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랫 글에서 해류의 흐름에서 볼 수 듯이 

우리나라는 난류한류가 교차되는 지점에 위치하고 있읍니다.

그래서 바닷물 속에서는 우리들에게 다양한 볼거리를 제공하여 주고  있으며,

이 또한 해류를 따라 분포되어 있읍니다.

 

그리고 이 해류는 우리나라의 바닷속 수온을 결정하여 주는데, 

이 수온의 분포는 아래 도표와 같이 해류의 분포에 따라 지역별로 차이가 있습니다.

 

                         한국 연안 수온 월 평균표

 

부산

울산

통영

여수

목포

1월

 11.1

 12.2

  7.3

  6.0

  5.4

2월

 10.7

 11.4

  7.1

  5.4

  4.8

3월

 11.7

 11.9

  9.7

  8.2

  7.0

4월

 13.3

 12.9

 13.3

 12.3

 11.4

5월

 15.3

 14.6

 16.8

 16.5

 16.1

6월

 17.7

 16.7

 19.7

 19.9

 19.9

7월

 20.6

 18.2

 22.3

 22.9

 23.4

8월

 23.7

 21.4

 24.4

 24.9

 25.6

9월

 22.9

 22.2

 23.1

 23.7

 23.5

10월

 19.6

 19.6

 19.6

 20.1

 19.1

11월

 15.7

 16.2

 15.1

 15.2

 14.0

12월

 12.5

 13.9

 10.3

  9.7

  8.7

 

제주

포항

주문진

죽변

           

1월

 14.1

  8.4

  7.9

 10.5

 

2월

 13.1

  8.1

  6.3

  9.0

 

3월

 13.4

  9.6

  6.9

  9.3

 

4월

 14.5

 12.4

  9.3

 10.9

 

5월

 16.0

 14.7

 12.4

 12.7

 

6월

 18.5

 18.0

 16.3

 15.6

 

7월

 22.2

 20.5

 20.0

 18.7

 

8월

 24.8

 22.8

 22.7

 21.4

 

9월

 23.1

 22.4

 21.2

 21.5

 

10월

 20.3

 18.9

 18.0

 19.1

 

11월

 17.9

 14.2

 14.0

 15.3

 

12월

 15.4

 10.3

 10.5

 12.5

 

이표는 수면에서의 온도이므로,수심 10미터마다 1.5도정도 빼야함.
여름,가을 동해는 냉수대의 영향으로 수심 20미터부터는 수면보다 5도~10도가량 낮음.

 

 

*************************************************************

 

수심 30M에서 측정한 것에 대한 각 지역별 온도 분포

 

           서해             동해             남해             제주

 2월      5도             5~7도           11도             14도

 4월      7도             6~10도         12도             14도

 6월     10도            10~13도        15도             17도

 8월     18도            16~18도        18도             22도

10월    17도            17도              18도             22도

12월    11도            15도              14도             17도

 

참고:

상기의 도표는 우리나라 연안에서 3~4마일 떨어진 곳에서.

수심 30M의 수온을 측정한 것으로

 "해양 수산부"에 자료를 참고 삼아 알려 드리며,

이 온도는 대기온도에 따라 표면 온도는 다소 올라 갈 수 있읍니다.

*********************************************

 

우리나라 해수면의  실시간 수온정보  (바로가기)

 

*********************************************

 

(아래 글 중 "잠수복구입시체크사항"에는 이에 맞는 잠수복 종류잠수복 두께를 기술하여 놓았으니 참고 바랍니다.) 

 

상기의 월별 도표에서 볼 수 있듯이 

한 겨울이라고 할 수 있는 12월의 수온이 도리혀 봄철의 수온인 4월보다 더 높고,

6월보다  8월이나 10월이 수온이 높은 이유는 

대기보다도 느리게 반응하는 해류에 의한 온도 변화를 일으키기 때문입니다.

