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삽입 이미지


▲ 2008년05월12일 리히터 규모 7.8의  대지진의 진앙인 강진이 쓰촨(四川)성 원촨(汶川) 부근의 단무(檀木)마을에서 발생하기 사흘 전인 9일, 10만여 마리의 두꺼비 떼가  거리로 쏟아져 나왔다 ./ 홍콩 빈과일보 는13일 보도에서 두꺼비가 지진이 일어날 것을 알고 미리 대피했다고 보도했다

본지 5월14일자 보도


두꺼비의 대규모 이동을 설명해줄 과학적인 데이터는 없다.

빈과일보는 "동물들이 자연재해를 예측하는 능력이 있다"는 홍콩대 량즈칭 교수의 주장을 인용했을 뿐이다.

개구리에 관한 속담 중,

'개구리가 얕게 월동하면 겨울이 따뜻하다'는 말이 있다.

날씨가 따뜻하면 개구리가 땅속 얕은 곳에서 겨울을 난다는 것으로 농사에서는 겨울 작물의 줄기나 잎이 쓸데없이 길고 연약하게 자라는 것에 대비해야 한다는 의미다.

도롱뇽이 논바닥에 알을 낳으면 그해는 가뭄이 일고, 흐르는 물 옆 바위에 알을 붙이면 홍수가 든다고 해서 논이랑과 논에 물고를 조심스레 챙겼다는 이야기도 있다.

 

청개구리는 얇은 피부가 습도에 민감해 시끄럽게 울어대며 기후변화에 반응한다.

일본에서는 청개구리를 천기(天氣)를 알리는 개구리로 친다.

비 오는 것을 예지하는 능력이 25% 이상이라고 한다.

한여름 무더위에 종알거리는 개개비(여름 철새)와 멧밭쥐(설치류)는 홍수가 심해질 것이라고 예견되는 해에는 평상시보다 갈대밭에 둥지를 높게 튼다고 한다.

 

이 모든 것을 억측으로 볼 수만은 없다.

중국에서 대지진 전에 이동했다는 두꺼비 무리는 올해 부화해 성장한 새끼들이다.

두꺼비는 4월 중순쯤 가까운 하천이나 웅덩이, 연못, 논, 저수지에 모이는데 주로 흐리거나 비가 올 때, 밤에 어슬렁어슬렁 떼로 기어 나온다.
이들은 반드시 자기 어미가 자기를 낳아준 곳에 와서 수백 개 이상의 알을 염주 알 매달듯 길게 늘여 낳는다.

두꺼비들이 성장하여 알을 낳기 위해 찾아오는 거리는 길게는 2㎞나 된다.

연어의 모천(母川)회귀설과 유사하게 자기가 태어난 곳을 아는 것이라지만 아직 학설일 뿐이다.

지구의 자기장에 이끌려 온다는 것과 물 냄새를 맡고 몰려 다는 의견도 있다.

5월에서 6월 사이 막 탈바꿈한 수 은 어린 두꺼비는 떼를 지어 태어난 곳을 빠져 나와 어미가 사는 산으로 본능에 의하여 기어 올라간다.

이것이 어미가 그랬듯 자기들의 쉼터로 돌아가는 것이다.

그러나 두꺼비 떼가 어미들이 택하지 않았던 도심을 택해 이동한 것을 보면 대재앙을 예견했을 가능성을 전혀 부인할 수 없다.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08/05/23/2008052300883.html


출처: 조선일보  글쓴이: 심재한 한국 양서파충류 연구소장 

세계적으로 미래 식량자원의 보고로 그 가치를 인정받고 있는 바다.

지금까지는 바다에서 자란 물고기를 잡는 어업이었다면,

이제는 기르는 어업으로 바꿔야 한다고 합니다.

 

발상의 전환을 이룰 수 있는 미래 식량기지라고 할 수 있는 바다목장의 의미와 중요성에 대해 알아본다.

 

바다목장이란?

바다목장이라고 하면 상상되는 모습은 무엇일까요?

푸른 바다위에 인공 초원을 조성 젖소와 양들이 뛰어 다니는 모습?

아니면, 일반 가두리 양식장에 각종 물고기들을 기르는 모습?

대부분의 사람들은 이런 이미지들을 떠 올릴지도 모릅니다.

바다목장이란 자연 그대로의 청정해역에 인공어초(바다 속에 정착하는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구조물로서 물고기의 아파트라고 할 수 있음)를 투입하는 등 물고기가 모여 살 수 있는 최적의 환경을 조성해서,

치어 때부터 ‘음향급이기’를 통해 먹이를 줄 때 마다 동일한 음파를 보내는 조건반사를 이용하여,

물고기를 훈련시켜 정착을 유도해 지속적이고 환경 친화적인 수산자원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양식 어업을 말하는 것입니다.

 

가까운 일본에서는 60년대부터 연안 목장화 사업을 시작하여 환경 제어, 어초 제작, 음향급이 시스템 개발 등 다양한 분야의 기술을 접목하여 80년대에는 20여 개소에 달하는 해양목장을 운영 중에 있으며, 2000년대에는 1,200만 톤의 수산물 생산을 목표로 투자 계획을 세워놓고 있습니다.

 

한편, 유럽의 노르웨이에서는 60년대 대서양연어를 대상으로 목장화 사업을 시작으로 80년대에 들어와서는 대구, 바다가재 등을 대상으로 사업을 추진 중에 있으며,

그 외에도 미국, 뉴질랜드, 중국 등지에서도 인류의 마지막 자원 보고인 바다의 생산력을 최대한 이용하려는 노력의 하나로 바다목장화 사업을 계획, 추진 중에 있습니다.

