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중수색 구조 이론

 

수중수색
Ⅰ. 수중수색 구조
    1. 의 미
   수중수색이란 수중에서 인명구조라는 측면보다는 사고 사후 처리의 성격이 짙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사고 후 생존 가능성이 있을 경우 신속하게 수중수색이 이루어 져야한다. 이때 사고현장 목격자의 증언에 따라 정확한 상항 판단에 따라 수중수색하여야 한다.


   익수자가 허위적거리느냐, 바로 가라앉았는지를 정확히 목격자의 증언에 따라 판단하는
것도 중요하다. 심장마비냐, 물을 먹고 가라앉은 경우는 수중 익수자의 행동이 달라지므로
수색 방법도 달리하여야 한다. 즉 바로 가라앉는 경우는 심장마비일 가능성이 높으며, 이때
가라앉은 지역을 중심으로 수색하는 것이 유리하다 왜냐하면 가라앉은 그 자리에 있을 가능
성이 높다. 약간의 유속이 있더라도 마찬가지다. 허우적거리다가 가라앉는 경우는 넓게 수중수색
하여야 한다. 수중에서 움직일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소생의 가능성이 있는 수분 내에 수중수색 구조했을 경우 바로 응급처치를 실시하여야 한다.
          
2. 익수자 수중수색에서 고려할 사항
실종자를 효율적으로 수중수색하고, 안전하고 성공적으로 인양하기 위해서는 정보수집이 우선  
되어야 한다.
◇ 최초 목격자 및 인근 주민들로부터 현장상황 청취 및 직접 조사를 통한 현장 파악
    - 익수자의 물에서 움직임
    - 사고발생 시간
    - 조류의 상황 및 수면 상태
    - 바닥의 상태 및 수심
    - 잠재적 위험성등    
  ◇ 장비준비 및 점검
    - 구조선
    - 잠수 장비
    - 구조 로프
  ◇ 실종예상지역
수중수색 구조자는 위의 그림과 간은 곳에 실종자가 위치 할 수 있으므로 정확한 수중수색이      
필요하다.
        - 보 아래를 수색하라
        - 큰 바위 잡동사니 주위를 수색하라.
        - 바닥의 웅덩이 등이 있을 시 중점 수색하라
        - 역류 또는 와류가 있는 곳을 놓치지 않고 수색하라

   가. 수중수색순서
     1) 수색기점 및 수색범위의 확정
       A,B,C위치 목격자 증언으로  ▶ 의 수색 기점이 형성된다.

     2) 보에서의 위험사항 대처요령
      특히 보 밑을 수중수색할 때에는 위험지역이니 아래 그림을 참고하여 위험에 처했을      
      때 침착하게 대처한다. 보의 높이가 15Cm 이하로 낮아도 보 아래 형성되는 예측할  
      수 없는 수압의 역류이다.


     역류에 갇히게 되면 수중수색 구조자는 수면으로 떠밀려, 그곳에 떨어지는 물에 의해 아래  
      로 처박히게 되고, 소용돌이치는 비등지대로 떠밀려 그곳에서 다시 수면으로 떠밀린  
     다. 이러한 순환이 계속 될 때 수중수색 구조자는 폭포아래서 자신을 지탱할 수 있는 무엇  
     을 붙잡지 않는다면 계속 되풀이된다.


      호흡조절기를 입속에서 유지시키고 숨을 조절하여 벽을 오른다는 것은 불가능하므로,  
    부력조절기의 공기를 완전히 빼고 바닥에 가라 앉아 바닥에 바싹불어 수영하여 비등지  
    대를 너머 수면으로 탈출하라

   2. 수중수색 요령

      가. 줄을 이용하지 않는 수중수색형태
         가장 간단한 수색형태는 아무런 도구없이 수색하는 방법이다. 이런 방법은 계획과  
       수행이 쉬운 반면, 줄을 이용한 수색보다 정확도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1) U자형 수중수색
          그림과 같이 수색구역을 ㄹ자 형태로 탐색하는 방법으로 장애물이 없는 평평한  
         지형에서 적합하다.  각 평행선의 간격은 시야거리 정도가 적당하며, 수류가 있을  
         경우에는 수류와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한다.

