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사용하는 가정용 조명기구는 아주 다양한 것이 있다.

최근에 유행하는 것 중에는 천정에 딱 붙개 설치하는 것으로 그 속에는 둥근 원형 형광등이 여러개 들어 가는 것이 있는데 이 조명기구는 반드시 흰색 커버를 해 두었다.
만약 이 커버를 벗겨내면 당연히 빛은 더 밝아진다.
그러나 빛이 강해지면 왠지 분위기가 안정되지 않는데,

스트로브형광등도 모두'밝게한다'는 목적을 수행 하는것은 동일하다.


스트로브는 순간적인 빛을 내고 형광등은 퍼짐이 있는 빛을 계속해서 낼 뿐이다.
구조적으로 보면 형광관은 스트로브의 발광관에 해당하고 흰색 형광등 커버'와이드 어댑터'인 셈이다.
빛을 커버에 투과 시키므로 확산 시키고, 빛의 양이 줄어드는 대신 부드러운 빛을 구석 구석 까지 골고루 비춘다.


또 같은 조명 기구라도 책상에 사용하는 스탠드는 책이나 PC의 키보드 등 한 곳에만 빛을 비추면 되기 때문에 전등 갓 안쪽을 반사판으로 해서 빛의 지향성을 높이고 있다.
일반적으로 스튜디오에서 촬영을 할때 빛을 확산 시키는 용품을 '디퓨져'라고 한다.

이 디퓨져는 여러가지 제품이 있고 심지어 '트레싱 페이퍼'나 천 조각 같은것도 가끔 이용을 한다.
우리가 가정에서는 빛을 확산 시켰을때 "분위기는 좋아졌지만 좀 어두워 졌다"라고 말하지만,

그것이 레스토랑일 때는 "조명이 아주 독특한 분위기를 만들어 주는군...!" 이라고 말하게 된다.


하지만 사진에서는 빛의 증감이 노출에 크게 작용함으로 그냥 감각적인 문제로 끝낼 수 만은 없다.
그러므로 스트로브의 사용 설명서를 보면 와이드 어댑터 사용시 노출값가이드 넘버(GN)가 명시되 있고,

메뉴얼 싱크로 촬영할때는 이 GN을 근거로 노출값을 산출하여 결정해야 하는 것이다.

 

 

 

ㅇ와이드 어댑터란...?

 

스트로브 발광부분 앞에 흰색 프라스틱 커버가 달려 있는데

이 부속품을 가르키는 용어로서,

조사각도를 넓혀주거나, 감광시킬 때에 사용한다.

그때에는 감광필터라고 불리기도 한다.  

 

간혹 수중촬영을 하시는 분들에게 와이드 어댑터의 역활을 물어 보면 "스트로브의 조사각을 넓힐뿐....!"이라고 대답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 작은 부품은 상당히 많은 일을 하는 일꾼이다.


아마 우리가 사용하는 수중 촬영장비 중 가장 싼 가격일 것으로 생각되는 와이드 어댑터는

스트로브 발광부를 보호하는 일 부터, 마이크로 촬영시 부드러운 배광을 연출 하고, 묘사성을 향상 시키며, 메뉴얼 촬영시 스트로브 발광량을 조절하는 아주 귀중한 부품이다.

 

 

수중 스트로브는 육상에서 사용하는 스트로브 보다 성능적으로 뒤떨어지는 것은 결코 아니다.

수중사진의 질을 저하 시키는 가장 큰 원인은 스트로브의 빛이 아니라 물이라는 매개체인 것이다.

이 피할수 없는 매개체에서 수중사진의 화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될 수 있는한 피사체에 근접해 촬영하는 방법밖에 없다.

피사체에 가까이 다가 가면서 넓은 범위를 촬영 하려고 하다보니 초점거리가 짧은 광각랜즈를 사용해야 하는데,

육상 사진에서는 초광각인 20mm가 수중에서는 극히 당연한 광각랜즈로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최근 1안 리플렉스 카메라에는 전용 스트로브 사용이 주장되고 있는데,

스트로브가 독립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화각은 대부분 24mm 랜즈 정도이며,

그 이상의 광각렌즈 사용시에는'와이드 어댑터'를 사용해야 한다.


물론 와이드 어댑터를 사용하지 않고 모든 랜즈의 화각을 커버하는 것이 이상적이긴 하지만,

스트로브의 조사각도에는 빛을 발하는'섬광관'과 반사판의 모양이 매우 중요하다.

그리고 좀 더'가이드 넘버'(GN)가 큰 스트로브를 원한다면 전원이 문제가 되는데,

배터리가 커지면 스트로브 크기가 대형화 되게 되고 그만큼 가격도 비싸지게 된다.


니콘의 SB-104 와 SB-105를 비교해 보면 그 차이는 명확한데,

겨우 20g정도의 부품 하나에 중량에서는 1Kg 이상이 차이가 나고 가격에서는 배 이상의 차이를 보인다.

모든것에 최고를 요구하는 프로는 여하튼 수중촬영에서 작고 콤펙트한 것을 좋아하는 경향이라서 와이드 어댑터가 그 요구조건을 충족 시켜주는 부품이라고 할 수 있겠다.


SB-105의 발광부는 가로가 긴 직사각형이다.

