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 점
초점을 맞추는데는 두 가지 방식이 있다.
하나는 일안 리플렉스 사진기를 장착한 하우징 시스템의 AF(Auto Focus)기능을 그대로 이용하는 것이고,
하나는 일안 리플렉스 사진기를 장착한 하우징 시스템의 AF(Auto Focus)기능을 그대로 이용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니코노스 사진기를 사용할 때의 경우로 피사체와의 거리를 목측하여 수동으로 거리를 지정하는 방식이다.
전자의 경우 초점이 맞지 않으면 셔터자체가 눌러지지 않으므로 누구나 쉽게 초점을 맞출 수 있지만,
후자의 경우에는 수중에서 거리를 목측하여 거리계를 조작하여야 하므로 다소 혼란스러움이 있다.
그렇다면 니코노스 사진기로는 초점 맞추기가 어려운 일인가라는 의문이 생기게 되는데,
크게 걱정할 필요는 없다.
니코노스 렌즈 자체가 초점범위가 상당히 넓게 설계되어 있을 뿐 아니라 몇 번의 연습으로 목측을 통해서도 정확한 초점을 맞출 수 있기 때문이다.
우리가 흔히 렌즈를 이야기할 때 편의상 15mm, 35mm, 50mm 등으로 지칭을 하는데,
이에 대한 개념을 알아 둘 필요가 있다.
간단히 말해서 15, 30, 50 등의 수치는 초점 거리를 말하는데,
초점 거리란 렌즈와 필름면과의 거리로 이해할 수 있다.
이를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초점 거리란 무한대의 거리에 있는 한 점으로부터 출발한 빛이 렌즈를 통과하면서 한점으로 모이게 되는데,
이렇게 모인 점들이 전체적으로 하나의 뚜렷한 상을 맺을 때 렌즈와 상이 맺히는 면(사진기 내부의 필름 면)과의 거리라고 정의할 수 있다.
TIP
(니콘 F4, 16mm,f5.6, s 1/125 Tri-X 400필름)
조명조건이 충분하지 못한 실내 공간에서 스트로브 없이 흑백필름을 이용하면 색다른 분위기의 사진을 만들 수 있다.
만약 이 사진을 촬영할 때 스트로브를 사용했다면,
3미터 이상 떨어져있는 뒷부분의 사람에게는 빛이 도달하지 못해 사진기 전체의 노출 발란스가 무너졌을 것이다.
또한 컬러 필름을 사용, 스트로브 없이 촬영 했다면,
색온도와 빛의 흡수등의 영향으로 푸른색톤이 강한 사진을 얻게 되었을 것이다.
출처: 해저여행 (박수현의 꿈꾸는 바다 )
'영상 물안경 > ┗ 수중촬영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중사진 입문 (0) | 2009.10.17 |
---|---|
강한 조류 속에서 수중촬영 하기 (0) | 2009.04.29 |
수중촬영의 기초-노출- (0) | 2009.04.16 |
수중사진 공모전 입상하는 방법 (0) | 2009.04.06 |
와이드 어댑터의 효과를 실전에서 이용 요령 (0) | 2009.02.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