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게 물고기인가요?
물속에 사는 생물은 분명한데...
그런데 손가락 같은 것이 뚜렷한 손발이 있고
머리 부근에도 뿔 같은 것이 달려 있습니다.
도대체 이게 뭐죠?
'인터넷에 이 사진을 처음 올린 분도, 자신도 이 사진을 퍼온거라서 정체를 모른다면서
"이거 합성인가요?
아시는 분들은 제보좀 ^-^;;;;"
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는 이 사진을 중국 사이트( http://www.qihoo.com/ )에서 퍼 왔으나 지금은 삭제되고 없다고 합니다.
네티즌들은 화성에서 온 물고기, 도롱뇽이 웃고 있네 등등의 리플을 올리고 있을 뿐 정체를 아는 사람은 없었습니다.
다만
'어느 분'이 양서류가 분명하다고 자신있게 말하는 정도였습니다.
인터넷 검색 사이트에서 양서류 이미지를 뒤져 봤습니다.
비슷한 사진을 단 한장 밖에 찾지 못했습니다.
생김새가 꼭 같은 생물을 발견했습니다.
"부산 아쿠아리움에서…"라는 글 외에는 아무런 설명이 없었습니다.
이
예쁜 생명체의 정체를 알아 보기 위해 부산 아쿠아리움에 연락을 해봤더니
상담원은 '클리오네'가 틀림없다며 자료가 올라와 있는 곳을 알려 줬습니다.
그러나 아무리 봐도 이 분홍색 생물이 '클리오네'와 같아 보이진 않습니다.
두 생물이 같은 것인지요.
![]() △클리오네 |
신통한 답변은 들을 수 없었습니다.
"멕시코 도롱뇽인 것 같다"는 정도의 답이 그나마 가장 구체적인 것이었습니다.
한 파충류 공원의 양서류 사육사는 "처음 보는 것이지만 생김새를 살펴봤을 때 양서류일
것"이라고 답하면서 부산 아쿠아리움에 갈 일이 있는데 갔다 와서 자세한 이야기를 해
주겠다"고 약속했습니다.
이렇게 오리무중인 가운데 사진을 처음 올린 분과 연락이 닿았습니다.
그는 "2003년 10월 5일 부산 해운대 아쿠아리움에서 촬영한 것이 분명하며 당시 수족관에는 '양서류 영원'이라고 표기돼 있었다"고 말했습니다만
'양서류 영원'이란게
무엇인지는 잘 모른다고 말했습니다.
<양서류 영원> 네이버 사전
검색결과
양서강(兩棲綱) 유미목(有尾目)
영원과의 총칭. 분류 양서강(兩棲綱) 유미목(有尾目) 영원과 종수 16속 40종 크기 몸길이 10∼15㎝ 생식 체내수정 서식장소 북아메리카, 유럽, 아시아 일부 분포지역 북반구의 온대지방 몸길이 10∼15㎝이다. 약 16속 40종이 알려져 있으며, 북반구의 온대지방에 널리 분포한다. 수중생활을 한다. 피부는 매끄럽고 비늘이 없으며 습기를 띤다. 두부는 약간 편평하고 넓다. 꼬리는 측편되어 길며, 후반부는 지느러미 모양으로 되어 헤엄치는 데 알맞게 발달되어 있다. 네 다리로 땅위를 천천히 걸으며, 발가락은 앞다리에 4개, 뒷다리에 5개 있다. 온몸이 작은 혹으로 덮여 있으며, 이선(耳腺)이 발달하였다. 번식기의 수컷에는 아름다운 혼인색이 나타나며, 암컷 앞에서 구애의 춤을 춘다. 수컷이 정포(精包)를 배출하면 암컷이 배출강으로 받아 넣으며 정자는 암컷의 수정낭 안에서 장기간 생존한다. 알은 산란 때에 가서 수정되며, 1개씩 수초(水草)에 낳아 붙인다. 유생은 깃털 모양의 바깥 아가미가 있으며, 처음에는 다리가 없다. 1∼4년 동안 땅 위에서 생장하다가 수중생활로 들어간다. 곤충·지렁이류·갑각류 등 살아 있는 소형 무척추동물을 먹는다. 대표적인 종으로는 프랑스 동쪽의 유럽에 서식하는 빗영원(Triturus cristatus)·녹색영원(T. marmoratus)·띠무늬영원(T. vulgaris), 북아메리카의 얼룩무늬영원(Notophthalmus viridescens, Taricha torosa) 등이 있다. 일본에는 붉은배영원(Cynops pyrhogaster pyrrhogaster)·칼꼬리영원(C. p. ensicauda)·혹등영원(Tylototriton andersoni) 등이 서식하고 있다. 한국에는 이 과에 속하는 종류가 없다. |
그러나 사전만 보고는 이 예쁜 생물이 양서류 영원인지 아닌지 명확하지는 않았습니다.