          2) 소용돌이 수중수색법
           수중수색구역 중앙에서 출발하여 이동거리를 조금씩 증가시키면서 매번 한쪽 방향으  
          로 90도씩 회전하며 수색한다.

     나. 줄을 이용한 수중수색방법
        줄을 이용하지 않는 수색보다 정확하며 특히 물의 흐름이 있는 곳이나 시야가 불량  
       한 곳에서 적당하며, 줄을 이용한 신호를 보낼 수 있다.  잠수하기전 육상보조자와  
        수색 구조자 숫자에 따라 의미를 정해놓고 시작하는 것이 좋다.
예) 한 번 - 수색시작(하잠시작)
    둘 번 - OK? 또는 OK!
    세 번 - 인양물 찾음
    네 번 - 상승하라
    다섯 번 - 도와달라(다른 구조자를 보내라)


1) 부채형 수중수색
주로 조류가 심한 곳에서 실시하며 보트아래에 10M가량 로프를 매고 블록을 정하여 그림
과 같이 수색한다.


2) V형 수중수색
수면의 스노클 수영자가 수중을 수색하는 구조자를 이끌면서 수색해 나간다.  지도자는 스
노클 수영. 각 수색 구조자는 끈을 잡는다.

3) 원형 수중수색
출발점으로 한바퀴 돌아온 뒤 조금씩 수색선을 시야만큼 좁혀나가는 방법이며, 주로 장애
물이 없는 평평한 바닥에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4) 써클링 방식(원형 회전식)
  。 시야 확보가 어렵고 수색 면적이 좁고 깊은 수심일 때 이용
  。 수색 기점 부표아래 하강줄과 중량추를 달아 투하한후 하강줄에 링크 고리를 달아 수  
     색선을 따로 묶어 회전에 지장이 없게 한다.
  。 수색줄은 1.5m 마다 매듭표시를 하여 360。 회전하여 대상물을 찾을 때까지 각 매듭  
     을 전진이동하며 수색한다.
  。 수색 구조자가 2조(4명)이 각 매듭에 연결되어 수색할 수도 있다.
  。 장비와 인원투입이 적은 반면 수색지역 이동시 마다 부표와 무게추를 이동해야하는 단  
     점이 있다.

  。 직사형 전진 : 손으로 이동 가능한 2개의 무게추를 옮겨 가며 지그재그 갈지자 형태로  
    이동하며 수색한다.


  。 텐더드 방식(보조자 중 늘임식)
     ― 조류가 세고 수색 면적이 넓을 때 이용
     ― 로프의 길이가 충분해야 한다.
     ― 로프는 항상 팽팽함을 유지하고 줄 신호는 반드시 응답한다.

  실종된 위치로부터 예상 지역까지 거슬러 올라가면서 수색한다. 보조자는 회전이 끝나면  
1M씩 줄을 당겨 반복 수색하도록 한다.

  5) 개구리 뜀 수중수색
    개구리 뜀 수색은 수색 구조자들이 위치를 교대로 바꾸면서 수색실시 한다.

  6) 달리는 잭 수중수색
    수색 구조자가 수색이 끝나면 육상 보조자들은 시야만큼 적당한 위치를 상류쪽으로    
    옮기면서 수색하는 방법이다.


  7) 모내기식 수중수색
    짝과 함께 수색용 줄을 기준선을 따라 직각으로 고정시킨 후 반대방향에서 마주보고 다  
  가오면서 수색실시, 수색용 줄을 계속 옆으로 옮기면서 범위를 넓혀 나간다. 각 단위의 수  
  색이 끝날 때마다 줄 당김 신호로 교환한다.


3. 해상구명
  조난자를 발견한 경우 구조대는 최상의 구조방법을 결정하고 가장 적합한 설비를 갖춘 구
조 팀을 현장으로 보낸다. 수중에 있는 생존자를 구조할 경우는. 풍상측에서부터 접근하여야
하며, 풍하 현측의 데릭에 네트 등을 설치하여 인양 구조하거나 구조 팀의 구조 대원이 적
합한 장비(잠수복, 구명복,구명동의)을 갖춘 후 물로 뛰어 들어 생존자를 도울 수 있다.
  조난자에 접근했을 때는 구조선의 프로펠러가 조난자를 다치지 않게 운행하여야 한다. 구
조선의 프로펠러는 조난자로부터 최대한 멀리 배를 운행하여 접근하여야한다.  

