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의 개가, 포화잠수


 

Diving, Bell이번 인양작전에서 심해잠수사들이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었던 요인 중 하나는 청해진함의 최신 설비다.

96년 해군에 배치된

이 함은 IMF 이전 가격이 1000억원대.

포화잠수장비(DDS),

심해잠수구조정(DSRV),

98년 6월 동해에서 북한 잠수정을 인양할 때 사용한 리프팅 백,

각종 유압 동력장치,

100m보다 깊은 곳에서도 함을 자동으로 고정시켜 주는 자동함위ssds장치(DPS) 등을 보유하고 있다.

인양작전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함이 반잠수정과 일직선상에 위치해 안정적으로 고정(Harboring)되는 것.

이는 특히 함과 생명줄로 연결돼 있는 잠수사들의 안전을 위해서도 필수적이다.

위치유지 작업은 기상상태, 조류, 함정조함술, 전자기기 상태 등 최적의 조건이 갖춰져야 가능하기 때문에

보통 파고 2m, 풍속 20노트 이내의 조건이 4일간 지속돼야 한다.

과거 10년동안 10월부터 다음해 3월까지는 대륙성 고기압으로 인한 북서풍 때문에 이런 조건을 갖출 수 없었다고 한다.

그런데 3월1일부터 며칠간 날씨가 좋을 것이라는 예보가 나왔다.

이때 심해잠수사들이 1차로 반잠수정의 함수 부분과 함미 부분을 결색하는 작업에 들어갈 수 있었고,

16일과 17일 이틀간 마무리를 해 선체인양에 성공했던 것이다.

이번 인양작업의 또 다른 특색은 포화잠수라는 특수 기법이 적용됐다는 점이다. 이는 해저 100m보다 깊은 곳에서 잠수할 경우 사용하는 기법으로 미국의 조지 본드 대령이 1966년 개발했다.

탐색구조이를 위해서는 산소헬륨을 혼합한 혼합기체 공급장치와

수면으로 상승할 때 압력을 서서히 줄여주는 감압장치가 있어야 한다.

혼합기체를 이용하는 것은 질소 마취현상을 극복하기 위한 것이다.

감압장치가 필요한 것은 고압력 상태에 있다가

갑자기 저압력 상태로 나오면 혈관이 파열되고,

질소가 기포화하여 생기는 공기색전증(塞栓症), 관절통 근육통, 운동지각장애치명적인 부상(잠수병, caisson병)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포화잠수는 먼저 잠수사들을 밀폐된 격실(챔버)에 들어 가게 한 다음

▲ 혼합기체를 넣고 1분당 수심 1m로 하강속도를 정한 뒤 가압해 잠수목표 수심과 같은 압력을 만든다.

이 과정이 잠수사 체내에 기체가 최대로 흡수 되도록 하는 포화과정이다.

▲그 뒤  잠수사가 챔버에 연결된 PTC를 타고 바다 밑으로 이동하고

▲목표수심에서 잠수사가 PTC 밖으로 나가 임무를 수행한 다음

▲ 임무를 완수하면 보통 50분에 수심 1m 상승 속도로 상정,

챔버의 압력을 줄이도록 한다.

이 기준은 영국 잠수전문기관(National Hyperbaric Centre)이 수 차례의 시행착오를 거쳐 만든 ‘포화잠수 감압표’에 따른 것이다.

포화잠수 잠수사들은 안전을 위해 잠수복과 장비에 달려 있는 수십개의 밸브와 게이지를 점검하고,

눈 감고도 조작할 수 있을 정도로 숙달돼 있어야 한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