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케롤님

 

 

자신의 공기 소비율이 궁금하지 않으세요?


왜 공기소비율을 알아야 할까요?

그 동안 그런 것을 몰라도 다이빙을 잘하였는데 이런 것이 필요할까요?  

적당히 하루 30~40분 다이빙 2번하면 되는데 공기소비율은 뭐 하는 데에 필요할까요?


공기소비율은 안전하고 즐거운 다이빙 계획을 세우는데 필수적으로 필요합니다.

 

1. 공기 소비율이 같은 버디

2. 공기량 계산,

3. 다이빙 포인트의 선정


우선 공기 소비율이 무엇인지를 알아야 합니다.

 

공기소비율이란?

1기압상태(수면)에서, 1분간의 숨쉰, 공기량(㎏/㎠ or bar)을 공기 소비율이라고 합니다.

 


예1 : 만약 10m에서 10분간 숨쉰 공기량이 30(㎏/㎠)인 경우 공기소비율은?

     위와 같은 예제가 생기면 가볍게 치환을 하시면 됩니다.

      1단계 →    10m        10분   30 bar

      2단계 →    10m         1분     3 bar (10분을 1분으로)

      3단계 →    2기압      1분     3 bar (10m를 2기압으로)

      4단계 →    1기압      1분     1.5 bar (2기압 상태에서는 1기압 보다 2배의 공기를 마시게 되므

                                                        2기압 상태에서의 공기량을 기압으로 나누어야 한다.)

     위의 경우 공기 소비율은 1.5입니다.


예2: 만약 5m에서 10분간 숨쉰 공기량이 20bar인 경우 공기소비율은?

        1단계 →    5m        10분    20 bar

        2단계 →    5m         1분      2 bar

        3단계 →   1.5기압   1분       2 bar

        4단계 →   1기압     1분     ( 1.3 )bar (2bar 나누기 1.5 기압은? 약1.3bar 입니다) 

 

직접 풀어 보세요...


예2: 만약 5m에서 10분간 숨쉰 공기량이 30bar인 경우 공기소비율은?

         1단계 →    5m         10분     30 bar

         2단계 →    5m         1분    (  ) bar

         3단계 → (  )기압     1분    (   )bar

         4단계 →   1기압      1분     (   )bar


위의 경우 공기소비율은 2 bar 입니다.

 

공기소비율은 일반적으로 초보다이버일 경우는 2.0 bar 전 후입니다.

중급다이버일 경우는 1.5 bar 정도입니다.

상급다이버 및 강사레벨은 1.0 bar에서 1.2 bar입니다.

상급여성다이버일 경우는 0.9 bar까지 나오는 경우가 있습니다.


1. 공기소비율이 같은 버디

 

만약 공기소비율이 많이 틀린 다이버들이 버디를 할 경우,

다이빙 후 초보다이버에게 다이빙이 어땠는지 질문해 보면,

버디 핀만 보고 다니느라  버디 핀밖에 본 것이 없었다고 합니다.

중급 또는 상급 다이버에게 다이빙이 어땠는지 질문해 보면,

초보다이버 때문에 공기가 100bar이상이 남아 있는데 나왔다는 불만이 나온다.

그래서 바디는 공기소비율이 비슷한 다이버 끼리 하는 것이 매우 바람직 합니다.


2. 공기량 계산


기본적인 공기소비율을 구하고 나면 다이빙 계획을 세워 봐야 합니다.


예 3) 공기소비율이 1.5인 다이버가 30m에서 30분간 다이빙을 하려 할때 가능할까요?

      1 단계 →  1기압     1분        1.5 bar(수면에서 1분간 숨 쉰 공기소비율)

      2 단계 →  4기압     1분        6 bar (30m는 4기압)

      3 단계 →  4기압     30분       180 bar

     위의 경우 다이버가 필요한 공기량은 180 bar 입니다.


일반적으로 다이버가 들고 들어가는 공기통에는 200 bar의 공기가 채워져 있습니다.

그렇다면 다이빙이 가능하다고 하겠지만 그렇치가 않읍니다.

다이버가 다이빙을 마치고 수면에 도착하였을 때,

적어도 50 bar의 공기가 남아있어야 하므로 위의 경우 다이빙이 불가능하다고 보는것입니다.

이때에는 수심을 얕게 하거나 다이빙 시간을 줄여야 합니다.


예 4) 공기소비율이 1.5인 다이버가 200bar의 공기통을 가지고 30m를 갈 경우 몇분 다이빙이 가능한가?

       1단계 →  1 기압     1 분       1.5 bar

       2단계 →  4 기압     1 분       6 bar(수심 30m는 4기압이므로) 

       3단계 →  4 기압     ? 분      150 bar (200bar-50bar = 150 bar)(50bar를 빼는 이유는 위에서 설명) 

       4단계 →  4 기압     ? 분      150 bar (150bar÷6bar = 25분 )

      

위의 경우 다이빙 가능시간은 25분입니다.

다이빙 중 필요한 충분한 공기량을 계산하기 위해서는 필수적으로 공기소비율을 알고 있어야 한다.

 

 

3. 다이빙 포인트의 선정


•다이빙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다.

  그중 비치 다이빙일 경우 어느 정도에서 돌아와야 하는지를 정하여야 한다.

  여러분은 얼마 정도이면 좋은지 각자 생각해 보시길 바랍니다.

 

  (다이빙 계획을 세울 때 항상 필요한 ⅓ 법)


바디중에서 공기소비율이 높은 사람(호흡량이 많은 사람)을 기준으로 거리를 계산하게 되는데,

 다이빙 포인트까지의 거리는 공기의 ⅓을 사용 할 만큼만 이동을 한다.

⅓은 돌아올 때 사용하게 되고,

나머지 ⅓은 부상시 사용하고 수면에 올라왔을 경우 50bar가 남도록 계획을 짜야 합니다.

 

위와 같은 내용들 때문에 공기소비율은 선택이 아닌 필수인 것입니다.

 

하지만 공기소비율은 수온에 따라서, 활동량에 따라서 많은 변화가 있습니다.

공기 소비량을 낮추기 위해 숨을 참을 경우(스킵호흡)는 산소 부족으로 두통 또는 졸음이 올 수 있습니다.

어떠한 경우에도 호흡을 참아서는 안된다. 

 

 

출처: http://blog.naver.com/mdch0215/  글쓴이:대발이 

 

'이론 잠망경 > ┏ 잠수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쿠버 다이빙에 대한 설문조사  (0) 2011.11.05
잠수후의 헤어 관리  (0) 2011.10.24
단계별 스쿠버 다이빙 코스  (0) 2011.05.13
잠수기능사 이론 요약  (0) 2011.02.07
Grim Reaper Sign  (0) 2011.01.3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