 

우리 바다에서 미래 수산자원 확보를 위하여

해양수산부가 바다에 연안오염과 남획에 따른 어자원 고갈을 극복하기 위해 시작한 대규모 어자원 조성사업으로 1998년부터 연구비 130억, 시설비 110억 등 국비 240억원을 투입해 경남 통영시 산양읍 삼덕리와 미남리 일대에 걸친 2,000㏊(보호수면 540㏊, 수산자원관리수면 1천460㏊)에 해상 가두리양식과는 달리 인공어초와 해중림 등의 어장을 만들고 어패류를 방류해 자연상태에서 살아갈 수 있도록 조성하는 친환경적 생산시스템인'통영바다목장'이 시작 9년여 만인 2007.6.26일 준공했습니다.

 

 

바다목장은 해상 가두리 양식과는 달리 바닷속에 인공어초와 해중림 등의 어장을 조성하고 정착성 어패류를 방류해 자연상태에서 살아갈 수 있도록 하는 친환경적 생산시스템으로서,
해양수산부 산하기관인 한국해양연구원을 주축으로 국립수산과학원, 한국해양수산개발원, 경상대, 부경대, 전남대, 경남도, 통영시 등이 참여했으며,

국내 최초로 시도된 바다목장인 만큼 전남 여수와 경북 울진, 충남 태안, 제주 등 후속 바다목장에 기술적 기반을 제공하는 등 바다목장사업의 모태가 되기도 했읍니다.

 

이곳이 바다목장의 시범구역 선정하게 된 것은 3면이 섬으로 둘러싸여 있고 연중 수온차가 크지 않는 곳이라 오래전부터 어획량이 많았던 청정해역이였읍니다.

그러나 언젠가부터 남획으로 어족자원이 고갈된 상태로 변한지 오래였는데,

이제 무분별한 남획으로부터 바다목장을 보호하기 위해서, 

일대 2,000헥타르의 해면을 보호수면과 자원관리수면으로 지정해 관리하고 있고,

2005년3월14일부터 2009년12월31일까지 수산자원관리수면으로 지정돼 남획성 어업인 통발, 자망, 낚시어선업(유어낚시)등의 금지, 체포금지 체장(볼락15cm, 우럭30cm, 감성돔20cm, 참돔20cm)이하의 어류 포획 금지, 일체의 어로행위 금지 등으로 보호받고 있는 중 입니다.

 

또 사업 해역에는 1000여 개의 인공어초가 만들어지고,

볼락·조피볼락(우럭) 등 수산종묘 1300만 마리를 가두지 않고 풀어서 키우기 위해 방류되었으며,

어류서식 복원을 위해 인공어초를 활용하게 되었읍니다.

 

그리고 매시간 해양상태를 모니터링 한 결과 현재 약 900여t의 자원이 조성되는 등 사업초기 자원량의 8배 가량 증가된 것으로 평가되고 있읍니다.

특히 바다목장 조성 전에는 거의 찾아볼 수 없을 정도로 자원이 감소됐던 볼락이 현재 100여톤 가량 조성돼 어업인 소득증대에 크게 기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읍니다.

 

수산자원 증가에 따라 인근해역 어업인 소득도 1998년 2160만원에서 지난해에는 2731만원으로 26% 높아졌다고 합니다.

더구나 육상의 지리표시제와 같이  바다목장이라는 이름을 상표등록한,

바다목장산 고기의 경우에는 부가가치 또한 수천억원대에 이를 것으로 전망하고 있고,

이 외에도 인공어초, 종묘생산 등에 사용된 기술 40여 건이 특허를 받았으며,

국내외 학술지에 약 200여편의 논문이 등재되는 등 해양수산기술 발전에도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읍니다.

 

이렇게 바다를 내준 어민들도 바다목장에 거는 기대에 잔뜩 부풀어 있었는데,

백발이 성성한 한 어부가 말하기를 

“예전엔 통영바다에서 고기 잡아서 아들 딸 공부 다 시키고 시집 장가 다 보내고 그랬지,

그런데 지금은 우리 노부부 입에 풀칠하기도 힘들어..

고기가 잡혀야 말이지..”

푸념섞인 말 뒤에,

“그래도 바다목장 때문에 나중을 생각해서 고기잡이를 그만 두지 못하겠더라고.....

예전처럼 배 한가득 고기 잡아 올 날이 생각나서 말이야” 라며

기대 섞인 말을 남기며 어느새 바다로 나가고 있었다.

 

글쓴이: 통영해양경찰서 고성파출소 정상우 경위

금은 바다물에서 녹도 안쓰나 봐여...전혀 얼룩이 없는걸보면...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동아닷컴]

24일(현지 시간) 미국 플로리다키스 뉴스뷰로(Florida Keys News Bureau)가 공개한 황금 술잔의 모습. 키웨스트 서쪽으로 30마일(약48km) 떨어진 곳에서 스페인 갈레온선 ‘산타 마르가리타(Santa Margarit) 호’의 잔해를 조사하던 난파선 인양업자들이 이 술잔을 발견했다. 블루워터벤처스(Blue Water Ventures)社는 멜 피셔스 트레져스(Mel Fisher's Treasures)社와 공동으로 1622년 폭풍으로 침몰한 마르가리타 호를 조사했다. 이 술잔은 1백만달러(약10억원) 이상 나갈 것이라 추정된다. <동아닷컴>

출처 : 다이빙 라이프
글쓴이 : 해달 원글보기
메모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