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중에서 비상 탈출
다이빙시의 비상 상황이라면 공기공급이 중단된 경우가 가장 위급한 상황이겠지요.
다이빙도중 갑자기 공기가 떨어지는 경우는 아주 흔치 않는 경우입니다.
여러분들 자신이나 주의 동료들이 자동차 연료가 떨어져 운전도중 비상주차 한 경우가 얼마나 있습니까?
수중에서 호흡기 고장으로 호흡이 중단되는 경우 또한 극히 찾아 볼 수 없습니다.
혹시 실수로 탱크 밸브를 조금만 열어놓고 다이빙을 할 경우 다이빙 도중에 공기 공급이 끊어 질 수 있다는 경우는 종종 있을 수 있지만,
예방 방법 또한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모든 다이빙 교육 단체의 교육 매뉴얼에는 비상시 수면으로 탈출 방법에 대해 기술하고 있고,
초보 입문 교육 과정부터 비상 상승방법들을 배우고 실습합니다.
다음은 다이버로서 알고 있고 연습 해야하는 수면 탈출 방법 4가지입니다.
1. 비상 수영 상승(ESA:Emergency Swimming Ascent)
짝이나 보조 호흡기구의 도움 없이 혼자서 실시하는 상승 방법입니다.
가장 안전한 방법이고 입문 과정에서 실습하는 중요 기술 중에 하나입니다.
비교적 얕은 수심(5-15미터)에서 호흡기를 입에 물고 수면을 쳐다보며(기도개방) 공기를 내뿜으면서 가능한 한 정상속도(분당 6-12미터)로 상승합니다.
연습상황에서 상승도중 호흡기를 통해 숨을 들여 쉴 수 있도록 호흡기를 입에 물고 실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실제 상황에서도 상승으로 실린더의 공기가 팽창하여 한 두 번의 숨을 쉴 수 있습니다.
연습 ESA 도중 숨이 모자라 호흡기로 숨쉬었다면 조금 더 빠른 속도로 상승하거나 숨을 더 조금씩 내보내 호흡을 길게 할 수 있도록 연습하고,
연습 상승 후 아직 뱉을 숨이 남아 있다면 조금 더 천천히 상승합니다.
2. 부력 수영 상승(Buoyancy Swimming Ascent)
아주 긴박한 상황이거나 비교적 깊은 수심에서 잠수복의 부력을 이용한 상승 방법으로 납 벨트를 버리고 가능한 한 물의 저항을 받기 위해 양팔과 다리를 벌려 가슴을 위로 향하며 기도를 열고 허파 속의 공기를 내보내면서 상승하는 방법입니다.
수면에 가까이 도달할수록 상승 속도가 빨라지는 단점이 있으므로 깊은 수심에서 연습 보다 낮은 수심에서 납벨트 버리는 방법과 상승 자세를 익히는 것이 좋습니다.
깊은 물이라면 반복 연습은 피해야 합니다.
물론 호흡기는 꼭 입에 물고 연습합니다.
3. 짝 호흡 (Buddy Breathing)
다이빙 초창기 시절의 비상시에 당연히 실시하는 방법이였습니다만,
옥토퍼스가 널리 사용되기 시작하던 1980년대에 대부분의 교육 매뉴얼에서 없어진 비상시 수면으로 탈출 방법입니다.
짝의 공기를 나누며 상승하는 방법으로 짝과의 사전 연습이 없을 경우 오히려 더 위험한 상황으로 변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NAUI 에서는 아직도 이 방법이 입문 교육 매뉴얼에 있고 연습을 강조합니다.
사용하지 않더라도 짝과의 신호, 교감 등 좋은 점이 많은 기술입니다.
연습 해보지 않은 짝과는 실제 사용을 금지하고 짝과 자주 연습을 해 숙달 된 경우에만 사용을 권합니다.
입문 코스에서는 상승하지 않고 안정된 자세에서 공기만 나누는 훈련을 합니다.
4. 옥토퍼스 또는 보조 호흡기 이용 상승
모든 다이버들이 착용하는 옥토퍼스를 이용하거나 간혹 스페어 에어(Spare Air), 포니 버틀(Pony Bottle)로 공기를 나누며 상승 방법입니다.
옥토퍼스 상승은 실제 비상 상황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게 되며,
안전감압 도중 다이빙 리더나 다이브 마스터에 의해 공기를 많이 사용한 다이버에게 종종 공기를 나누는 모습을 봅니다.
스페어 에어는 작은 탱크(3 Cu.Ft.)에 호흡기 마우스 피스가 장착된 비상 장비이고 포니 버틀은 스페어 에어보담 큰 용량(6-15 Cu. Ft.)에 호흡기가 따로 장착된 작은 스쿠버입니다.
이런 예비 호흡 장비는 자신을 위해 준비한 여분의 공기가 아니라 짝이나 구룹을 위해 리더로서 비상용으로 준비하는 것이 정석입니다.
이요섭 (#7418)
NAUI Rep., Korea
leeyosup@msn.com
'이론 잠망경 > ┃ 잠수 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어가 안되는 가이드와 잠수할 때 주의점 (0) | 2009.06.27 |
---|---|
"드리프트 다이빙" 실시 방법과 필요한 기술 (0) | 2009.06.20 |
프리다이빙 (Guillaume Nery) (0) | 2009.04.22 |
디펜시브 다이빙(Defensive Diving) (0) | 2009.04.14 |
수중생물의 세계를 관찰하는 방법 (0) | 2009.04.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