혹시 여러분들은 이게 무엇인지 정확히 아시는지요.
▼멕시코 도롱뇽▼
댓글을 종합해면 어여쁜 물속의 요정은 멕시코 도롱뇽(악솔로틀)임을 알 수 있었습니다.
'^^'님은 사진에서 보는 요정과
같은 생물이 등장하는 사이트를 소개하기도 했습니다.
http://www.livingunderworld.org/gallery/photos/caudata/ambystomatidae/ambystoma/mexicanum/
멕시코 도롱뇽(악솔로틀)에 대해 검색해본 결과입니다.
학명 Ambystoma mexicanum 분류 유미목(有尾目) 암비스토마과 크기 몸길이 22∼30㎝ 호흡법 아가미 호흡 생식 체내수정 분포지역 북아메리카 몸길이 22∼30㎝이다. 멕시코도롱뇽이라고도 한다. 산지인 멕시코에서 여느 도롱뇽과 같이 변태하여 성충의 모양이 되지 않고 가지가 많은 큰 겉아가미[外閘]를 가진 유생형 그대로 성숙한다. 이런 현상을 유생성숙(幼生成熟)이라고 한다. 멕시코어로는 이러한 개체를 악솔로틀(물 속에서 논다는 뜻)이라고 히는데, 때로 드물게 산란을 하기도 한다. 악솔로틀을 미국에서 사육하면 보통 도롱뇽이 되는 것으로 미루어 환경이 바뀌면 변태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악솔로틀에 갑상선호르몬을 투여하면 변태를 일으키는 사실로 보아 원산지의 저온과 먹이의 결함이 원인이 되어 갑상선호르몬의 분비가 결핍되고 그 결과 변태하지 못하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
이 멕시코 도롱뇽은 다리나 꼬리 심지어 눈도 재생한다는 엄청난 재생력을 가지고 있다고 합니다.
한편 '서강대 발생학
연구실에서 이 생물을 키우고 있다'는 댓글이 올라와 서강대에 연락해 보았습니다.
서강대 생명학과 교수에게 사진을 보여줬더니 '악솔로틀'이
맞다고 대답해줬습니다.
영원은 일본에서 사용하는 용어로,
도롱뇽의 부분집합이라고 생각하면 된다고 합니다.
그리고 정확한 학명은 '멕시코산 악솔로틀(Ambystoma mexicanum)'이라고 하네요.
스쿠버홀릭에 펭귄님이 올린 글...
'수중 확대경 > ┃ 수중 생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대 심해 괴물들..." (0) | 2006.01.09 |
---|---|
물고기의 혀는 기생충 !!! (0) | 2006.01.04 |
가장 맛있는 바다물고기는? <펀글> (0) | 2005.12.07 |
또!!! 희귀 어종 출몰 (기사) (0) | 2005.11.22 |
심해의 생물들...(펌) (0) | 2005.1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