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게 사랑인가...ㅡㅜ 함보세요 

 

출처 : 원더플스쿠바  |  글쓴이 : 좋은예감 원글보기

편리함을 주는 문명의 이기가 인체에 해를 끼치는 ‘생활환경 오염물질’이라는 것은 어제오늘의 얘기가 아니다.

밤새 열대야를 견디기 위해 틀어둔 에어컨, 모기를 쫓기 위해 피운 전자모기향, 장마철 습기를 제거하기 위해 집 안 곳곳에 놓아둔 제습제 및 건조제, 집 안 청소를 위해 장시간 돌린 진공청소기, 아침저녁으로 샤워할 때마다 사용하는 보디샴푸….

 

무심코 사용한 이 모든 일상 생활용품들이 질병을 일으키는 주범인 동시에 공범이다.

<쓰지마 위험해!>(고와카 준이치 외, 워너비)는 이처럼 집 안 곳곳에 도사리고 있는 생활용품 75가지의 위험성을 고발한 책이다.

일본 시민단체 ‘식품과 생활의 안전기금’이 21년 동안 실시한 실험·조사결과를 바탕으로 했다.

물론 일본의 조사결과지만 우리에게도 해당되기에 결코 간과해서는 안 된다.

생필품의 숨은 해독을 피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

 

염화비닐 벽지에는 유연제인 프탈산에스테르가 들어 있다.

이는 생식독성이 우려되는 물질로, 오랜 시간 계속 휘발하며 실내를 오염시킨다.

어린아이의 손에 닿으면 생식기에 장애가 생길 수 있다.

▶ 위험을 피하는 방법

 

요즘 유행하는 천연 소재 벽지를 사용한다.

벽지를 바르는 풀에도 유해물질이 포함돼 있기 때문에 직접 작업을 하기보다는 전문업자의 도움을 받는 것이 좋다.

환기를 자주 하는 것도 좋은 방법.


:

 

유해한 약제가 양탄자 속에서 서서히 휘발하면 밀폐된 실내는 독가스실을 방불케 한다.

양탄자에 포함된 진드기 방지제 등의 약제가 피부에 닿으면 습진이 생길 수 있다.

 

▶ 위험을 피하는 방법

 

양탄자를 세탁하면 유해물질도 줄지만 방충효과도 함께 사라진다.

애초에 방충가공이 되지 않은 제품을 선택하는 것이 가격도 싸고 위험도 적다.

다만 완전히 건조되지 않은 양탄자는 진드기가 생기기 쉬우므로 주의한다.




 

먼지를 빨아들임과 동시에 미세한 먼지를 대량으로 배출, 천식을 유발할 수 있다.

▶ 위험을 피하는 방법

 

청소기 몸통을 철저히 밀봉해 배기가 바깥으로 새지 않고 미세먼지를 여과해 깨끗한 공기만 배출하는 청소기를 선택한다.

최근 진공청소기의 추세는 미세먼지 배출을 줄이기 위해 마이크로필터, 헤파필터 등 여러 개의 필터를 장착, 작동시 소음을 줄이는 것이다.

또 필터에 모인 먼지를 청소기 내에서 청소해주는 셀프 필터클리닝 시스템을 갖춘 청소기(일렉트로룩스)까지 등장했다.






:

 

임신 중 전자파에 노출되면 유산이나 이상 출산, 소아암, 소아백혈병 등의 위험이 커진다.

또 전기요 위에서 자는 동안 멜라토닌이라는 중요한 호르몬이 생성되지 않는다는 연구결과도 있는데, 멜라토닌은 면역력을 높여 을 억제하는 호르몬이다.

▶ 위험을 피하는 방법

 

가급적 전기담요는 쓰지 않는다.

꼭 써야겠다면 전자파를 99% 줄인 전기담요나 전기장판이 좋다.

이러한 제품은 히터 선에 전류의 방향이 다른 두 개의 열선을 어긋나게 감음으로써 전자파끼리 상쇄하는 기술로,

전자파가 거의 방출되지 않는다고 한다.

전자파를 차단한 전기담요나 전기장판이라 해도 자기 전에 10분 정도 따뜻하게 해두었다가 전원을 끈 뒤 취침하는 것이 좋다.


:

 

피레스로이드계 살충제로, 비교적 안전하다고는 해도 장기간, 대량으로 들이마시면 신경계통면역계통에 유해할 수도 있다.

▶ 위험을 피하는 방법

 

우선 모기의 발생을 막는 것이 중요하다.

