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엉터리

 

bc를 등에 메었을때 오른손을 머리 뒤로 해서 밸브가 손에 닿는지 그리고 열고 닫을수 있는지 확인하고 수중에서도 열고 닫는 연습를 해 둡니다.

만약의 실수로 밸브가 잠귄 상태로 입수한 후에는 당황하지 않고 본인이 직접 열 수 있어야 합니다.

보통 자켓 비씨를 사용할 때 탱크를 너무 낮게 세팅 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럴 경우 밸브를 손으로 조작할 수 없을 뿐 아니라 자세도 좋지 않게 됩니다

OW 강사들이 가르치는 것 중에 밸브를 끝까지 열었다가 다시 약간 잠그라고 하는 경우가 있는데,

매우 잘못된 것입니다.

밸브는 항상 끝까지 열고 귀를 가까이 대어 혹시 새는 소리가 나지 않은지 소리도 확인합니다.

(탱크가 개인 장비가 아닌 경우 오링 상태나 밸브 자체가 낡아 좋지 않은 경우도 많습니다)

함께 다이빙 하는 강사, 가이드 또는 버디는 위기 상황에서 항상 당신을 구해줄 수 없습니다.

자신을 구할 수 있는 것은 바로 자신이고, 그런 상황에서 얼마나 유연하고 침착하게 대처할 수 있는지는 본인의 연습과 마음가짐이 필요합니다.

역설적으로 자신을 구할 수 있는 능력이 있는 사람이 남도 도와줄 수 있습니다.

 

대부분 오픈워터 레크레이션 다이빙의 교육과정에서 밸브의 열림 확인 과정은 이렇습니다.

 

변경전

1. 최대한 오픈한다.
2. 다시 1/4정도 잠근다.
3. 압력으로 인한 밸브의 고장을 방지하기 위해서다.


변경후

1. 최대한 오픈한다.
2. 다시 1/4정도 잠그지 않는다.
3. 다이빙 중 최대한 오픈되었는지 손으로 돌려보아 특정상황시 또는 반복하여 확인해야 한다.
4. 혹시 밸브를 잠궈야 할 상황이 된다면, 혼돈없이 잠그기 위해 밸브는 최대한 열려 있어야 하고, 열린 채로 유지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5. 그런 밸브 열림으로 인한 손상은, 밸브를 새것으로 교체하는 것이 낫다.

6. 새는 기체를 확인하기 위해 밸브에 귀를 가져가지 않는다.

   갑작스런 오링 파손 등의 상황시 고막 천공 등의 문제가 발생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출처: LexyDiver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