가. Buoyed Line method
   로프의 끝에 구명정나 기타 부유물을 연결하여 뛰운 다음 그 중간에 구명환 또는 구명동
의를 달아서 생존자 주위를 풍하측에서부터 풍상측으로 선회하면서 끌어 당긴다.

  나. Drifting method
    여러명의 요 구조자가 수중에 있는 경우 풍하현측에 매듭있는 로프와 네트를 여러군대
설치한 다음 충상측에서부터 표류접근하여 차례로 구조하다.
    ⊙ 구조선이 조난선의 현측에 붙일 수 없는 경우 즉 화재 혹은 극도의 악천후 일 때는
구조선의 구명정 또는 라이프 래프트를 진수, 연결한 다음 이를 조난선에 접근시켜 예항하
는 것이 좋다.
    ⊙ 악천후인 경우에는 파랑의 영향을 줄이기 위해 스톰오일을 사용하여야 한다. 어류  
  를 포함한 동물유와 식물유가 파도를 진정시키는데 필요하다. 이러한 기름이 없는 경우  
  에는 윤활유를 사용해야하며 연료류는 수중의 생존자에게 해롭기 때문에 최후의 수단인  
  경우 이외에는 사용해서는 안다.

  다. Williamson turn
   1) 사람이 물에 빠진 현으로 전타(Hard over)하여 킥(Kick)을 이용한다.
   2) 원침로에서 60°선회하면서 즉시 반대편으로 전타(Hard over)한다.
   3) 원침로 정반대 침로에서 정침(Steady)하며 적절히 감속 조치한다.
    ⊙ 장단점
    야간, 제한된 시정(視程) 또는 악천후인 상태, 특히 물에 빠진 시각을 모르는 경우에 가  
  장 합당한 방법이나, 시간이 오래 걸리는 결점이 있다.

라. Tow 180도 Turn
  1) 사람이 물에 빠진 현으로 전타(Hard over)함과 동시에 가능하면 기관을 정지시키고    
    익수자가 선미를 지나는 즉시 전속 전진한다.
  2) 원침로부터 180도 선희한 정반대 침로에서 정침(Steady) 한다.
  3) 물에 빠진 사람이 정횡후 30도 위치로 보일 때, 다시금 같은 현으로 전타한다.
  4) 원침로에 오게 되면 기관을 정지시키고, 악수자를 풍하측으로 위치 시킨다.
  
⊙ 장단점
     물에 빠진 사람을 한 위치에서 계속하여 볼 수 있는 방법으로 풍향이 침로와 직각일  
    경우 특히 유리하지만, 경험이 없는 항해자에게는 두 번 나누어 행하는 변침 시기를 놓  
    칠 우려가 있다.

  마. Delayde turn (지연선회법)
   ⊙ 저속선일 경우
    1) 물에 빠진 사람이 선미를 지난 후 약 1분 동안 원침로 그대로 전진한 다음, 빠진 현  
      으로 전타 (Hard over)한다.
    2) 선수가 빠진 사람의 풍상측으로 향할 때 까지 계속 선희 한 다음, 적절히 감속하여  
      접근한다. 이 때의 침로는 원침로에서 약 230도 선희한 것이 된다.
   ⊙ 고속선일 경우
     1) 물에 빠진 사람이 선미를 지나면 전타(Hard over)한다.
     2) 선수가 원침로로부터 180도 선희한 위치에서 15노트의 속력이 되도록 계속하여    
      감속하다.
     3) 선수가 원침로로부터  270도  선희한 위치에서 타 중앙으로 하고 기관을 반속 후진  
      하면 정선수 부근에서 물에 빠진 사람을 보게 된다.

   ⊙ 장 단점
      주간에 물에 빠진 사람을 눈으로 보면서 조선하는 경우에 가장 신속히 접근할 수 있  
    는 반면, 그를 계속 확인하고 있어야만 실행 가능한 방법이다.

자료 출처 : 프로잠수사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