집 주변에 물이 괴어 있는 곳, 이를테면 빈 깡통이나 빈 병을 체크해 고인 물을 비운다.

또 방충망을 달고 방충망에 찢어진 곳은 없는지 확인해 모기가 집 안에 들어오지 못하게 한다.

잠잘 때는 모기장을 설치, 모기의 공격을 막는다.


:

 

의류방충제에 쓰이는 파라디클로로벤젠이라는 약제는 발암성이 있다고 밝혀진 물질.

그밖에도 신경계통에 이상을 일으키는 엠페드린, 화학물질과민증을 유발하는 장뇌, 발암물질이 들어 있는 나프탈렌 등이 방충제의 주성분이다.

▶ 위험을 피하는 방법

 

방충제를 쓰지 않고 의류를 해충으로부터 지키기 위해 개발한 의류용 방충주머니를 활용한다.

옷을 넣고 단단히 밀봉해 탈산소제로 산소를 빼면 옷을 좀먹는 벌레들이 숨을 쉬지 못해 사멸한다.

벌레 알도 2주 내에 사멸하므로 옷을 완벽하게 보호할 수 있다.





:

 

테프론’이라는 불소수지가공 냄비와 프라이팬은 표면이 매끄러워 조리할 때 들러붙지 않고 씻을 때도 간편해 널리 사랑받는 제품.

그러나 일반적인 가열 온도에서도 냄비의 코팅이 유해한 가스나 입자를 배출해 목의 통증, 열, 한기, 기침 등의 증세를 유발할 수 있다.

▶ 위험을 피하는 방법

 

표면이 가공되지 않은 철이나 스테인리스 조리기구로 바꾼다.

두꺼운 재질이라도 약간만 길들이면 잘 눌어붙지 않는다.


:

염화비닐리덴제의 랩에서는 유방암세포를 증식하는 물질이 녹아나올 수 있다.

또 이런 염소계의 랩을 불에 태우면 다이옥신이 발생한다.

▶ 위험을 피하는 방법

 

무첨가 폴리에틸렌제의 랩이 안전하다.

전자레인지에 넣어 돌리면 녹아나오기도 하지만 그때는 랩만 제거하면 아무 문제없이 쓸 수 있다.

잘 들러붙지 않는 랩은 부착시키는 물질을 쓰지 않았다는 뜻이므로 불편하더라도 안전한 랩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

 

OPP라는 곰팡이 방지제가 들어 있어, 뜨거운 물에 젓가락을 넣으면 고농도 OPP가 녹아나온다.

나무젓가락은 주로 컵라면을 먹을 때 쓴다는 것을 명심하자.

▶ 위험을 피하는 방법

 

나무젓가락에서 냄새가 난다면 찻물에 한 번 헹궈 사용한다.

단, 젓가락을 헹군 찻물은 버릴 것.





:

 

정수장에서 대량 투입하는 염소가 유기물과 반응해 생성하는 트리할로메탄발암물질로 유명하다. 특히 샤워기로 온수를 쓰면 트리할로메탄이 한 번에 휘발해 위험할 수 있다.

▶ 위험을 피하는 방법

 

목욕물의 염소를 없애는 방법은 간단하다.

욕조에 물을 가득 채우고 귤껍질을 넣는 것.

단, 귤에 곰팡이 방지제가 묻어 있다면 오히려 발암물질이 녹아나올 수 있으므로 주의한다.

염소를 없애는 용기가 부착된 샤워기나 수도꼭지를 쓰는 것도 좋다.

비타민 C나 아황산칼륨을 여과제로 쓰는 방법도 있다.

그러나 완벽하게 여과할 수 있는 안전한 정수기는 아직 없다.

트리할로메탄에 대응하는 기본적인 방법은 바로 욕실 환기다.


:

 

천연 성분을 강조하는 샴푸도 결국 주성분은 합성계면활성제다.

또 합성보존료인 파라벤이 들어가 모발과 두피를 상하게 하는 것은 물론이다.

최근에는 샴푸가 원인인 아토피성 피부염도 늘고 있다.

▶ 위험을 피하는 방법

 

합성계면활성제가 들어 있는 샴푸 대신 비누로 머리를 감는다.

그러나 비누도 지나치게 많이 사용하면 모발과 두피가 상할 수 있다.

탈모 문제를 해결하려면 샴푸 없이 물로만 머리를 감는 방법도 있다.

린스로는 구연산을 쓰면 된다.

