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 흑룡의 해, 용의 기원을 찾아서2012년은 임진(壬辰)년, ‘용의 해’다.

용 중에서도 특히 흑룡의 해라고 한다.

 

임진년의 임은 금수목화토(金水木火土)의 오행에서 물(水)에 해당하고,

물은 오방색으로 따지면 검은색(黑)이므로 임진년이 검은 용의 해라는 것이다.

 

용은 시각과 절기를 표현하는 동양의 십이지지(十二地支) 중 유일하게 날아오를 수 있는 동물이자 인간계에 존재하지 않는 영물이다.

용이 날아오를 준비를 하는 곳이 물이므로 임진,

즉 수룡은 용이 날아 오를 기세를 갖춘 상서로운 상징이다.

그래서인지 역사에서도 임진년에는 임진왜란이 일어나거나 한국전쟁 휴전, 중화민국 수립 등 굵직한 변화가 많이 일어나기도 했다.

동양 문화권에서 용은 각별한 존재다.

십이지지의 다른 동물들과는 달리 용은 비와 바람을 부리고 생각을 할 줄 알며 사람보다도 고등한 영물이다.

그래서 용은 왕실의 상징이었으며,

중국의 황제는 용포(龍袍)를 입고 조선의 임금은 곤룡포(袞龍袍)를 입었다.



용이 실제로 존재했을지도 모른다?


이처럼 특별한 동물인 용의 기원은 어디서 시작됐을까?

고대 문헌이나 공예품에 등장하는 용은 지금 생각하는 용과 그 모습이 매우 달라 시대에 따라 용의 모습이 변화해 왔음을 짐작할 수 있다.

아마 공룡 발견 후 거대한 뱀이나 도마뱀 쯤으로 묘사되던 용에게 공룡의 모습을 덧 씌워서 지금 생각하는 용으로 발전했을 것이다.

하지만 용의 거대한 모습이나 인간이 대적하기 어려운 압도적인 힘으로 미루어 보건대 강의 모습, 혹은 용오름과 같은 기상현상으로부터 연상했을 가능성이 크다.

이렇듯 용은 상상의 동물이지만,

옛 기록을 들여다 보면 실제 존재했으리라는 추측도 가능하다.

 

고대 중국의 갑골문자와 상나라의 것으로 추정되는 유물에 등장하는 용은 머리에 뿔이 달렸으며 다리가 짧고 몸통이 긴 동물이다.

이 동물은 한대(漢代)의 화상석(신선, 새, 짐승 따위를 새긴 돌)에도 종종 등장한다.

고대의 기록을 종합해 보면 용은 네 개의 짧은 다리가 달린 파충류로 악어나 커다란 도마뱀의 모습에 가깝다.

특이한 점은 용이 후대의 기록에서 나타나듯 갖가지 동물들이 한데 섞인 모습이 아니라 아주 담백하게 커다란 파충류의 형상이라는 것이다.

상나라 시대, 용(龍)이라 불리던 나라가 용을 토템으로 사용했으리라 추정되며,

대부분의 토템이 실제 자연물에서 취했다는 점을 고려하면,

용과 유사하게 생긴 동물이 실재했을 가능성이 높다.

서주 초기 주역에 묘사된 바에 따르면,

용은 깊은 못 속에 몸을 감출 수 있으며,

하늘을 날아 오르고,

땅 위에서 서로 싸우며,

짙은 황색의 피가 흐른다.

이를 미루어 보아 용의 원형은 높이 뛰어오를 수 있으며, 물가에 사는 중대형 파충류였을 것이다.

 

물과 용의 연관성은 용을 칭하는 단어에서도 찾을 수 있다.

용은 순우리말로 미르, 혹은 미리인데,

어원은 물을 뜻하는 고어 ‘믈’이다.

일본의 이무기인 '미즈치'도 물과 관련이 있다.

나름 현실적이던 용의 모습은 한대 이후 기록에서 점점 여러 가지 모습이 섞여 복잡한 형태로 변화한다.

특히 한대 이후 발견된 화석이 용의 모습 변화에 큰 영향을 주었을 것이다.

당대(唐代)의 저작인 감응경에는 “구름을 모이게 하고, 비를 내리게 할 수 있는 산과 언덕에는 모두 용의 뼈가 땅 속 깊은 곳에, 혹은 표면 가까이에서 발견되고 있다.

이들은 이, 뿔, 꼬리, 발들이 모두 갖춰져 있다.

큰 것은 수십 장이나 되고, 어떤 뼈는 열 아름이 되기도 한다.

작은 것은 1, 2척 정도에 두께는 3, 4촌 짜리도 있다.

그들은 모두 완전한 몸의 구조를 갖추고 있다.

나도 일찍이 그들을 채취해 본 적이 있다.”라고 해 화석에서 용을 연상해냈음을 밝히고 있다.

또한 중국 고서에서는 용을 묘사해 잉어의 비늘, 뱀의 몸, 사슴의 뿔 등을 지녔다 했는데,

이는 (훗날 한족이란 이름으로 뭉친) 고대의 여러 부족들이 받들던 토템이 하나로 뭉친 결과물이란 설도 있다.


