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명 망토 가능할까? 러 과학자 투명 망토 특허 획득
[팝뉴스 2006-02-01 13:14] 

인테르팍스 통신과 모스 뉴스 등 러시아 언론 매체들은 러시아의 과학자가 투명 망토에 대한 특허권을 획득했다고 27일자 기사에서 보도했다.

발명가는 러시아 율리아노브스크 주립 대학의 올레그 가돔스키 교수.

금의 나노 입자에 대해 오랫동안 연구했다는 그는,

금 나노 입자를 하나의 얇은 층으로 만들어 펼치면 그 뒤편의 물체는 보이지 않게 된다고 설명했다.

 

<<제 카테고리에서 일상 현미경중에 └새론상품이라는 메뉴 중에 "투명망토"-2006.2.28일자-라는 글 [바로가기]>>

 

****************************************************

 

"강철은 산업혁명을 일으켰고, 실리콘은 컴퓨터 혁명을 일으켰으며, 자연은 섬유 혁명의 원동력이 되고 있다."

내셔널지오그래픽 2003년 1월자 특집 기사의 내용이다.

섬유 혁명이라 하면 흔히 1935년 듀폰 사에서 개발한 나일론 합성 섬유에서 시작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듀폰은 아라미드(aramid)라는 탄소 섬유를 개발,

이를 상업화시켜 오늘날 방탄복으로 가장 각광 받는 케블라(Kevlar) 섬유를 발명했다. 

강철보다 가볍고 훨씬 강력한 섬유소인 케블라는 군사 항공우주 분야 등에서 활용돼 오늘날 가장 유명한 특수 섬유로 인식되고 있다.

 
케블라 헬멧과 방탄 조끼.
케블라는 의류보다는 오히려 군사, 항공우주 특수장비 재료로 더 각광받고 있다.


또 다른 특수 합성 섬유 노멕스(nomex).
불에 타지 않아 소방용, 카 레이싱 의류 소재로 이용되고 있다.


합성 섬유은 급속도의 발전을 거듭해 다음과 같은 최신예 섬유 물질을 만들어 냈다.


폴라텍.
땀은 내보내고 외풍과 습기의 침투를 막는 최신예 의류 소재.

특히 보온에 뛰어나다.
최근엔 전류가 통하는 소재를 도입,

폴라텍 전열 담요까지 개발됐다.


중무장한 군용차를 매달아도 끄떡 없는 섬유 에어빔,
초강력 섬유막을 덮어 점보 제트기 14대를 수용할 수 있는 격납고로 만들 수 있으며,

기구로 가공될 수도 있다. 

항공기 격납고용으로 만들만큼 거대하지만

접으면 소형 트럭 뒤에 실을 수 있다.


자동차의 강철 엔진 밸브를 대체할

탄소섬유 피스톤


이 밖에도,

진동을 흡수하는 섬유 (개발 중: 굴착기나 모터 보트에 사용될 예정),

엄청난 무게를 버틸 수 있지만, 끓는 물에는 녹아버리는 수용성 가방,

주변 환경의 색상,밝기, 무늬에 대한 시각 정보가 섬유를 통해 전달되는 군복(이른바 투명인간 옷) 등이 현재 개발 중이다.  



그러나 요즘은 진정한 섬유의 혁명은 자연물에서 시작된다는 인식이 대세.

예를 들어, 거미줄은 전문가들이 인정하는 궁극적인 꿈의 섬유로 강철보다 5배 강하면서도 신축성이 뛰어나 엄청나게 다양한 용도로 개발이 가능하다.

이는 4억년간 거미 종족 사이에 이어져 온 진화의 힘으로,

인간이 만든 합성 섬유와는 달리 거미줄은 제조될 때 

석유 연료, 고열, 유독성 화학물질 등이 전혀 필요없다.

오직 자연상태의 단백질 합성만 필요하다.

과학자들은 거미를 양식해 거미줄을 이용한 꿈의 섬유를 만들어 내려했다.

그러나 거미는 서로 잡아 먹는 습성이 있어 양식이 불가능하다고.

현대의 과학자들은 이에 대한 대안으로 거미줄 단백질 유전자를 염소의 유전자 구조에 삽입한 후 염소젖에서 거미줄 단백질을 추출하고 그 단백질을 가공해 거미줄을 만들어 내는 방식을 연구 중이다.


현대 과학자들은 거미줄을 '양식'하는 방법을 개발하는데 박차를 가하고 있다.
염소 외에도 박테리아, 단세포 동물들을 이용해

거미줄의 단백질 성분을 자연 합성하는데 연구를 거듭하고 있다.

사진은 특수 배양된 단세포 동물들이 생성한 거미줄과 비슷한 단백질 물질.


이렇게 만들어진 '거미줄 섬유'는 나일론 실보다 훨씬 가늘고 튼튼한데다 필요에 따라 자연적으로 분해되는 무공해 성분을 갖고 있다. 

따라서 거미줄 실을 이용하면 방탄복은 물론, 낚시줄, 수술용 봉합실, 심지어 우주 항공 분야에 이용되는 '밧줄'을 만들어 낼 수 있다고 한다.

특히 이 '우주 밧줄'은 엄청난 양의 중력을 감당할 수 있어,

거대한 인공위성에서 지구로 내려오는 길이 300km의 '우주 엘리베이터'까지 만들어 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생명체의 단백질에서 섬유를 만드는 방식은 이미 개발된 상태다.

일본과 이탈리아, 프랑스의 과학자들은 공동으로 젖소의 우유에서 카제인(Casein)이라는 단백질에서 섬유를 추출해 실크와 같은 양질의 옷을 만들어 내기도 했다.

 

출처:미상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