비누로 샴푸한 다음, 깨끗이 헹구고 세면기에 70~80%의 물을 받아놓고 구연산을 3g 정도 넣어 그 물에 머리를 헹군다.

트리트먼트와 헤어 스타일링이 동시에 가능한 동백기름이나 올리브오일을 쓰면 촉촉하고 윤기 있는 모발로 가꿀 수 있다.


:

 

살균성분은 피부를 지키는 상주균을 죽이기 때문에, 간접적으로 피부에 염증을 유발할 수 있다.

보디샴푸의 주 슬로건인 ‘보습성분’ 또한 유해요소인데,

보습제로 쓰이는 폴리에틸렌글리콜에는 발암성알레르기성을 유발하는 성분이 들어 있다.

▶ 위험을 피하는 방법

 

무첨가 비누를 사용하되,

보습이 부족하다 싶으면 직접 보습제를 만들어 써보자.

허브 숍이나 한약방에서 파는 말린 쑥을 약간 뜨거운 물 200ml에 담근 다음,

물이 식을 때까지 놔두면 끝.

이 쑥물은 냉장고에서 일주일 정도 보관할 수 있다.

단, 피부에 맞지 않는 수도 있으므로 주의한다.

* 이 기사의 내용은 <쓰지마 위험해!>에서 발췌한 것입니다.
출처 : [우먼센스]  글 : 고우정(자유기고가)
 

킹 메이커(king maker) 소서노(召西奴)

- 고주몽을 만나서 고구려 그리고 아들과 함께 백제를 만들기 까지...

 

 

 

 

동명성왕이 세운 골본(忽本) 부여(夫餘)에 인물이 출중한 “소서노(召西奴)라는 여왕이 살고 있었다.

소서노(召西奴)는 동명성왕의 아들 “고무서 왕”의 딸이었고,

우태(해부루의 서손庶孫)와 결혼하여 비류(沸流) 온조(溫祚)라는 두 아들을 두었는데,

남편이 일찍 세상을 하직하여 여왕이면서 과부로 살고 있었다.

바로 그 무렵, 그녀 앞에 고주몽이라는 젊은 청년이 불쑥 나타났다.


고주몽은 겨우 신하 세명 끌고,

동부여(東夫餘)에서 이웃 나라로 도망쳐 온 주제에 자기는 북부여의 천제이신 해모수의 3세손 “고모수”와 만주의 군장 하백의 딸 “유화” 사이에서 태어나신 귀하신 몸이라고 떠벌리며 백발백중 만주 벌판 최고의 궁사로 이름을 날려,

그녀의 마음을 설레게 했다.


B.C 58년 골본부여 고무서 임금은 아들이 없었는데,

고주몽을 보고 범상치 않음을 느끼고는 과부가 된 자신의 딸과의 결혼을 허락하였다.

소서노(召西奴)는 우태(해부루의 서손庶孫)와 사별한 후,

주몽을 두 번째 남편으로 맞이 한 것이다.

소서노(召西奴)와 주몽은 세력을 키우고 도읍을 옮겨 나라 이름을 고구려(高句麗)로 바꾼 뒤,

일대의 부족들을 정복하며 점점 세력을 확장하였다.

이 과정에서 소서노(召西奴)는 토착 세력의 분열을 잠재우고 주몽에게 힘을 집결시키는 킹 메이커(king maker) 역할을 톡톡히 하였다.

그리고, 그녀는 자신이 전 남편(우태)과의 사이에서 태어난 큰 아들 비류(沸流)가 후계자가 될 것이라 굳게 믿었다.


그러나, 주몽이 동부여에서 도망쳐 나올 무렵,

동부여의 예씨 부인과의 사이에 태어난 “유리(琉璃)”라는 아이가 성장하여 왕이 된 아버지 주몽을 찾아왔다.

그리고, 주몽은 바로 그 유리(琉璃)에게 태자의 자리를 넘겨주게 된다.

고주몽은 고구려라는 새로운 나라를 세우고,

자신의 입국(立國)과 성장을 도운 소서노(召西奴)를 왕비로 하였지만,

소서노(召西奴)의 큰 아들 비류(沸流)를 태자로 삼지 않고,

전에 골본(忽本)에 있을 때 북부여(北夫餘) 6세 고무서(高無胥) 단제(檀帝)의 딸 예씨(禮氏) 부인과의 사이에서 낳은 유리(琉璃)를 태자로 삼은 것이다.

