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 케롤 >

 

해조류의 성육대 구분

 

해조류의 생육은 주위의 환경요인 광선, 염분, 수온, 간출 등에 적응한 결과 뚜렷한 서식대가 생긴다. 

이 서식대는 간만의 차가 뚜렷이 나타나는 곳에서는 뚜렷하여 이곳에 분포하고 있는 해조류의 윤곽에 따라 건조, 강한 광선 이외 다른 환경조건 등을 이겨내는 한계를 쉽게 판단할 수 있으며,

지형이 불규칙하고 조간대의 폭이 넓은 곳에서는 서식대가 넓게 퍼져 있어 불투명해진다.  

 

이 서식대는 결코 조간대에 한하여 있는 것이 아니고,

알맞은 조건하에서 뚜렷한 띠모양으로 분포하고 있는 해조류가 있어 광선이 도달되는 모든 곳에서는 관찰할 수 있으며,

서식대가 뚜렷하지 않고 저면의 경사가 완만한 곳에서는 깊이에 따라 여러 종의 해조류가 구성원으로 구별되며 뚜렷이 적응된 것을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현상을 볼 때 조류의 서식대를 수평적으로 본 것이 수평분포이고, 수직상으로 본 것이 수직분포이다. 


  가. 수직분포 

해조류가 살고있는 해안의 암벽을 수직적으로 살펴보면 각종 해조류들이 층을 이루어서 살고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 서식 층을 상부에서 하부의 순으로 구분하여 다음과 같이 명칭을 부르고 있다.



(1) 비말대 ( 飛沫帶 ; 조강대 ) 

바닷물이 파도에 부딪쳐서 튀어나오는 물이 미치는 습기에 의해서 생육하는 식물의 서식대로

특별한 지의류 ( 地衣類 )등이 서식하여 이곳의 바위는 언제나 검게 덮여져 있는 고조선 수면의 윗부분인 상부지대이다.

(2) 조간대 ( 潮間帶 ) 

간조선과 만조선 사이의 조수가 항상 드나드는 서식대로서,

대부분의 녹조류인 돌김, 흩파래, 보라털 등과 갈조류인 톳, 지충이 등이 분포 서식하고 있어서,

생태적 조건이 높이에 따라 다르므로 이곳을 상․중․하로 구분하기도 한다. 
  
(3) 점심대 ( 漸深帶 ) 

간조선 이하에서부터 수심 40 ~ 50m 정도까지로

대부분의 조류 즉 갈조류의 곰피, 감태류, 홍조류의 우뭇가사리 등이 서식하고 있다.

(4) 최심대 ( 最深帶 ) 

점심대보다 깊은 수역으로 수심 20m까지의 서식대이다.  

이와 같이 해조류는 종류에 따라서 수직분포의 범위가 일정하며,

제각기 해조류가 차지하는 부착층을 서식대라고 본다면,

간출시의 환경변화와 광선에 대한 적응성의 차이가 있기 때문에 그 차에 따라서 서식대의 폭이 넓고 좁은 것이 있다. 

따라서 서식대를 해조류 분포의 전반에서 본다면 홍조류가 가장 깊은 곳에 살고, 갈조류가 그 다음이고, 녹조류가 가장 위층에 서식하게 된다.  

그러나 이는 일반적인 것이고 홍조류로서도 얕은 곳에 서식하는 것도 있으며,

연두말 중에서도 깊은 곳에 성육하는 것도 있다. 


  나. 수평분포 

해조류의 수평분포를 결정하는 중요요인은 온도이다.  

특히 수온이 최고인 시기의 평균온도의 등온선과 관계가 있으며,

종류에 따라 여름의 등온선, 겨울의 등온선과 관계가 있다. 

이것은 해조류의 생활사가 복잡하여, 생활사의 어느 단계에 어떤 온도의 분포가 제한 요인으로 되어 있느냐에 따라 결정된다.  

예를 들면 미역의 수평분포의 북쪽지방 한계는 겨울철 수온이 2℃의 해역이고, 남쪽지방 한계는 약 14℃해역이다. 
또 자연산 다시마의 경우 겨울수온이 10℃, 우뭇가사리는 겨울수온이 2℃되는 수역이다.  

 

해조류는 수온의 적응범위에 따라 광온성 해조류협온성 해조류로 나누고 있으며,

이에 따라 지리적 분포가 광온성 해조류는 넓고, 협온성 해조류는 좁다.  

 

그 예가 김을 들 수 있다. 
김은 지리적 분포가 매우 넓은 종이므로 온대를 비롯하여 한대,아열대에서도 볼 수 있다.  

따라서 해조류의 지리적 분포는 해류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본다.  

그것은 수온이 해류에 의해서 지배되고 있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해조류 분포상황은 열대에는 녹조류, 온대에는 홍조류 한 대에는 갈조류가 우세하게 분포하고 있으나,

 

각 종류에 따라서 그 분포는 달라진다. 
예를 들면 갈조류라도 다시마류는 한 대에 우세한 반면 모자반류는 온대에 우세한 것이다.

'수중 확대경 > ┏ 수중 생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조류의 수명  (0) 2010.01.31
우리 나라 해조류 분포   (0) 2010.01.30
해조류의 생활환경  (0) 2010.01.19
해조류의 형태와 번식   (0) 2010.01.18
해조류란?   (0) 2010.01.15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