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서림이 없고 빛을 거의 반사하지 않는 유리 제품이 곧 나올 전망이다.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마이클 루브너 교수팀은 표면에서 빛을 0.2%만 반사하는 나노입자 코팅 기술을 개발했다.

이 코팅은 2~3% 반사하는 기존의 반사방지 코팅보다 더 효과적이며 표면의 작은 물방울을 흡수해 김 서림을 막는다.

이 연구는 8월 28일 미국화학회 정기회의에 발표됐다.

이 코팅은 폴리머 섬유유리 나노입자의 다층구조로 이뤄졌다.

이들은 그물 구조를 형성하는데 그 사이의 작은 틈으로 물이 스펀지처럼 흡수된다.

그 결과 물방울 대신 얇은 물의 층이 만들어지는데,

이렇게 되면 빛을 산란하거나 김이 서린 것처럼 유리 표면을 흐리게 하지 않는다.

루브너 교수는 이 물질에 ‘분자 기저귀’라는 별명을 붙였다. 이 나노입자는 지름이 7나노미터(nm)에 불과해 코팅을 투명하게 유지한다.

연구팀은 물에 잘 젖지 않는 성질의 코팅 기술도 개발했다.

이 물질은 연꽃잎 표면을 모방한 왁스 같은 폴리머 층을 추가로 덮은 것이다.

연꽃잎은 물에 잘 젖지 않기 때문에 물방울이 굴러 떨어지며 꽃잎에 묻은 진흙까지 씻어간다.

루브너 교수는 이 두 가지 기술의 혼합도 곧 가능할 것이라고 밝혔다.

나미브 사막의 딱정벌레는 물이 잘 묻는 부분과 물에 젖지 않는 부분을 모두 갖고 있다.

그 결과 딱정벌레는 공기 중의 작은 물방울을 모은 다음 입으로 보내 마실 수 있다.

연구팀은 앞으로 이 기술을 상업화해 안경, 고글, 욕실 거울 등에 사용할 계획이다.

 

 

| 글 | 이상엽 기자ㆍnarciso@donga.com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