 

 

 

 

소서노(召西奴)와 그녀의 아들 비류(沸流)는 동부여에서 찾아온 고주몽의 아들 유리(琉璃)를 고구려의 후계자로 지목하자,

소외감을 느꼈고, 새로운 나라를 세우기로 결심하였다.

비류(沸流)는 자신이 비록 적자는 아니지만 맏이(伯)이고 또 고주몽의 입국(立國)을 도왔는데도 자신을 태자로 삼지 않고 유리(琉璃)를 태자로 삼은데 불만을 품었다.

마침 그 무렵, 고주몽이 죽게되는데,

고주몽이 죽은 바로 그해 B.C 19년에 요녕성 패(浿).대(帶) 지역에서 스스로 임금(帝)의 위(位)에 올랐다.

이때 비류(沸流)는 고구려의 정통성이 맏이(伯)인 자기에게 있다는 뜻으로 자신을 백제(伯帝)라 칭하였다.

그러나 아무도 비류(沸流)를 따르지 않아 비류(沸流)는 유리(琉璃)와의 정통성 싸움에서 패하였다.

그 결과 고주몽 고구려 지역 대부분은 유리(琉璃)가 장악하였고,

비류(沸流)는 근거지인 패.대 지역만 장악하였다.


온조(溫祚)는 형인 비류(沸流)가 B.C 19년에 패.대 지역에서 스스로 임금(帝)의 위(位)에 올랐을 때,

아무도 비류를 따르지 않는 것을 보고 후환을 걱정하여

B.C 18년에 따르는 무리들을 이끌고 배를 타고 한반도로 와서 한강(漢江) 북쪽에 나라를 세우고 나라 이름을 온조국(溫祚國)으로, 수도 명칭을 위례성(尉禮城)이라 칭하였다.

고대 시대에 ‘온(百)’은 단순히 100이라는 뜻이 아니고 아주 많다는 뜻이고,

조(祚)는 천자(天子)의 자리를 뜻하므로,

온조(溫祚)는 온(百) 세상을 다스리는 임금(帝)이라는 뜻이다.

즉 온조(溫祚)는 백제(百帝)와도 같은 뜻이다.

그리고 위(尉)는 하늘에 있는 해 즉 천제(天帝)를 뜻하고, 례(禮)는 부여 무리를 뜻하므로, 위례성은 천제의 아들 무리가 살고 있는 성(城)이라는 뜻이다.

이를 보면 온조는 해님의 아들을 상징하는 글자로 "위(尉)"자를 사용하였다.


또한, 온조(溫祚)가 백제(百帝)라 칭하지 않고 온조(溫祚)라 칭한 것은 형 비류(沸流)가 칭한 백제(伯帝)와 같은 발음을 피하였기 때문으로 보인다.

온조국(溫祚國)은 B.C 6년에 낙랑(樂浪)이 보낸 5무리의 기마부대(五虎)에 의해 위례성이 점령당하였다.

위례성이 점령당하자 온조(溫祚)는 온조국(溫祚國)의 유민들을 데리고,

한강 남쪽으로 이동하였다.

다급한 처지에 빠진 온조(溫祚)는 한강 이남 지방을 다스리고 있던 홍성(洪城) 금마(金馬) 마한(馬韓)으로부터

마한(馬韓)의 동북 땅 1백 리를 할양 받아 금마산(金馬山:홍성 금마)에서 마한(馬韓)의 후국(侯國)인 십제국(十濟國)을 세웠다.

이 십제(十濟)는 10명이 한강을 건너와서 세운 나라라는 뜻이 아니고 ,

아주 적은 숫자의 사람이 한강을 건너와서 세운 나라라는 뜻이다.

그 뒤 온조(溫祚)는 힘을 길러 홍성 금마 마한의 세력권에서 벗어난 후부터 다시 위례(尉禮)라는 칭호를 사용하였고,

비류 백제가 멸망하자,

다시 나라 이름을 십제(十濟)에서 백제(百帝)로 바꾸었다.


백제(百帝) 동부여의 우태(해부루의 서손庶孫)와 소서노(召西奴)의 첫째 아들 비류(沸流)가 요녕성 패(浿).대(帶) 지역에 세운 나라이고,

소서노(召西奴)의 둘째 아들 온조(溫祚)가 남쪽 한강지역으로 내려와서 계승한 나라이다.

 

출처 : 신비여행가이드(MysteryTourGuide)  |  글쓴이 : 지지의 신비여행 원글보기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