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천m급 국산 심해 무인잠수정 '해미래'

 

해양수산부는 심해 6천m서도 해저탐사와 시료채취 작업이 가능한 무인잠수정 ’해미래’의 개발을 마쳤다고 7일 밝혔다.

오거돈 해양수산부 장관은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정부는 지난 2001년부터 한국해양연구원과 함께 6천m급 무인잠수정을 개발, 잠수정 ’해미래’와 진수장치 ’해누비’의 하드웨어 조립과 운영성능 시험을 끝내고 현재 운용 소프트웨어를 테스트하고 있다”고 밝혔다.

오 장관은 “이로써 미국과 프랑스, 일본에 이어 세계 4번째로 6천m급 심해 무인잠수정 개발 기술 보유국이 됐다”며 “이 잠수정은 망간단괴 등 해저 부존자원 탐사와 심해 신물질 시료 채취 등에 필수적인 장비”라고 덧붙였다.

정부는 내년 3월 해양연구원 거제 장목시험장서 진수식을 갖고 4월과 9월께 각각 울릉도 인근 심해 2천m와 태평양 6천m에서 단계적으로 시범 운전을 진행할 계획이다.

해미래’와 ’해누비’의 개발에는 내년까지 총 120억원의 사업비가 들어간다.

총 중량 3천700㎏의 무인 잠수정 ’해미래’는 6개의 전동추진기를 통해 1.0~1.5노트(knot)의 속도로 전후, 좌우, 상하 운행이 모두 가능하며 ±5m 오차범위에서 목표물을 추적할 수 있는 위치추적장치(USBL)를 장착하고 있다.

또 2개의 유압식 수중 로봇팔로 샘플 채취 등의 수중 작업을 할 수 있다.

정부는 앞으로 이 무인 잠수정을 해저 유전탐사, 심해 열수광산 탐사, 해저자원 및 신물질 탐사와 해양 환경.지질 조사, 수중 구조물 유지.보수 등에 적극 활용할 계획이다. 

이와함께 이번 잠수정 개발 과정에서 확보한 잠수정 본체, 작업로봇 제작 기술과 수중 복합항법시스템 등을 국내외 업체들에 이전, 상업화를 추진함으로써 세계적으로 1조원대의 시장을 형성하고 있는 산업차원에서 해양탐사장비 부문을 육성할 방침이다.

특히 이번에 개발한 6천m급 잠수정은 순 우리기술로 만들어 외국산의 60% 가격수준에 제작이 가능하므로,

이 잠수정 개발로 향후 연간 80억원의 시스템 수입 대체,

120억원 상당의 장비.부품 수출 등 총 200억원의 경제적 효과를 거둘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기사 내용:2005.12.7

무인잠수정에 의한 심해탐사 개념도
 

무인 잠수정 이름 공모

국내 최초로 6000m까지 탐사할 수 있는 차세대 심해용 무인잠수정(ROV, Remotely Operated Vehicle)의 이름이 ‘해미래’로 결정됐다.

무인잠수정 심사위원회는 지난 한달간 차세대 심해용 무인잠수정 이름을 공모한 결과 박근조(45세)씨가 제안한 ‘해미래’가 바다와 미래를 함축적으로 잘 표현하고 있어 이같이 결정했다고 밝혔다.

수중진수장치의 이름으로는 한담희(중2)씨가 제안한 ‘해누비’가 해미래와 걸맞으면서 미지의 바다를 누비는 모습을 잘 표현하고 있다고 평가돼 선정됐다.

강찬구 심사위원장은 “부르기 좋고 국민에게 꿈과 희망을 심어주며 바다와 관련한 미래지향적인 이름을 기준으로 평가했다”며 “예상보다 많은 인원이 응모해 차세대 심해무인잠수정에 대한 국민적 관심과 기대를 실감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무인잠수정 ‘해미래’는 오는 11월까지 조립을 완료하고 12월경에 동해에서 시운전에 들어갈 예정이다.

 

2005년 3월 5일 편집부


▲ 2006년 5월 3일 오후 경남 거제시 한국해양연구원 남해연구소 장목시험장에서 진수식을 가진 6천m급 국산 심해 무인잠수정 '해미래'. /연합

 

************************

 

'해미래'가 모선인 온누리호에서 해상시험을 위해 크레인으로 옮겨지고 있다. 

*****************************************************************************

 로봇팔을 이용,

동해 밑 울릉분지 위에 동판으로 제작된 태극기를 설치하는 모습.

 

1일 해양수산부와 한국해양연구원 등에 따르면 

지난달 28일 북위 36도40분-동경 130도30분 지점에서 수심 2천50m까지 잠수,

동판으로 제작된 가로 23㎝, 세로 13㎝ 크기의 태극기를 울릉분지 위에 설치하는데 성공했다.

 

해미래는 이번 실해역 시험에 성공함에 따라 11월 초께 서태평양 필리핀 부근 해역으로 이동해사,

약 6천m 심해에서 본격적인 실험을 실시할 계획이다.

또한 앞으로 우리나라가 하와이 동남방 2000㎞ 떨어진 태평양 해역에 확보해 둔 클라리온-클리퍼톤(Clarion-Clipperton)광구를 비롯한 심해저 망간단괴 등 해저 부존자원 탐사와 심해 신물질 시료 채취에도 나설 예정이다.

 

경제부 기사참조/경제/ 2006.11.1 (서울=연합뉴스)
<모바일로 보는 연합뉴스 7070+NATE/ⓝ/ez-i>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