 

더구나 잠수인이 잠수를 하는 해역은 주로 연근해로서,

깊은 수심이 아니기 때문에

태양 열 에너지를 받고 있는 해수면의 열은 깊은 수심보다도

대류현상이 빨리 이루어지므로

상기 도표보다 수온이 약간 높을 수 있으며,

 

대기의 온도의 영향을 받아 여름에는 수온이 보다 더 높다던지

또는 겨울에는 보다 더 낮아 질 수 있읍니다.

 

그래서 잠수하기 가장 좋은 시기는

한 계절이 늦은

여름보다도 가을인 10월 전후라 할 수 있으며,

한 겨울인 12월전후라도 잠수후의 대기의 추운날씨에 대한 방한을 할 수 있다면,

별무리 없이 잠수를 즐길 수 있읍니다.(엉터리 생각)

 

참고:

도표에서 보듯이 수온이 비교적 높은 여름인 8월이라 하더라도

바다밑 찬물이 상층부에 더운물과 대류현상이 잘 안 일어나므로 인해,

미쳐 온도 상승이 이루어지지 않아서 형성되는 "냉수대"를 만나게 되면,

급속히 체온을 떨어 뜨리게 되므로

비교적 두꺼운 잠수복을 입어야 합니다

 

◈ 우리나라 주변의 해류


난류와 한류

  • 난류는 인접 해역의 해수보다 수온이 높고 염분이 많으며 산소나 영양염류가 적어 미생물이 적어 투명한 청색빛을 띤다.
    • 한류는 수온이 낮고 염분이 적으나 영양염류가 많고 산소도 많으며 미생물이 풍부하고 황록색을 띤다.


    우리나라 주변으로 흐르는 난류와 한류

  • 쿠로시오 난류  - 동해로 흘러 들어가 동한난류,쓰시마난류를 형성한다.
    •                                   -  황해로 흘러 들어가 황해난류를 형성한다.

      •  리만한류   -   오호츠크해에서 발원하여 연해주를 따라 남하하며,북한한류로 이어짐



      우리나라 주변의 해역은 중위도에 위치하여 남쪽에서 올라온 난류와 북쪽에서 내려온 한류가 만나는 곳이다.

      대만을 지나 대륙사면을 따라 북동으로 흐르는 쿠로시오 해류는 염분이 많고,

      수온이 높으며 산소나 영양 염류가 적다.

      쿠로시오 해류 일부는 동중국해를 거쳐 대한 해협을 통과하면서

      쓰시마 난류가 된다.

      쓰시마 난류는 동해로 진입하면서 두 개의 가지로 나뉘는데,

      한 가지는 일본 열도를 따라 흐르고,

      동한 난류라고 부르는 다른 가지는 우리나라 동해안을 따라 북상하여 주문진 근처에서 동쪽으로 방향을 바꾼다.

      이 두가지는 다시 만나 북태평양으로 흘러 나간다.



      우리나라해류도  



      해류가 우리나라에 미치는 영향

    • 쓰시마 난류가 흐르는 남해와 동해 중남부는 기온의 연교차가 북부에 비해 적게 나타난다.
      • 동한 난류는 북위 40°에서 북한한류와 만나 극전선을 형성(조경)하는데 그 위치는 여름철에 약간 북상하고  겨울에 약간 남하한다.

      여름

      봄해류

      여름해류도

      가을

      겨울

      가을해류

      겨울해류

      • 한류와 난류가 만나는 수렴선을 극전선이라 하고,  
      • 위에 그림처럼 여름철에 약간 북상하고 겨울에 약간 남하한다.
      • 평균적인 전선은 40。N 이다.

      이 내용은 부산대학교 홈페이지중에 http://home.pusan.ac.kr/~cini21/il.에서 발췌함.

      해저유물 복원과정을 순서껏 자세히 촬영이 되어 있어,

      "국립해양 유물 전시관"자료를 퍼다 놨읍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