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이빙전용컴퓨터는 잠수에 많은 도움을 준다.

조금 비용이 들더라도 다이빙 전용 컴퓨터를 사시는 것이 자신의 안전 체크에 도움이 되며,

만일 이를 소지하지 못한다면,

가능한 한 다이빙 컴퓨터를 지닌 잠수인과 짝쿵을 하여,

컴퓨터가 지시하는 속도 이하로 같이 상승하시는 것이 좋다.

 

****************************************************
 
20. 상승속도를 지켜야 한다. 

수중유영2수심이 깊어짐에 따라 주위의 압력이 높아지며,

그로인해 잠수인은 높은 압력의 공기를 마시게 됩니다.

 

이때 흡입된 공기는 호흡기관을 통해 각 조직으로 이동되는데,

그 기체는 압축된 상태로 각 조직에 용해, 흡수됩니다.

그리고 나서 상승시에 시간을 가지고 서서히 상승하게 된다면,

순차적으로  낮은 압력의 공기로 인해서 조직내에 용해된 기체는

낮은 압력의 기체로 교체하게 되는데,

만일 급상승을 하게 되면,

미쳐 교체되지 못한 조직내의 용존기체들은 주변의 낮은 압력 상태로 환원이 되어 팽창하게 되고,

이로인해 조직 내에 기포가 발생하게 됩니다. 

이것이 벤즈(Bends)라고 하는 감압병이며, 

일반인들이 이야기하는 잠수병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병 이기도 합니다. 

 

참고:

 

보다 더 초보잠수인들에게 이해를 쉽게하기 위해서,

대부분의 잠수 서적에는 

압축된 사이다병의 병마개를 땃을 때

압축되어 있던 사이다 내의 탄산가스가 거품으로 올라 오는 현상으로

이 현상을 설명하고 있다. 

 

이처럼 호흡에 의해 체내에 흡수되어 있던

압축가스가 급격한 압력 감소로 인해

인체내 또는 혈관에서 거품이 발생 되게 된다는 이론은

1905년에 영국의 생리학자인 할데인박사(John Scott Haldane)에 의해서,

"조직내의 기체압력이 외부압력의 두배 이상이 되었을 때

조직 내에 용존된 기체는 기포상태로 바뀐다"는 이론을 수립 되어,

이를 토대로 잠수 도중에 조직에 흡수되는 가스의 양을

수학적으로 계산한 감압모델을 만들게 되었으며,

(이 이론은 각 협회 마다의 다이빙테이블의 근거가 된 "미해군 다이빙표"의 기초가 되고 있음)

이 이론을 근거로

주변의  압력감소에 인해서 생길 수 있는 버블을 최소화 하여,

감압병에 노출되지 않는 상승속도가 만들어 지게 되었답니다.

 

그런데 아직까지도 이 상승속도는 각나라 또는 교육단체 마다 권장 상승속도가 틀리고,

현재도 계속 연구되어 규정되어지고 있읍니다. 

 

이제 각나라및 교육기관에서 제시한 상승속도를 살펴보게 되면,

출수후의 모습우선 제가 소속된 PADI에서는 18M/분으로 고집하고 있으나,

그외의 대부분의 교육기간에서는 9M/분으로 규정하고 있읍니다. 

 

예전에 미해군 권장속도8M/분이라고 되어 있지만,

이는 헬멧을 쓰고 공기를 공급받는 시절에 이루어진 것으로,

이런 방법에서는 이보다 빠른 상승이 되지 못하기 때문이었고,

그후로 1972년에 영국해군15M/분,

1976년 스위스의 권장속도10M/분,

등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으며, 

깊은 수심에서 상승시에는

얕은수심의 압력변화보다 압력변화가 적기 때문에,

최근에는 깊은 수심에서는 빠른 속도로 상승하여도

큰무리가 없다고 하여

현재

30M이상의 수심에서는 15~18M/분로 상승하고,

30M이내의 수심에서는 9M/분으로 상승해야 한다.

 

하는 이론이 대두되고 있읍니다. 

 

참고:

 

수심에 따른 압력증가 상황:

수면   0M에서는  1기압,(대기압)  

수심 10M에서는  2기압,(기압변화:1기압 ,1기압에서 2기압으로 100%증가)

수심 20M에서는  3기압, (기압변화:1기압, 2기압에서 3기압으로 50%증가)

이처럼 같은 기압 변화가 오더라도 총체적인 압력변화

수심이 낮아질수록  크게 변화함을 볼 수가 있읍니다. 

 

그리고 요즘에 부쩍 많이 사용되고 있는 컴퓨터는 

수심에 따라 상승속도를 변화시켜 효율적인 잠수를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데,

그 비율은 "할데인이론"2배 보다

보수적인 1,58배로 조정되어 생산되어 진다고 합니다.

 

엉터리 잠수이론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