3cm이며 무게는 0.06g에 불과하다.
이 때문에 언뜻 보면 진짜 파리로 착각할 수도 있다.
날개를 비롯한 각종 부품은 탄소섬유 화합물로 구성돼 가벼우면서도 튼튼하다.

지금까지 많은 곤충형 로봇이 만들어져 왔지만 한 쌍의 날개를 가지고 실제 곤충처럼 비행할 수 있게 개발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개발팀을 이끌고 있는 하버드대학 로버드 우드 교수는 "이번 로봇 개발에 7년이 걸렸다"면서 "기존의 로봇 기술과는 전혀 다른 마이크로 전기기계 시스템 개발을 통해 초소형 로봇을 만들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현재는 수직 상승 비행만 할 수 있고, 전력도 외부로부터 공급받아야 하지만 후속 연구를 통해 좀 더 성능을 개량할 수 있을 것으로 연구팀은 예상하고 있다.
연구비를 지원하고 있는 미 국방고등연구계획국(DARPA)은 장차 이 로봇을 각종 군사작전에서 정찰용으로 활용한다는 계획이다.
UC버클리의 로봇 전문가인 론 피어링 교수는 "연구팀이 매우 중요한 성과를 거두었다"면서도 "앞으로 풀어야 할 기술적 문제도 결코 적지 않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손정협기자 sohnbros@

< 모바일로 보는 디지털타임스 3553+NATE/magicⓝ/ez-i >

< Copyrights ⓒ 디지털타임스 & d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리츠메이칸 대학(Ritsumeikan)Shiga University of Medical Science의 연구원들은 손상된 부분의 절개를 통해서 몸 안에 삽입 후 원격조작을 통해 움직이는 미니 로봇을 개발했다.

이 로봇은 환자 주위에 위치한 외부 자기장을 통제함으로써 작동되며,

치료를 수행할 수 있어 경우에 따라 수술을 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또한 통계자료와 이미지를 컴퓨터로 전송할 수 있으며,

MRI사진을 이용해 수술의 위치를 정한다.

 

길이는 0.8인치,

직경 0.4인치.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