그러므로 이 곳에서 빛이 나가는 모양을 입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발광부를 정점으로 해서 가로가 긴 사각뿔 모양으로 빛이 뻗어 나간다.
그러나 이 곳에 와이드 어댑터를 달면 빛의 입체 모양이 원뿔 모양으로 바뀐다고 생각하면 와이드 어댑터의 효과가 이해 될것이다.

와이드 어댑터를 스트로브에 꼭 메어 두지 않으면 분실하거나,

촬영을 하려고 하면 잊어 버리고 안가져온 경우가 가끔은 있게 마련이다.

 

 

NIKON Speed Light(스트로브) SB-105를 벽이나 큰 스크린을 향해 터뜨려 보면
빛이 어떤 모양으로 비추어질까?
그냥 눈으로 확인하기 어려우므로 어안랜즈(Fish eye lens)를 카메라에 세팅해서 보면 그 모양을 확인할 수 있는데,

그 모양은 흐려진 원형 또는 좌우가 긴 타원형임을 알 수 있다.
우리가 촬영하는 35mm필름은 가로가 긴 장방형 네모꼴이다.

그러므로 스트로브의 빛의 모양이 좌우가 긴 원형을 이루므로 사진전체에 빛이 골고루 들어갈 수 가 있다.
더 쉽게 말하면 종이 위에다 원을 그리고 그 속에 세로:가로가 1:1.5인 직사각형을 그려 넣어보면 알게된다.

이때 원은 스트로브가 비추어준 조사각이고 그 곳에 그려 넣은 직사각형은 필름인 것이다.

그러나 주의해야 할 것은 원의 크기는 늘 일정한데 필름의 크기는 변한다는 것이다.

무슨 이야기냐 하면...?

카메라는 랜즈 교환이 가능하다는 이야기다.

마이크로 랜즈같이 초점 거리가 긴 랜즈의 화면은 원에 비해 적지만,

15mm 같이 초점거리가 짧은 광각랜즈는 그 직사각형이 크져서 경우에 따라서는 원을 벗어나 버린다.

이 경우 원을 벗어난 부분은 스트로브광이 비추어지지 않으므로 당연히 어둡게 된다.


SB-105의 카다로그를 보면 "20mm랜즈까지 커버가 된다"라고 되어 있는데,

이것은 이 스트로브의 원안에 20mm랜즈의 화각이 들어간다는 이야기이다.
그리고 "와이드 어댑터"를 사용하면 15mm까지 커버가 된다는 이야기는 '와이드 어댑터'가 빛을 확산 시켜 주기 때문에 원의 크기를 한 층 더 크게 만든다는 것이다.


주위에서 많은 분들이 이 와이드 어댑터를 분실하고 그냥 촬영을 하는 경우를 참 많이도 보았다.
앞에서 스튜디오 에서는 트레싱 페이퍼 부터 천 조각 까지 여러가지를 디퓨즈로 사용한다고 설명 하였듯이,

빛이 투과할 수 있는 모든 것은 와이드 어댑터의 대용품이 될 수 는 있지만,

우리 눈에 희게 보인다고 해서 반드시 모두가 흰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결코 아무것이나 와이드 어댑터 대용품이 되지는 않는다.


물에 강하고 흰것이라고 하면 우선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것이 비닐 봉지 인데,

와이드 어댑터나 감광필터는 제조사에서 장착시의 GN을 밝혀두어 데이타가 있지만,

이 비닐 봉지의 경우는 정확한 데이터가 없다.


그렇다면 비닐봉지의 빛의 감소효과는 이 것을 사용해 본 사람의 경험을 듣거나,

미리 테스트 촬영을 해 보거나,

플레쉬 미터기로 측정을 해 보는수 밖에 없다.


그렇다면 급할 경우 사용할 수 없는 것일까..?
내가 직접 사용해 본 경험에 의하면 꼭 그런것은 아니다.

TTL로 촬영을 하면 별 문제는 없다.

단지 비닐 봉지는 얇기 때문에 1장으로는 빛에 심이 생겨 중앙부의 빛이 강하게 나타나므로 두 장을 겹쳐서 사용하면 된다.

꼭 비닐봉지의 GN을 알고 싶다면 플레쉬 미터기로 측정을 해 보면 된다.


그건 그렇고 하나 더 마음 속에 걸리는것은 색상의 흐려짐의 문제인데,

비닐봉지를 사용하였을 경우 엄밀히 테스트 해 보면 미묘하지만 붉은색을 띄게 된다.
어떻게 보면 수중촬영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할 정도로 말이다.


오히려 이 색의 차이는 물의 맑기에 더 민감하다.

그리고 비닐봉지는 재생용 재료를 사용했을 경우 더 많은 색 차이를 보인다.
그러므로 비닐봉지나 와이드 어댑터 사용시 색의 변화는 무시하고 적절하게 잘 이용할 줄 아는 기술을 반드시 익히도록 하자
수중 사진에서 와이드 어댑터의 역활은 아주 중요하고 귀중한 부품이다.
이 값싸고 작은 부품을 잘 이용하여 더 좋은 사진을 많이 찍기 바란다.  

 

 

출처: 잠수사 글쓴이: 살기힘드네

+ Recent posts