용은 어떻게 진화했을까?

용이 실제로 존재했다면 어떤 모습일까?

다큐멘터리 전문 채널 디스커버리에서 2004년에 방영된 ‘Dragons World : A Fantasy made real’은 대담하게도 용이 실제로 존재했다고 가정하고 이들이 어떻게 진화해 왔을지 묘사한다.

영화는 태너라는 고생물학자가 새로 발견된 티라노사우르스 두개골 화석에서 정체불명의 흔적을 발견하면서 시작된다.

태너는 정체를 알 수 없는 엄청나게 커다란 괴물이 티라노사우루스에 발톱과 이빨 자국을 내고 심지어 불까지 질렀음을 알아낸다.

어렸을 때부터 용에 관심이 많던 태너는 범인이 용일 것이라고 추측했지만 학계에서는 외면당한다.

하지만 궁지에 몰린 태너에게 극적인 반전의 기회가 찾아왔다.

루마니아 카르파티아 산맥에서 거대한 동물의 시체가 발견된 것이다.

거의 완전한 형태로 발견된 이 시체는 아무리 보아도 용이었다.

태너는 동료 두 명과 함께 루마니아로 가서 직접 연구해 용이 실제로 존재했다는 사실을 밝혀낸다.

영화는 태너의 이야기와 함께 용의 진화과정을 생생하게 보여준다.

용의 기원은 백악기에 출현해 번성한 대형 공룡이라고 한다.

이들은 티라노사우루스에 맞서 싸울 정도로 강력한 공룡이었지만,

공룡을 절멸시킨 운석충돌과 함께 대부분 사라졌다.

그러나 비교적 안전했던 물속에 살던 변종들은 살아 남는다.

이 용들은 동양에서는 육지로 올라와 숲 속에서 생활하면서 몸이 길고 날개가 없는 동양 용이 됐고,

유럽에서는 다시 하늘의 환경에 적응해 거대한 날개를 지닌 용이 됐다.

한편 용들이 뿜어낸 불을 인류가 이용해 문명을 이룩하는 데 일조했다.

이 다큐에 따르면 동양의 용은 애초에 날 수 없는 변종이라고 한다.

실제로 동양에서 묘사된 용은 날개가 없으며 물속에 살다가 하늘로 딱 한번 날아오른다는 이야기가 많다.

그러나 서양의 용은 거대한 날개를 펄럭이며 하늘을 자유자재로 날아다닌다.

문제는 용의 몸 크기나 무게에 비해 날개가 너무 작다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날 수 있는 비결은 바로 몸속의 수소다.

물속에 살던 공룡에서 진화한 용은 부레를 그대로 몸에 지니고 이 속에 대사 산물로 생성된 수소를 저장한다.

공기보다 훨씬 가벼운 수소 주머니를 이용해 몸을 상대적으로 가볍게 만들어서 적은 양력으로도 날아오를 수 있었다.

또 수시로 섭취한 흙이나 바위 속의 백금을 촉매로 이용해 수소에 불을 붙여 뿜어낼 수도 있었다.

이 다큐는 나름대로 전문가의 자문까지 받아 그럴싸한 설명을 하지만 사실 과학적으로 허점이 많다.

대표적인 예가 부레에 넣은 수소로 날아오른다는 설정이다.

영화 속에서 태너는 용이 수소를 이용해 날아올랐을 가능성을 발견하고 흥분하며 ‘이 정도 수소가 얼마만큼의 무게를 들어 올릴 수 있는지’ 궁금해 하지만 정확한 답을 보여 주지는 않는다.

그도 그럴 것이 수소나 헬륨을 이용해 물체를 들어 올리려면 엄청난 부피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모 기업의 광고나 TV 프로그램에서 재연한 ‘헬륨 풍선으로 성인 날리기’에서 확인된 바에 따르면 성인 한 명을 띄우기 위해 1만 2,000개의 헬륨 풍선이 필요하다.

용이 날아오르기 위해선 날개에서 양력을 조금 더 얻는다고 하더라도 6,000개 이상의 헬륨 풍선이 필요할 것이다.

헬륨과 수소의 무게가 크게 다르지 않다는 점을 생각해 보면 사람보다 거대한 용을 띄우려면 엄청난 부피의 수소가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비록 과학적으로 허구에 가깝기는 하지만 용은 분명 매력적인 생물이다.

이들이 실제로 존재했을 가능성을 상상해 보는 것만으로도 충분히 즐거운 일이다.

기원전 2000년경, 이집트인들이 파라오를 중심으로 절대왕정을 세우고 전성기를 구가할 때 북유럽에서는 여전히 매머드가 활보하고 있었다.

혹시 또 모르지 않는가?

용이 우리의 상상처럼 마음껏 날아다니고 불을 뿜으며 신통력을 부리지 않았더라도,

비슷한 동물이 있었을 가능성은 얼마든지 있는 것이다.


글 : 김택원 과학칼럼니스트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